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평지에서도 y00km /h 을 넘길수 있게되었습니다..^^;
물론 가솔린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겠지만...
국내 양산 2.0 A/T 차량들과 어깨를 나란하게 할수있게된거같습니다..
지금 애마에 이것저것을 다 하다보니.. LPG 차량도 이젠 휘발유랑 못지않게 달린다는것을 느끼게 된거같습니다..^^
그러나 가솔린에 육박하다는것이지 뛰어넘지는 못하는 현실인거같아서 조금 아쉬움도 있네요..
언젠가는 LPG 차량도 가솔린과 똑같은 출력이 나올 날이 있겠죠..?
ps. BMW 에서 LPG 머쉰을 본적이 있었던거 같은데 ;;;;;
물론 가솔린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겠지만...
국내 양산 2.0 A/T 차량들과 어깨를 나란하게 할수있게된거같습니다..
지금 애마에 이것저것을 다 하다보니.. LPG 차량도 이젠 휘발유랑 못지않게 달린다는것을 느끼게 된거같습니다..^^
그러나 가솔린에 육박하다는것이지 뛰어넘지는 못하는 현실인거같아서 조금 아쉬움도 있네요..
언젠가는 LPG 차량도 가솔린과 똑같은 출력이 나올 날이 있겠죠..?
ps. BMW 에서 LPG 머쉰을 본적이 있었던거 같은데 ;;;;;
2008.06.01 14:12:26 (*.44.160.25)

1리터 1050 원 = 55L = 57,750 원 = 고속도로 350~400km
1리터 1850 원 = 31.2L = 57,750 원 = 고속도로 300km ???
그케 나지는 않을거같은디요 ㅡㅡ;;;;;;;;;
1리터 1850 원 = 31.2L = 57,750 원 = 고속도로 300km ???
그케 나지는 않을거같은디요 ㅡㅡ;;;;;;;;;
2008.06.01 20:10:02 (*.43.98.25)
하만이었는지 어딘지 기억은 안나는데, BMW차를 튜닝해서 LPG로 500마력 넘게 출력을 내던 차를 본것같습니다. 말도 안되는 괴물;;;
2008.06.01 22:26:53 (*.32.57.43)
구형 매그너스 L4 2.0 오토 lpg 기화기방식 겸용이었는데 lpi방식으로 며칠전 작업후 200키로 쉽게 넘긴다고 합니다..
2008.06.01 23:22:27 (*.86.66.25)

헉...
익현님 차량은 고속도로에서 가스를 좀 많이 드시네용...
제 카렌스는 그래도 고속도로에선 100~140 사이로 주행하면 대략 10Km/l 정도는 나오는데요...
너무 쏘시는거 아닌가욤? ^^;;
아직은 가스가 이득입니다... 출퇴근도 7Km/l 이상 나와주고 있으니... ㅡ.ㅡ;;
하지만 언제 오를지 모른다는거~~~ 흠...
익현님 차량은 고속도로에서 가스를 좀 많이 드시네용...
제 카렌스는 그래도 고속도로에선 100~140 사이로 주행하면 대략 10Km/l 정도는 나오는데요...
너무 쏘시는거 아닌가욤? ^^;;
아직은 가스가 이득입니다... 출퇴근도 7Km/l 이상 나와주고 있으니... ㅡ.ㅡ;;
하지만 언제 오를지 모른다는거~~~ 흠...
2008.06.02 02:10:01 (*.243.206.181)

세타2가 탑재된 로체 수동도 정말 잘 달리더군요~ 제차는 HD2.0인데 4단 레드존 무렵부터
조금씩 거리를 좁혀오더라구요~ 아직 4000km밖에 안탄 차인데도 정말 무섭습니다
준중형 2.0은 이제 물러날때가 온 것 같아요~ ㅠ.ㅠ
조금씩 거리를 좁혀오더라구요~ 아직 4000km밖에 안탄 차인데도 정말 무섭습니다
준중형 2.0은 이제 물러날때가 온 것 같아요~ ㅠ.ㅠ
2008.06.02 02:39:08 (*.254.186.170)

