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제네시스 쿠페의 가격책정이 합리적이며 적정한 수준이다라는 분위기가 온라인상에서 넘쳐나고 있습니다만 저는 현대차의 상술(?)에 또 한번 놀라게 되어 지금의 이 분위기가 조금 씁쓸하긴 합니다.
아직 차량성능이 검증되지는 않았습니다만 저 또한 제네시스 쿠페의 제원상 성능대 가격비를 봤을 때는 상당한 가격적 메리트가 있어 보이는 것은 사실입니다. 향후 구입까지 생각할 정도로요. 하지만 소비자들이 이렇듯 차량가격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지 않게 만든 것은 현대차 마케팅 부서의 철저한 준비에 의한 것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제네시스가 프리미엄을 표방하며 올초 국내에서 출시되었습니다. 여기에 이어 제네시스 쿠페가 나왔습니다.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할까요? 투스카니와 같은 형식의 차이기는 하지만 투스카니를 떠올리기 보다는 제네시스를 떠올릴 것입니다. 즉, 제네시스 쿠페라는 이름을 통해 제네시스라는 브랜드의 이미지를 가져오는 것입니다.
투스카니와 비슷한 이름, 혹은 전혀 새로운 이름으로 런칭 했을 경우 쿠페의 특징상 투스카니의 후속 모델이라고 보기 쉽습니다. 실제로 배기량이나 마력, 구동체계 등 많은 부분이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외관에 의해 기존 투스카니의 이미지가 제네시스 쿠페에 그대로 이어지는 것은 자명한 일일 것입니다. 차에 대한 이미지는 차치하더라도 우선 동급으로 인식이 되면 가격 인상이 상당히 어려워집니다. 원가상승 요인이 상당히 많았지만 대체적으로 일반 소비자들은 그런 차이 하나하나는 잘 알지 못합니다. 이런 경우 투스카니와 비슷한 차 같은데 가격은 엄청 비싼 차로 인식되기가 쉽습니다. 하지만 제네시스의 브랜드를 통해서 제네시스 쿠페가 기존 투스카니에 비해 인상된 원가를 보상받고도 충분할 만큼의 가격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분명 최근 몇달 동안 현대차가 제네시스에 광고, 홍보, 마케팅 등 다양한 활동에 막대한 비용을 투자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이 모든 과정을 통해서 현대차는 자기네들이 받고 싶은 만큼의 가격을 받으면서 소비자들의 거부감을 상쇄시켰던 것입니다.
국내 차량 메이커에서 신차가 출시되면 항상 가격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만이 많았었는데 이번 제네시스 쿠페의 경우는 예외인 듯 해서 좀 끄적여 봤습니다. 요즘 현대차가 기술력을 내세우고는 있지만 이번 제네시스 쿠페의 마케팅을 통해 역시나 상인의 피가 흐르는 기업이구나 하는 생각이 드는군요.
하지만요, 아무리 아무리 생각해 봐도 3.8 GT-P의 가격은 참 매력적인 것 같습니다.
아직 차량성능이 검증되지는 않았습니다만 저 또한 제네시스 쿠페의 제원상 성능대 가격비를 봤을 때는 상당한 가격적 메리트가 있어 보이는 것은 사실입니다. 향후 구입까지 생각할 정도로요. 하지만 소비자들이 이렇듯 차량가격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지 않게 만든 것은 현대차 마케팅 부서의 철저한 준비에 의한 것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제네시스가 프리미엄을 표방하며 올초 국내에서 출시되었습니다. 여기에 이어 제네시스 쿠페가 나왔습니다.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할까요? 투스카니와 같은 형식의 차이기는 하지만 투스카니를 떠올리기 보다는 제네시스를 떠올릴 것입니다. 즉, 제네시스 쿠페라는 이름을 통해 제네시스라는 브랜드의 이미지를 가져오는 것입니다.
투스카니와 비슷한 이름, 혹은 전혀 새로운 이름으로 런칭 했을 경우 쿠페의 특징상 투스카니의 후속 모델이라고 보기 쉽습니다. 실제로 배기량이나 마력, 구동체계 등 많은 부분이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외관에 의해 기존 투스카니의 이미지가 제네시스 쿠페에 그대로 이어지는 것은 자명한 일일 것입니다. 차에 대한 이미지는 차치하더라도 우선 동급으로 인식이 되면 가격 인상이 상당히 어려워집니다. 원가상승 요인이 상당히 많았지만 대체적으로 일반 소비자들은 그런 차이 하나하나는 잘 알지 못합니다. 이런 경우 투스카니와 비슷한 차 같은데 가격은 엄청 비싼 차로 인식되기가 쉽습니다. 하지만 제네시스의 브랜드를 통해서 제네시스 쿠페가 기존 투스카니에 비해 인상된 원가를 보상받고도 충분할 만큼의 가격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분명 최근 몇달 동안 현대차가 제네시스에 광고, 홍보, 마케팅 등 다양한 활동에 막대한 비용을 투자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이 모든 과정을 통해서 현대차는 자기네들이 받고 싶은 만큼의 가격을 받으면서 소비자들의 거부감을 상쇄시켰던 것입니다.
국내 차량 메이커에서 신차가 출시되면 항상 가격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만이 많았었는데 이번 제네시스 쿠페의 경우는 예외인 듯 해서 좀 끄적여 봤습니다. 요즘 현대차가 기술력을 내세우고는 있지만 이번 제네시스 쿠페의 마케팅을 통해 역시나 상인의 피가 흐르는 기업이구나 하는 생각이 드는군요.
하지만요, 아무리 아무리 생각해 봐도 3.8 GT-P의 가격은 참 매력적인 것 같습니다.
2008.09.30 15:18:47 (*.162.63.219)
이번 가격책정은 소비자입장에서 잘되었다고 생각되네요. 한편으론 v33을 3.8 GT-R 가격에 샀다는게 조금 억울하긴 합니다 T.T
2008.09.30 15:30:53 (*.145.28.61)

