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drive
글 수 1,578
미아타를 구입 후 바로 정비와 서스펜션 튜닝을 위해 입고 후, 몇 일전에 차를 인수 받았습니다.
정비라고 해봐야 각종 오일류, 가스켓, 타이밍밸트, 워터펌프 등의 소모품을 교환한 것이고 17년 된 차라고 하기에는 차량 상태가 매우 좋은 편이었습니다. 서스펜션 튜닝은 부싱을 우레탄 부싱으로 교체하였고, 노후한 순정댐퍼를 가야바 제품으로 바꾸었는데 가야바 쇽 중에서도 선택한 제품이 승차감 위주의 제품이라 순정과 비교해도 큰 이질감이 없고 오히려 약간 더 부드러워진듯합니다.
제가 수동 차량을 몰아본지 3-4년이나 지나서 바로 몰기가 겁이나서 인수받는 날에는 아는 형님이 대신 주차장까지 차를 몰아오셨고, 오는동안 오픈하고 왔는데 비록 조수석이지만 바람맞으며 달리는 기분이 너무 좋았습니다.
그리고 지하에 며칠간 계속 세워 두었다가 그 형님을 다시 모시고 이틀전에 수동차량 연수를 받았습니다. 예전에 갤로퍼 수동을 2년간 운행한 경험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3-4년전의 일이기도 하거니와 토크가 높은 디젤엔진과 달리 예민한 가솔린 엔진 차량이라 출발도 못하고 시동 끄트리고 토끼뜀도 뛰고 하기를 수차례, 그나마 출발을 어떻게 하기는 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오늘 저녁, 다시 연수를 받으면서 이번에는 오르막 스타트도 연습을 하였는데 뒤로 밀리고, 시동 꺼지고 하기를 다시 수차례, 겨우 어느 정도 오르막 출발도 가능하게 되어 바로 팔공산을 올랐습니다. 오픈하고 천천히 산길을 오르는데 바로 이맛이야 싶도록, 여름날 밤의 오픈에어링은 정말 기가 막히더군요. 에어컨보다 더 시원한 산바람을 맞으며 달리니 신선놀음이 따로 없다 싶었습니다.
왜 컨버터블 매니아들이 컨버터블만 다시 찾는지 이해가 되었고, 단지 오픈이 가능하다는 이유만으로도 이 차의 가속성능이니, 출력이니, 최고속도니, 핸들링이니, 승차감이니 하는 것들이 아주 사소하고 부차적인 요소라는 느낌이 들 정도였습니다. 물론 그런 부차적인 요소들이 어느 정도 받쳐주기에 신경쓰지 않고 마음껏 오픈 에어링을 즐길수 있는 것일수도 있겠습니다.
비록 아직 수동차량에 완전히 적응하지 못하여 손발이 제대로 안맞지만, 그래도 생각보다 빨리 적응하고 있으니 조만간 능숙하게 변속이 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
적응조차 안된 차량에 대한 평가를 하기는 성급하지만, 경량 로드스터답게 스티어링 감각은 꽤 즉답적이고, 가속은 결코 경쾌하다고는 할수 없으나 1600씨씨 4기통엔진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수긍할만한 정도는 됩니다. 특히 오픈하고 산길을 여유롭게 와인딩하기에는 부족함이 없으며, 고속주행이 아닌 바람을 즐기기 위해 산 차라 그런 관점에서의 가속력은 충분합니다.
서스펜션은 스포츠카치고는 약간 부드럽지만 충분히 잡아줄 정도는 되고, 예전에 시승해본 구형 G35쿱이나 G2X보다는 약간 더 딱딱합니다. 제가 아직 변속이 서투르긴 하나 기어 넣는 맛도 좋습니다.
엔진음은 나쁘지 않으나 저속에서는 좀 탁하고 중속, 고속으로 올라가면서 오히려 좋아집니다.
유일한 단점이라면, 밀리는 브레이크 성능이 불만입니다. ABS가 옵션으로 장착가능하나 제 차에는 장착되어 있지 않습니다. 94년식 이후의 1800씨씨 모델부터는 브레이크 용량이 커졌다고 하는데 이전의 1600씨씨 모델은 브레이크 용량 자체가 좀 모자란듯하고 이것은 고성능 브레이크 패드를 쓰거나 94년식 이후의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이 있는데, 브레이크 업그레이드는 비용이 만만치 않아 당장은 고성능 브레이크 패드를 써보고 도저히 안되겠다 싶으면 후기형으로 업그레이드를 고려할 예정입니다.
아무튼 차량가격, 정비, 튜닝, 세금, 보험 등을 위해 지출한 비용을 모두 합해도 경차 1대 가격 정도이니, 비록 차량이 오래되기는 했으나 이 정도로 즐겁고 재미있는 차량을 가지기 위해 지출한 금액 치고는 많지는 않다고 생각됩니다. 대만족입니다.