bmw e39 528 97년식 3년전 itary BRC社 기체분사 인젝션 시스템sequent fast
장착하고 지금 까지 별 트러블없이 타고 있으며 출력은 거의 출력을 느끼지
못하고있습니다..연비는 제가 좀 연비운전 스타일은 아니여서 시내6.5l/km
고속도로 10~11km/l 나오고 있습니다..매핑으로 약간의 출력위주나 연비위주
세팅도 가능하고요..믹서 방식도 요즘은 각종 피드백 장치들이 많 이 나와서
예전보다는 많이 좋아졌습니다..제가 장착할시만해도 수입차에는 적용한
사례가 많치않아 좀 걱정이였는데..지금까지는 만족스러운 상황입니다..
지난 카쇼에도 나갔었는데..보신 분들도 계실듯 하네요~ ^^
참~! 최고속은 계기판상 245km/h 정도 찍어 봤습니다..휘발유로도 그이상은
달려본적 없는거 같네요
장착하고 지금 까지 별 트러블없이 타고 있으며 출력은 거의 출력을 느끼지
못하고있습니다..연비는 제가 좀 연비운전 스타일은 아니여서 시내6.5l/km
고속도로 10~11km/l 나오고 있습니다..매핑으로 약간의 출력위주나 연비위주
세팅도 가능하고요..믹서 방식도 요즘은 각종 피드백 장치들이 많 이 나와서
예전보다는 많이 좋아졌습니다..제가 장착할시만해도 수입차에는 적용한
사례가 많치않아 좀 걱정이였는데..지금까지는 만족스러운 상황입니다..
지난 카쇼에도 나갔었는데..보신 분들도 계실듯 하네요~ ^^
참~! 최고속은 계기판상 245km/h 정도 찍어 봤습니다..휘발유로도 그이상은
달려본적 없는거 같네요
2008.06.02 02:58:31 (*.133.99.200)

LPG 55리터로 고속도로를 400키로밖에 못탄다는 건 조금 이해가 안됩니다. 박익현님의 운전스타일이 쏘는 쪽이 아닐까..^^ 토스카 LPG를 타봐도 최소한 리터당 9키로는 나왔고 NF LPG의 경우 10.5키로 정도 나왔으며 160km/h 정도의 고속주행을 했을 때 9키로 정도 나오더군요. 요즘차들의 인젝션 LPG의 연비는 휘발유의 90% 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튼 LPG 세단을 몰 수 있다는 건 아직까진 특혜라고 여겨지네요.
아무튼 LPG 세단을 몰 수 있다는 건 아직까진 특혜라고 여겨지네요.
2008.06.02 10:43:37 (*.133.138.117)

트렌스폼 2.0 LPI의 경우 속도로에서 70L로 200km까지
타 보았습니다.. -0-
사리(?)가 나올정도로 주행하면 10km/L까지는 나오더군요.. ㅎㅎ
연료특성상 편차가 큰것 같습니다.. ㅋ
타 보았습니다.. -0-
사리(?)가 나올정도로 주행하면 10km/L까지는 나오더군요.. ㅎㅎ
연료특성상 편차가 큰것 같습니다.. ㅋ
2008.06.02 11:07:34 (*.254.218.61)

저희집 NF LPi(12000km 주행)도 길이 안들었는지..
아직 연비 안좋습니다. 정리해 봤더니 휘발유기준 80~85% 정도의 유류비 정도 되는 것 같더군요.
아직 연비 안좋습니다. 정리해 봤더니 휘발유기준 80~85% 정도의 유류비 정도 되는 것 같더군요.
2008.06.02 14:02:07 (*.148.159.138)

익현님도 그렇지만 명근님의 운전 스타일도 만만치 않으실 것으로 예상됩니다... ^^;;
70L에 200Km면... ㅡ.ㅡ;;
제차로 일전에 대구에서 서울로 새벽에 오면서 130~140으로 거의 항속하고(2시간정도) 대략 35L로 300Km 조금 넘게 탔었는데...
어느정도로 쏘(?)신건지 대략 감이 올 듯 합니다...
하긴 LPG는 밟으면 기름보다 연비차이가 훨씬 심하긴 합니다... ^^
70L에 200Km면... ㅡ.ㅡ;;
제차로 일전에 대구에서 서울로 새벽에 오면서 130~140으로 거의 항속하고(2시간정도) 대략 35L로 300Km 조금 넘게 탔었는데...
어느정도로 쏘(?)신건지 대략 감이 올 듯 합니다...
하긴 LPG는 밟으면 기름보다 연비차이가 훨씬 심하긴 합니다... ^^
2008.06.02 15:16:01 (*.47.104.192)