제 생각 같아선, 브랜드 대비 가격보다는 퍼포먼스 대비 가격에 의해 지지받는 것 같은데요. 3.8리터 NA의 FR 스포츠를 브렘보 브레이크 포함해서 차량가 3천 만원 초반에 살 수 있다는 것. ^^
ps. 성능검증... 일단 저는 되든 안 되든 베스모에 독자엽서 보낼 생각입니다.
ps. 성능검증... 일단 저는 되든 안 되든 베스모에 독자엽서 보낼 생각입니다.
2008.09.30 15:33:03 (*.254.112.153)

전세계 어디에서도 3.8리터 후륜 스포츠 쿱을 세전 2만 5천불에 살 수 있는 곳은 없는데요.. 이게 착한 가격 아니면 도대체 얼마가 적당한 가격인가요?
2008.09.30 15:35:27 (*.129.51.153)

투스카니 후속은 따로 나오지 않나요? 투스카니 후속이 나오게 된다면 그때 가격을 보면 확실해지겠군요.. 기업이 이윤을 추구하는건 당연해보이고, 소비자가 느끼지못한다면 정말 현대 마켓팅팀은 대단한것 같네요.. ^0^
2008.09.30 15:35:45 (*.105.6.42)

솔직히 말씀드려서 ....전 다소 반대적인 입장입니다.
말씀도 일리가 있지만,
BK의 가격은 동일 성능및(아직 검증단계는 아니지만..)
일단 전세계 어디에서 3.8liter NA엔진에 300마력오버..
브렘보 브레이크 19인치휠,RE050타이어등을
장착한 FR차량은 없다고 생각하고,알고있기에요^^;;
현대 상술의 진정한 승리는..
바로 "순정품"입니다.
원래는 "규격품이 맞는데...
모비스몰 만들기 전단계부터 지속적으로
"순정품"이란걸 강조해서.
지금은 순정품=무조건 써야하는 부품,
규격품≠안전 보장못하는 대충만든것
이라는 공식을 성립하게 하니까요..
말씀도 일리가 있지만,
BK의 가격은 동일 성능및(아직 검증단계는 아니지만..)
일단 전세계 어디에서 3.8liter NA엔진에 300마력오버..
브렘보 브레이크 19인치휠,RE050타이어등을
장착한 FR차량은 없다고 생각하고,알고있기에요^^;;
현대 상술의 진정한 승리는..
바로 "순정품"입니다.
원래는 "규격품이 맞는데...
모비스몰 만들기 전단계부터 지속적으로
"순정품"이란걸 강조해서.
지금은 순정품=무조건 써야하는 부품,
규격품≠안전 보장못하는 대충만든것
이라는 공식을 성립하게 하니까요..
2008.09.30 15:57:51 (*.222.248.27)