3세대 미아타를 두고 반가격으로 박스터만큼 즐거움을 주는 차라고 평가한 것을 어디선가 보았는데, 1세대 미아타는 경차가격으로 박스터에 버금가는 즐거움을 주는 차라고 한다면 좀 과장일까요? 하하하...
정비라고 해봐야 각종 오일류, 가스켓, 타이밍밸트, 워터펌프 등의 소모품을 교환한 것이고 17년 된 차라고 하기에는 차량 상태가 매우 좋은 편이었습니다. 서스펜션 튜닝은 부싱을 우레탄 부싱으로 교체하였고, 노후한 순정댐퍼를 가야바 제품으로 바꾸었는데 가야바 쇽 중에서도 선택한 제품이 승차감 위주의 제품이라 순정과 비교해도 큰 이질감이 없고 오히려 약간 더 부드러워진듯합니다.
제가 수동 차량을 몰아본지 3-4년이나 지나서 바로 몰기가 겁이나서 인수받는 날에는 아는 형님이 대신 주차장까지 차를 몰아오셨고, 오는동안 오픈하고 왔는데 비록 조수석이지만 바람맞으며 달리는 기분이 너무 좋았습니다.
그리고 지하에 며칠간 계속 세워 두었다가 그 형님을 다시 모시고 이틀전에 수동차량 연수를 받았습니다. 예전에 갤로퍼 수동을 2년간 운행한 경험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3-4년전의 일이기도 하거니와 토크가 높은 디젤엔진과 달리 예민한 가솔린 엔진 차량이라 출발도 못하고 시동 끄트리고 토끼뜀도 뛰고 하기를 수차례, 그나마 출발을 어떻게 하기는 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오늘 저녁, 다시 연수를 받으면서 이번에는 오르막 스타트도 연습을 하였는데 뒤로 밀리고, 시동 꺼지고 하기를 다시 수차례, 겨우 어느 정도 오르막 출발도 가능하게 되어 바로 팔공산을 올랐습니다. 오픈하고 천천히 산길을 오르는데 바로 이맛이야 싶도록, 여름날 밤의 오픈에어링은 정말 기가 막히더군요. 에어컨보다 더 시원한 산바람을 맞으며 달리니 신선놀음이 따로 없다 싶었습니다.
왜 컨버터블 매니아들이 컨버터블만 다시 찾는지 이해가 되었고, 단지 오픈이 가능하다는 이유만으로도 이 차의 가속성능이니, 출력이니, 최고속도니, 핸들링이니, 승차감이니 하는 것들이 아주 사소하고 부차적인 요소라는 느낌이 들 정도였습니다. 물론 그런 부차적인 요소들이 어느 정도 받쳐주기에 신경쓰지 않고 마음껏 오픈 에어링을 즐길수 있는 것일수도 있겠습니다.
비록 아직 수동차량에 완전히 적응하지 못하여 손발이 제대로 안맞지만, 그래도 생각보다 빨리 적응하고 있으니 조만간 능숙하게 변속이 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
적응조차 안된 차량에 대한 평가를 하기는 성급하지만, 경량 로드스터답게 스티어링 감각은 꽤 즉답적이고, 가속은 결코 경쾌하다고는 할수 없으나 1600씨씨 4기통엔진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수긍할만한 정도는 됩니다. 특히 오픈하고 산길을 여유롭게 와인딩하기에는 부족함이 없으며, 고속주행이 아닌 바람을 즐기기 위해 산 차라 그런 관점에서의 가속력은 충분합니다.
서스펜션은 스포츠카치고는 약간 부드럽지만 충분히 잡아줄 정도는 되고, 예전에 시승해본 구형 G35쿱이나 G2X보다는 약간 더 딱딱합니다. 제가 아직 변속이 서투르긴 하나 기어 넣는 맛도 좋습니다.
엔진음은 나쁘지 않으나 저속에서는 좀 탁하고 중속, 고속으로 올라가면서 오히려 좋아집니다.
유일한 단점이라면, 밀리는 브레이크 성능이 불만입니다. ABS가 옵션으로 장착가능하나 제 차에는 장착되어 있지 않습니다. 94년식 이후의 1800씨씨 모델부터는 브레이크 용량이 커졌다고 하는데 이전의 1600씨씨 모델은 브레이크 용량 자체가 좀 모자란듯하고 이것은 고성능 브레이크 패드를 쓰거나 94년식 이후의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이 있는데, 브레이크 업그레이드는 비용이 만만치 않아 당장은 고성능 브레이크 패드를 써보고 도저히 안되겠다 싶으면 후기형으로 업그레이드를 고려할 예정입니다.
아무튼 차량가격, 정비, 튜닝, 세금, 보험 등을 위해 지출한 비용을 모두 합해도 경차 1대 가격 정도이니, 비록 차량이 오래되기는 했으나 이 정도로 즐겁고 재미있는 차량을 가지기 위해 지출한 금액 치고는 많지는 않다고 생각됩니다. 대만족입니다.
3세대 미아타를 두고 반가격으로 박스터만큼 즐거움을 주는 차라고 평가한 것을 어디선가 보았는데, 1세대 미아타는 경차가격으로 박스터에 버금가는 즐거움을 주는 차라고 한다면 좀 과장일까요? 하하하...