부모님 TG270 LPi로 x40~x80km 정도로 순항(?)하니까 대략 연비 8~9km정도 나오더군요 ^^; 연비주행하면 10km 이상도 나오더군요.
시내에서 마음껏 다녀도 8km 나와서 햄볶았던 기억이 납니다 ^^; 가스 주입(?)하면서 LPi 만세! 한번 외쳤지요;;;
시내에서 마음껏 다녀도 8km 나와서 햄볶았던 기억이 납니다 ^^; 가스 주입(?)하면서 LPi 만세! 한번 외쳤지요;;;
2008.06.02 15:32:57 (*.220.62.39)
lpg도 하이캠 올려주시면 재미있습니다. sm5 99년식이지만 260캠으로 나름 재미있는 주행 가능합니다.. y10정도는 쉽죠.. 다만 이태리 brc 직분사로 성형수술 후 가능한 속도였습니다..
뭐 연비는 9km 정도 고속도로 연비도 비슷합니다.. 고속도로에서는 고속으로 달려서 그런거 같아요..^^
뭐 연비는 9km 정도 고속도로 연비도 비슷합니다.. 고속도로에서는 고속으로 달려서 그런거 같아요..^^
2008.06.02 18:29:38 (*.143.205.69)

안녕하세요 양상규입니다.
기환님 직분사 시스탬의 경우 얼마나 하나요?
제가 이 참에 가스차 한번 타볼까 해서요 그동안 미뤄왔던
장애등급도 나오고 해서 가능하거든요 요즘은 엄청 빡시던데요
등급 받는게 근데 모 엑스레이 한번 찍으니 의사도 놀라더군요
머 암튼 lpi 시스탬 차들은 좀 비싸고 믹서방식은 좀 싸던데
그래서 궁금해서요
기환님 직분사 시스탬의 경우 얼마나 하나요?
제가 이 참에 가스차 한번 타볼까 해서요 그동안 미뤄왔던
장애등급도 나오고 해서 가능하거든요 요즘은 엄청 빡시던데요
등급 받는게 근데 모 엑스레이 한번 찍으니 의사도 놀라더군요
머 암튼 lpi 시스탬 차들은 좀 비싸고 믹서방식은 좀 싸던데
그래서 궁금해서요
2008.06.02 19:24:15 (*.145.39.185)
가격이야 공업사 마다 다릅니다^^ 저는 부산에 거주하는지라 부산에서 유명한 공업사에서 했습니다. 만일 직분사로 개조하신다면 180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붐베와 구변 비용이 포함됩니다..
과거보다는 많이 저렴해진 가격입니다.
공업사 마다 다르지만 그래도 요즘은 가격이 뭐 워낙 오픈되어 있어 어디가나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단 6기통이면 좀 더 비쌉니다.. 인젝터가 많아져서요
저의 사견이지만 국산 2000cc면 그냥 lpli나 lpgi로 나오는 차량을 선택하겠습니다.
하지만 가솔린 차량을 가스차로 개조한다면 정말 추천드릴만 합니다..
또한 터보 튜닝을 생각하신다면 brc 시스템(터보용 대용량 인젝터)으로 가스 터보 올린 차량이 몇 차량 있습니다. 나름 재미있고 즐겁다고들 하셨구요..
7000rpm으로 다니는 맛도 나름 좋습니다.. 고속도로 주행후 친구는 휘발유 저는 가스 충전소~~
그때 기분이 최고입니다
과거보다는 많이 저렴해진 가격입니다.
공업사 마다 다르지만 그래도 요즘은 가격이 뭐 워낙 오픈되어 있어 어디가나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단 6기통이면 좀 더 비쌉니다.. 인젝터가 많아져서요
저의 사견이지만 국산 2000cc면 그냥 lpli나 lpgi로 나오는 차량을 선택하겠습니다.
하지만 가솔린 차량을 가스차로 개조한다면 정말 추천드릴만 합니다..
또한 터보 튜닝을 생각하신다면 brc 시스템(터보용 대용량 인젝터)으로 가스 터보 올린 차량이 몇 차량 있습니다. 나름 재미있고 즐겁다고들 하셨구요..
7000rpm으로 다니는 맛도 나름 좋습니다.. 고속도로 주행후 친구는 휘발유 저는 가스 충전소~~
그때 기분이 최고입니다
2008.06.02 19:44:12 (*.111.201.139)
기환님! 그럼 기존에 가솔린 터보차량에 lpg장착이 가능하다는 말씀인가요??? 가솔린 터보순정차도 관리에 신경을 써야되는데,lpg를 장착하고서 문제가 생기지 않는지 궁금하네요!!!
2008.06.02 20:00:03 (*.145.173.48)

