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요즘 차를 몰면서 궁금했던 점을 여쭤보고자 합니다.
제차는 파사트 바리안트 TDI라서 대략 공차중량이 1600kg정도 됩니다.
엔진마력수는 170마력이지만 토크가 35정도 되서 즐겁게 타고 다니고 있지요.
서스펜션의 느낌이 참 안정적이고 좋아서 비교적 다른 차들보다는 빠르게 다니는 편인데요.
이차가 주는 안정감에 비하여 갑자기 배신(?)을 때리는 느낌에 놀라곤 합니다.
예를 들면 고속화도로에서 다른 차들 보다 50~60km/h 정도 빠르게 달릴때
예전에 타던 GTI 느낌으로 차들 사이를 헤치고 가다가 갑작스럽게 라인을 변경한다던지
중속 코너링에서 차의 한계의 80% 정도의 느낌으로 돌아나간다던지 할때
한계가 멀었다고 생각했는데 갑작스럽게 한계에 도달한 느낌을 받으며
더 이상 under control하지 않다는 느낌이 들때가 종종 있습니다.
(GTI도 약간 그런 경향이 있었지만 이 차는 조금 더 마음을 놓게 하다가 갑자기 놀래키는군요)
물론 이 차가 쏘는 용도는 아니라는 건 잘 알고
무엇보다도 차체의 기민성은 차량 중량에 좌우된다는 것도 알고 있는데
소위 말하는 '스포츠세단'이나 'GT카'들의 경우 대부분 중량이 제차 혹은 그 이상 나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런 차들의 경우 직빨에서 느끼는 토크빨 말고
차체의 기민성이 소형 스포츠카에 준하는 정도로 따라오는지 여부가 궁금합니다.
즉, 갑작스런 지오메리트의 변화에도 잘 대응하는지
아니면 중량급 차체가 주는 '안정감'과 '토크빨'로 승부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궁극의 스포츠 세단이라는 M3나 M5같은 차들은 정말 스포츠카와 같은 기민한 움직임이 가능한건지 궁금하네요.
다음차로 휘발유 V8을 생각하는지라 그런 점들이 궁금합니다.

결국은 차량 중량 대비 접지력..의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타이어의 접지력을 좀 더 올리거나 서스 세팅을 좀 바꿔주면 나아지지 않을까 싶지만..
반대 급부로 소음이나 승차감이 조금 희생되겠지요..

1600보다 좀 더 나갈것 같습니다. 당연히 GTI 만큼 민첩하게는 안 움직이지요....
바리안트의 하체가 세단보다 좀 더 단단하다고 들었는데?
여튼 세단스폿은 특성상 노멀모델보다 한계치는 높은 느낌이고
써킷에서는 세단치고 꽤 안정적이고 리니어하게 부드러운 반응이라 좋았는데
한번에 쓰~~악 하는 느낌이 오긴 하더라구요.....도로에서는 가끔씩 그렇게 놀랐습니다. =.=
p.s 혹시 지금 타이어가 몬가요? 타이어의 영향이 크더군요 ^^;
p.s2 V8의 로망은 계속 가지고 있군요.....300C나 까마로 어때요?
걘적으로 V8은 비머보단 벤츠가, 독일차보단 미국차가...ㅋ
E46>=C63>>E63 입니다. 3 ~ 400kg 의 무게차는 어떻게 못하나 봅니다.
무게자체보다 무게의 분포가 더 중요합니다.
같은 무게라도 그 무게가 차체 가장자리에 분포되있는경우보다는 중앙에 몰려있는경우 차체가 turn 하는데 필요한 힘이 덜들게 되서 민첩합니다. 예를 들면 피귀어 스케이트 타고 회전할때 팔을 벌리고 돌때는 천천히 돌다 팔을 안쪽으로 부치면 훨씬 빨리도는 거와도 같은 이치입니다.
그런이유로 포르쉐나 훼라리 같이 엔진이 뒤에엤어 뒤가 무거운차들이 turn 할경우 앞쪽움직임이 상당히 민첩하게되서 핸들링이 더 좋다고하더구뇨.

얼마전에 BMW 신형 740i를 두시간 정도 시승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시내도로와 국도 그리고 잠깐의 와인딩을 코스로 했었는데 제아무리 면도칼 같은 핸들링을 자랑하는 BMW라도 큰덩치는 어찌할 수 없다는걸 느꼈습니다. 스포츠+모드까지 사용해봤지만 여전히 둔한 반응과 뒤뚱거리는 자체는 차라리 시승코스를 고속도로로 할껄 하며 차량 컨셉의 이해가 부족했던걸(혹은 장난기가 발동해서^^) 깨닫게 만들더군요. 대신 운전자나 시승자나 무지 안락하긴 했습니다.ㅋㅋ
국산차량.. 포텐샤... 공차중량 1600kg이 넘어가는 차량인데.. 경량화로 약 100kg 이상 군살을 빼내니...
민첩성 기민성..핸들링..연비.. 순간가속.. 등이 참~~ 좋아졌습니다... ^^
그렇다고해서..안정감이나... 뭐 그런건.. 뭐 큰 지장은 없는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