2008.07.21 08:44:50 (*.195.20.252)

글보다가 중간에 팔공산을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대구에 사시는가봐요...
다니다가 미아타보이면 인사 드리겠습니다.^^
저도 한번 만나뵙고 싶습니다^^;;
대구에 사시는가봐요...
다니다가 미아타보이면 인사 드리겠습니다.^^
저도 한번 만나뵙고 싶습니다^^;;
2008.07.21 11:20:22 (*.107.151.77)

전, 어제 팔공산에 저녁 먹으러 갔다가 안개와 빗속을 내려오는데, G2X를 보았네요. 전시장에서 본 이후 도로에서 주행하는 모습은 첨 봤는데, 신선했습니다. 요즘 한참 세일해서 판다고하는데, 팍 지를 가격이 아닌 듯하고... 아마, 로드스터가 없었더라면, 밤잠 설치며 고민하다가 질렀을지도... 하양에서 산지 한 달 되어가기에 팔공산까지 10킬로 거립니다. 경산쪽에서... 껀 수 만들어서 모이시면 저도 나가겠습니다.
2008.07.21 13:11:17 (*.195.20.252)

김시훈님 안녕하세요^^
저도 경산에서 직장을 다닙니다 이번달이면 여기도 빠빠이 하겠지만요^^;;
제 모교가 하양인데 가까운데 계시내요.
시간되면 언제 한번 모여보는것도 괜챃을것 같습니다.
^^
저도 경산에서 직장을 다닙니다 이번달이면 여기도 빠빠이 하겠지만요^^;;
제 모교가 하양인데 가까운데 계시내요.
시간되면 언제 한번 모여보는것도 괜챃을것 같습니다.
^^
2008.07.21 14:03:40 (*.100.17.230)