LPG 로 기체 직분사 LPGI 로 하게된다면... 연료의 특성상 열과의 싸움이 가솔린보다 더더욱 혹독하게 되겠지요..
저의 경우 벌써 점화 계통, 엔진 배선 모두 교체 했습니다..
순정인 상태에서 고속크루징을 즐기고..와인딩까지 한때 타고다니다보니..
엔진 배선이 살짝 타거나.. 녹아서 ㅡㅡ;;;;;;;;
저의 경우 벌써 점화 계통, 엔진 배선 모두 교체 했습니다..
순정인 상태에서 고속크루징을 즐기고..와인딩까지 한때 타고다니다보니..
엔진 배선이 살짝 타거나.. 녹아서 ㅡㅡ;;;;;;;;
2008.06.02 20:14:58 (*.148.159.138)

LPG 엔진의 열이란... ㅡ.ㅡ;;
여름이면 팬이 내내 돌고 있는 느낌입니다... ㅋㅋ
소유해본 사람은 잘 알지요...
여름이면 팬이 내내 돌고 있는 느낌입니다... ㅋㅋ
소유해본 사람은 잘 알지요...
2008.06.02 20:47:36 (*.236.141.88)

인젝터 방식을 사용하는 업체들 요즘은 많습니다.
특히나 brc썼다가 다들 AS건때문에 국산제품이 더 잘 팔리능걸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본차들로는 7시리즈나 다코타는 대부분 국산제품으로 사용하더군요.
연료특성이 다르기때문이죠..
익현님 휘발유용 캠올리고 맵핑을 같이 맞춰주면 가능하답니다.
믈론 휘발유를 개조한 차량에 한해서겠죠 ^^
특히나 brc썼다가 다들 AS건때문에 국산제품이 더 잘 팔리능걸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본차들로는 7시리즈나 다코타는 대부분 국산제품으로 사용하더군요.
연료특성이 다르기때문이죠..
익현님 휘발유용 캠올리고 맵핑을 같이 맞춰주면 가능하답니다.
믈론 휘발유를 개조한 차량에 한해서겠죠 ^^
2008.06.03 00:26:07 (*.39.111.51)

사실 구변문제 때문에 공업사를 통해서 할려는거구요
개조작업 자체는 제가 해도 됩니다.
그리고 엔진의 열은 별로 상관 안합니다. 그건 제가 엔진작업 하면서
얼마든지 조정이 가능합니다. 실례로 압축압력 22.5 정도로
만들어서 3시간 동안 6천 이하로 안떨구고(5분정도 정차했습니다. 주유땜에)
그런식으로 테스트 해도 수온은 관리 됐으니까요
또한 엔진룸열의 경우도 얼마든지 개선이 가능합니다.
다만 구변에서 그런 공업사를 통하지 않으면 조금 문제가 되니
대행을 할려고 한건데 넘 비싸군요 ㅎㅎ 사실 수입차들 보면
열 많은차들은 알터나 기타 전장류쪽에도 에어덕트가 있지요
수명이 거의 2배나 차이가 납니다 그런걸 응용하면 의외로 엔진룸
열은 쉽게 잡힙니다. ㅎ
개조작업 자체는 제가 해도 됩니다.
그리고 엔진의 열은 별로 상관 안합니다. 그건 제가 엔진작업 하면서
얼마든지 조정이 가능합니다. 실례로 압축압력 22.5 정도로
만들어서 3시간 동안 6천 이하로 안떨구고(5분정도 정차했습니다. 주유땜에)
그런식으로 테스트 해도 수온은 관리 됐으니까요
또한 엔진룸열의 경우도 얼마든지 개선이 가능합니다.
다만 구변에서 그런 공업사를 통하지 않으면 조금 문제가 되니
대행을 할려고 한건데 넘 비싸군요 ㅎㅎ 사실 수입차들 보면
열 많은차들은 알터나 기타 전장류쪽에도 에어덕트가 있지요
수명이 거의 2배나 차이가 납니다 그런걸 응용하면 의외로 엔진룸
열은 쉽게 잡힙니다. ㅎ
2008.06.03 10:19:53 (*.148.159.138)

저도 동감입니다...
상규님 글을 보면 지금 바로 차 키 들고 나가고 싶어진다니까요... ^^
"상규님~~~ 안녕하세요~~~ 처음뵙겠습니다... 주저리너저리~~~(하루종일~~~)" ^^;;
상규님 글을 보면 지금 바로 차 키 들고 나가고 싶어진다니까요... ^^
"상규님~~~ 안녕하세요~~~ 처음뵙겠습니다... 주저리너저리~~~(하루종일~~~)" ^^;;
리터당 1000원....너무나 부럽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