Q & A
(꽤나 유명한 배칠수씨의 베르나 스포티 _루가시트)
1년 전쯤 담배를 피우며 운전하다가 총알이 가랑이 사이로 떨어져 시트에 담배빵이 났었습니다.
어후.. 당시엔 밥이 목구멍으로 안 넘어갔던..
루가에 문의해 보니 복원도 가능하다고 했었구요.
한 방에 싹 바꾸자라는 생각에 지금까지 봐도 못본척 하며 놔뒀었습니다.
헤드레스트와 약간의 버킷 형상 숄더 부분엔 가죽이 들어가 있고,
등과 엉덩이 두 판은 오렌지색 매쉬 타입(담배빵 난 부분)이 순정 입니다.
담배빵은 그렇다 치더라도 매쉬 부분 먼지가 너무 심해 도저히 그냥 탈 수가 없습니다.
한 대분 견적을 200정도 잡고 있는데.. (닛산350Z의 짙은 오렌지 혹은 푸조607의 브라운 계열 꿀꺽~)
소형차이다 보니 책정되는 차량 가격이 잘 떨어지지 않아 출고 후 지금껏 자차 보험을 들지 않았었습니다.
이제 3년이 되었고, 요즘 주위에서 테러 사건이 많이 발생하여 풀옵션(?)으로 자차까지 넣게 되었습니다.
제 과실로 인정되는 부분은 자차 적용이 전혀 안 되는 것인지요??
한 가지만 더 추가로 여쭙겠습니다. 이놈의 사이드스커트가 또 떨어져 나갔는데요.
바닥면과 옆면이 클립 형태로 되어 있는데 바닥면만 클립으로 고정했더니
옆쪽에 별짓을 다 해도 떨어져 버립니다.
지금까지 해본건 3M 양면테이프, 글루건 섞어 고정해 보아도
속도 150이상과 잔진동을 도저히 못 견디는 것 같습니다.
옆면 클립 박는게 최후의 수단인데 클립이 뒷쪽 끝 부분이 아니라(어설픈 위치)
말끔하게 고정이 될런지도 의문 입니다. 더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무슨 방법을 쓰더라도 또 떨어질지 모른다는 불안감과 의심 때문에
도장면에 심각한 손상을 준다거나 자국이 남는 재료는 제외해 봅니다.)
_Soulcity

자차보험건도,,,제가 생각하기엔...가능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통산 자차로 처리를 하는것은 외곽에 대한 자기과실로 인한 사고에 대해 처리를
해서 되나? 안되나? 라고 생각할꺼라 생각됩니다.
이유는 자차보험료가 현재의 차시세에 따른
보험료를 적용하는것이니까요,,,
현재 차시세가 단순히 외부만 계산되는 시세는 아니겠지요...
다만 보험사가 어찌 적용할찌는? 저도 매우 궁금합니다,,,^^

다만 적용이.된다면 순정시트기준으로 될꺼 같구요,,,
루가시트나 그밖에 출고시이외에 부속물에 대해선 따로
부속물과 가격을 보험사에 명시, 보험료산정에 포함하게 해야 합니다
그래야 나중에 보험으로 보상이 됩니다.

글루건은 빨리 굳지만 잘 떨어지고 특히나 한여름 땡볕 아래에서는 녹아서 흘러내립니다.
일반 실리콘이 훨씬 단단하게 잘 굳고, 윗분이 말씀하신 건축용 초강력 실리콘은 더 단단하게 잘 굳겠네요. 굳을때까지 잡고 있는것이 아니라 테이핑 등으로 굳을때까지 붙여놓으면 되죠.
작업중 삐져나와 차체에 묻는다 하여도 쉽게 제거 가능합니다. 열심히 닦아내면 다 닦입니다.

보통 자차처리하는게 보유불명사고라든가 본인이 사고로 인해서 수리를 했을때 적용되는거라서 실수로 담배자국이 난 시트를 보험처리하는건 아마 보험사측에서 인정해주지 않을거같은데요..가능했다면 아마 오래된시트 전부 자차로 바꾸는분들도 있었을거같은데 한번도들어본기억이 없었습니다

사진상의 사이드스컷뒷부분과 휠하우스커버안쪽은 체결이 안되신건가요? 사이드스컷이 짧아보이는데요
그것때문에 클립이 자꾸 빠지는건아닌지요 사이드스컷뒷부분과 휠하우스안쪽 꺾이는 철판부분에 나사고정이 된다면 제일 확실하게 고정이 될듯한데요