미아타 NA 모델의 경우 숨겨진 문제점(?)이 있습니다.
예전에 제가 탓던 차를 기준으로 하자면 뒤에서 봤을때 좌우 높이 차가 나더군요.
(약간 왼쪽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제차 만의 문제인줄 알았는데 그런 차가 많다고 하더군요.
주행에는 문제점이 없고 바로 잡아도 나중에 다시 기울어지기 때문에 신경쓰지 않고 타는 오너들도 많다고 하더군요.
예전에 제가 탓던 차를 기준으로 하자면 뒤에서 봤을때 좌우 높이 차가 나더군요.
(약간 왼쪽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제차 만의 문제인줄 알았는데 그런 차가 많다고 하더군요.
주행에는 문제점이 없고 바로 잡아도 나중에 다시 기울어지기 때문에 신경쓰지 않고 타는 오너들도 많다고 하더군요.
2008.07.21 16:53:13 (*.130.130.13)

제 애마도 92년식 미아타인데 반갑습니다. 저는 이제 데려온지 1달쯤 되어가는데 써놓으신 글 완전 공감합니다. 저는 다 마음에 드는데 차체 강성이 조금 아쉽습니다.
2008.07.21 18:18:26 (*.94.41.89)

제가 원래 홈타운이 방촌~ 부모님이 지묘동에 사십니다. 지금은 서울에 있지만.. 대구분들 함 모이면 내려 가고 싶습니다. 얼마전부터 클릭으로 스페 참가하고 있는데.. 팔공산이 나름 와이딩으로 유명한지 최근에 알았습니다.. 모이시면 연락주삼~~
2008.07.21 20:04:18 (*.237.106.151)

기울어지는 문제는 뒤쪽 프레임 문제입니다...그리고 브레이크는 가능하시다면 1.8 용의 브레이크로 교환하세요 (저도 파이어로드스터홈피를 많이 참고했습니다만..^^;)
강성에 관한건 사이드월 보조대와 뒤쪽 멤버쪽 삼각보강만 해줘도 눈에띄게 달라집니다
기본하체가 PPF프레임으로 생각보다 튼튼해서 강성보강과 서스펜션만 바꾸셔도 신나게 타실수 있으리라 봅니다
강성에 관한건 사이드월 보조대와 뒤쪽 멤버쪽 삼각보강만 해줘도 눈에띄게 달라집니다
기본하체가 PPF프레임으로 생각보다 튼튼해서 강성보강과 서스펜션만 바꾸셔도 신나게 타실수 있으리라 봅니다
2008.07.27 12:00:36 (*.126.60.12)

대구 회원님들, 반갑습니다. 팔공산에서 기어변속 미스로 주춤주춤거리는 미아타를 보시면 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오르막에서 신호대기할 때 너무 가까이 붙지 마세요. 출발할 때 본의아니게 뒤로 밀려서 난감한 상황이 생길지도 모릅니다. ^^
브레이크성능은 불만일 수도 있겠으나, 그대신 한계에서의 컨트롤성이
무척 좋습니다^^ 운전하면서, 락 된적이 한 번도 없습니다.
기분좋은 임계브레이킹만이^^
제동능력 자체를 업그레이드 하고 싶으시다면, 기아 아벨라와 전륜
디스크가 호환됩니다. 신품으로 교체하신 후 무수히많은 애프터마켓
용 패드 중 하나로 교체하신다면 아마 경량 차체에 충분하실 것입니다^^
국산차량과 호환 되는 부품이 꽤 있으니, 한 번 알아보세요^^
가속력도 폭발적이진 않지만, 촘촘한 기어비와 경량이 어우러져
국산 2.0 차량과 동등한 정도의 가속력을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