투스카니 후속이라 하더라도 엘리사 대비 저렴한 것은 사실입니다. 요즘 소비자들은 현명하기 때문에 어설픈 상술은 통하지 않죠. 전세계적으로 봐도 200마력 후륜구동 터보 수동 쿠페가 1100원 환율로 따져도 22000달러짜리는 없습니다. 국내 기준으로 봐도 비슷한 마력의 전륜구동인 폭스바겐 GTI의 거의 반값에 해외에서도 GTI보다 싸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합리적인 가격이라고 봐야 되지 않나요? 전 오히려 투스카니 엘리사가 비싸다고 봅니다. VDC도 없는 엘리사 기본형이 제네시스 기본형보다 140만원이나 비싸면서 겨우 JBL 오디오 달려 있으니까요. 대신 제네시스 기본형은 140만원 싸면서 210마력 엔진, 18인치 휠타이어, 버튼시동 스마트키 등이 달려 있으니 답은 뻔하지 않을까요.
그렇다면 합리적인 가격이라고 봐야 되지 않나요? 전 오히려 투스카니 엘리사가 비싸다고 봅니다. VDC도 없는 엘리사 기본형이 제네시스 기본형보다 140만원이나 비싸면서 겨우 JBL 오디오 달려 있으니까요. 대신 제네시스 기본형은 140만원 싸면서 210마력 엔진, 18인치 휠타이어, 버튼시동 스마트키 등이 달려 있으니 답은 뻔하지 않을까요.
2008.09.30 16:06:11 (*.180.138.44)
다른건 둘째치고 기본형의 안전관련 옵션이 충실하다 . 그리고 풀 에어백 옵션이
그레이드별 선택이 아니고 기본 선택사항이다는점에 정말 높은 점수를 주고 싶습니다.
그냥 기본형에 풀에어백만 달고 다녀도 재미있게 타는데는 손색이 없겠던걸요
그레이드별 선택이 아니고 기본 선택사항이다는점에 정말 높은 점수를 주고 싶습니다.
그냥 기본형에 풀에어백만 달고 다녀도 재미있게 타는데는 손색이 없겠던걸요
2008.09.30 16:07:03 (*.60.227.13)

현대의 상술을 떠나서 발표된 스펙을 놓고 볼때 기존 현대의 마인드로는 나올수 없는 가격이라고 생각합니다. 전 왠일인가 하고 있는데. 관점이 다르시군요. 뭐 1년동안 유료베타테스터들께서 운행하시는 결과를 지켜봐야 겠지만요.
2008.09.30 16:11:45 (*.117.99.154)
애초에 플랫폼 자체가 BH의 모디파이... 그 얘기를 들었을때 '절대 싸게 나올수가 없겠구나'라고 생각을 하게 되더군요.
개발당시에 관계자들에게 듣던 엄청난 가격을 듣다가, 실제 발표된 가격을 보곤 깜짝 놀랐습니다. 그때 들었던 가격보다 1000은 떨어졌거든요;;;;;;
개발당시에 관계자들에게 듣던 엄청난 가격을 듣다가, 실제 발표된 가격을 보곤 깜짝 놀랐습니다. 그때 들었던 가격보다 1000은 떨어졌거든요;;;;;;
2008.09.30 16:14:07 (*.32.163.98)

국내에서 쿠페차량의 비교적 젊은 구매층이 제네시스 세단의
구매층보다는 자금력(?)이 떨어진다는 걸 현대에서도 고려하지
않았을까요. 현대에서 마음만 먹으면 제네시스의 이미지에
묻어가기를 이용해서 가격을 더 올릴수도 있었을 것 같습니다.
프론트서스펜션에 맥퍼슨스트럿을 쓴것도 가격을 내리기 위한
원가절감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군요.
차량 자체를 봐도 섀시와 파워트레인 모든 부분이 바뀌었기 때문에
투스카니라는 이름은 더 이상 안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구매층보다는 자금력(?)이 떨어진다는 걸 현대에서도 고려하지
않았을까요. 현대에서 마음만 먹으면 제네시스의 이미지에
묻어가기를 이용해서 가격을 더 올릴수도 있었을 것 같습니다.
프론트서스펜션에 맥퍼슨스트럿을 쓴것도 가격을 내리기 위한
원가절감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군요.
차량 자체를 봐도 섀시와 파워트레인 모든 부분이 바뀌었기 때문에
투스카니라는 이름은 더 이상 안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2008.09.30 16:58:34 (*.229.119.240)