사진상 그렇습니다. 정확히 맞지 않아 글라인더로 갈아내어 사이즈를 맞춘 상태 입니다.
클립이 빠지는 부분은 없습니다. 옆쪽은 아예 뚫지 않았기(클립X) 때문에..
조언해 주신 것처럼 피스로는 고정불가 입니다.
휠하우스 안쪽으로는 얇아서 걸 곳이 전혀 없어서요.
핵심은 사이드스커트 뒷부분 윗쪽을 어떻게 고정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보험건은, 제 과실이 100%가 될 확률이 높아 (누군가가 담배 꽁초를 던지고 갔더라도 창문을 열어 놓은 제 잘못 때문에 당연히 보상 되지 않겠죠.) 처리 되지 않을 것 같은데 혹시라도 저와 같은 사례나 다른 방법이 있을까 하고 여쭈어 보았습니다. 보험료만 꼬박꼬박 너무 아까워서..

^^ 좀 아깝단 생각이 들기는하죠.
그러나 너무 아까워 하지 마시길...제가 생각하기에 자차는 어느정도 큰금액이 아니면
처리 해봐야 자기부담금에 보험료 묶이고 할증등
결국 계산해 보면 그돈이 그돈입니다. 또 어찌 처리된다 해도
순정직물시트라면 더우기 득이 없습니다. 또 운전석 한곳만 처리될꺼구요.
요즘이야 시트에 여러가지 기능이 묶여서 시트가 비싸지만요.
보험사도 이익을 내는곳이라 좀 사소한 것들은 처리해봐야 그닥 득이 없습니다.
보험이 정말 큰역할을 할땐 인사사고나 큰복합사고일때 유용하죠.
무사고로 보험료 꼬박꼬박내니 아깝긴보단 그런 큰사고가 안나니 다행이구나
하세요,,저는 그리..생각합니다.
제가 한 두어번 견적이 좀 나는 사고를 쳐보니...그런 생각이 들더군요,,,ㅋㅋ

차량을 본래의 목적으로 사용하던 중 발생한 사고에 관해서만 보험처리가 진행 되는 것입니다.
시트 담배빵은 해당 안됩니다.
제 차의 경우엔 실리콘으로 사이드 스커트를 메꾼뒤, 그위를 퍼티로 덮고 도색이 되어있었습니다. 펜더를 교환하려고 사이드 스커트를 떼어내려니, 커터로 실리콘 그어서 파내고, 퍼티는 손으로 떼어냈습니다.
도장이요? 당연히 같이 떨어지는 부분이 좀 있죠-_-
도장면 손상이 우려되신다면 그냥 사이드스커트를 떼어내는게 상책입니다. 굳이 극단적으로 말한다면, 스커트부분만 햇빛을 안받아서 나중에 페인트색이 달라지거든요.
실리콘으로 작업시에 고정은 청테입등으로 붙여놓는것도 방법입니다. 뭔가 스커트에 고여놓는다거나해서 움직이지않게 하면 됩니다.

실리콘으로 작업하는게 보통입니다 리어스포일러도 마찬가지구요............더좋은건 안띨생각하는게 좋다는겁니다........나중에 차가 잘못(?)되서 각개하게되기전까진 차랑한몸되는 것이 정신건강상 좋습니다.
시트는 걍 자기돈으로 해결하는게 상책입니다.
세상에 공짜가 없습니다. 보험처리해도 결국 자기돈들어가게됩니다.^^

엉뚱한 방법을 생각해 냈습니다.
프런트 범퍼에 립 달고 두 부분을 체결해주는 고리 같은거 정확한 명칭이 뭔가요??
속 편하게 피스로 박아 버리고 요녀석으로 피스를 가려볼까 하는 생각 입니다.
사이드스커트의 만족도가 의외로 크므로 영원히 한 몸으로 갈 계획 입니다.
저 고리를 찾지 못해 바보X에서 한참을 헤매다 왔습니다..
1. 실내 보험건은 잘 모르겠습니다.^^
2. 사이드스컷 고정은...
다른 방법으로 가시기 전에 건축용 초강력 실리콘을 한번 써 보시기를 권해 드립니다.
좀 큰 철물점에서는 구할 수 있습니다. 가격은 일반 실리콘의 미니멈 2배 가까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단 쉽게 마르지는 않습니다. 한 3-4일 정도는 차를 안쓰고 말려 주셔야 좋겠구요.
(저는 예전에 일주일 정도 놔 두었던 기억이..)
넉넉히 발라 붙이고는 테이핑해서 고정해 놨다가...제거하시면 되구요.
굳은 후에도 약간의 탄성이 있기 때문에.. 비틀림에 걱정이 별로 없구요.
대신에...제거 하시는 방법은 저도 모릅니다.
그리고, 글루건은... 비틀림이 생기는 면에는 제대로 그 기능을 못하는것 같습니다.
허용 온도 범위도 좁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