제생각엔 마지노선까지 낮춘듯 해 보이네요.
더욱 가격이 저렴하다면, 젠쿱을 기다려온 매니아들은 외려..가치를 낮게 볼듯도 합니다. 누구나 살 수 있으면 참 좋겠지만, 이정도 급의 스포츠카라면.. 누구나 사는걸 꺼려하는 매니아층이 선호할수 있을테니까요. 큰 차이없는 성능의 G37 쿱이랑 2500(디씨포함 거품제거시)차이 나는건.. 인정 해줘야하지 않을까 싶네요.
예전 600 대 한정 티뷰론 스페셜의 알미늄바디도 그랬지만, 출시시기의 젠쿱은.. 투자비용 대비 과감한 가격정책으로, 말많고 입 큰 매니아들의 입을 막아버리는데 매우 신경을 쓴걸로 보입니다.
더욱 가격이 저렴하다면, 젠쿱을 기다려온 매니아들은 외려..가치를 낮게 볼듯도 합니다. 누구나 살 수 있으면 참 좋겠지만, 이정도 급의 스포츠카라면.. 누구나 사는걸 꺼려하는 매니아층이 선호할수 있을테니까요. 큰 차이없는 성능의 G37 쿱이랑 2500(디씨포함 거품제거시)차이 나는건.. 인정 해줘야하지 않을까 싶네요.
예전 600 대 한정 티뷰론 스페셜의 알미늄바디도 그랬지만, 출시시기의 젠쿱은.. 투자비용 대비 과감한 가격정책으로, 말많고 입 큰 매니아들의 입을 막아버리는데 매우 신경을 쓴걸로 보입니다.
2008.09.30 17:02:56 (*.105.6.42)

참..갑자기 궁금한게..
익렬님.."미털"이었던..........(과거형)
강성환입니다 ^^
프로필 사진의 차량이 뭔가요 ?? 궁금하네요~
익렬님.."미털"이었던..........(과거형)
강성환입니다 ^^
프로필 사진의 차량이 뭔가요 ?? 궁금하네요~
2008.09.30 17:22:41 (*.129.113.56)
미국발 신용위기 때문에 국내 경기가 얼어붙어 가격을 높게 붙일 수가 없어서 낮게 가져갔다고 생각하는건 저뿐인가요...^^;;;
2008.09.30 17:59:47 (*.150.179.88)

깜독님 프로피 사진차량은
1979년 Andy Worhol이 paint한 BMW M1 입니다.
현재 170억원을 호가 한다 합니다.^^;;
1979년 Andy Worhol이 paint한 BMW M1 입니다.
현재 170억원을 호가 한다 합니다.^^;;
2008.09.30 18:07:45 (*.91.28.170)

저가의 FR 스포츠카가 전 세계적으로 멸종위기인 상황에서, 투스카니에서 약간 올려잡은 정도의 가격과 30% 더 주는 엔진 출력은 상당히 납득할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
2008.09.30 19:20:15 (*.151.235.75)
저도 대체로 가격이 적정하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걱정은 2-3년후 이런저런 핑계로(원자재가절상등) 가격이 오를까봐 미리 사놔야 되는지 고민될 정도니까요. ㅎㅎㅎ 그리고 엘리사에서는 수동/자동 동일한 가격이었는데 이번에 ZF 6단이 215만원으로 책정한 것을 보니 수동미션에서 원가절감을 많이 했나 봅니다. 한편으로는 미션 내구성이 걱정되기도 하네요. 물론 강성환님은 더 하시겠군요^^/ ~ 김성환님 베스모 보내실때 테드 회원님들 공동싸인을 받는 것을 어떨지요? 물론 현실적으로 좀 어렵기는 합니다만... 암튼 꼭 성사되길 바랍니다!! (전 폴쉐로 가는 중간점으로 1년후 BK를 고려중입니다.)
2008.09.30 19:25:47 (*.151.235.75)
참 이건 좀 다른 이야기지만 머스탱 쿠페도 3600만원정도에서 45주년 기념 모델 판매한다고 하는데 이것도 젠쿱(3.8 오토일경우 )과 가격이 비슷해서 젠쿱의 잠재고객을 일부 뺏어갈 수 있겠다는 생각도 해봅니다. 물론 출력에서나 배기량에서는 비교가 안되지만요... FTA 가 어떻게 될진 모르지만 머스탱이 젠쿱보다 싸질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는 1인입니다.^^
2008.09.30 20:11:08 (*.189.162.216)

음...4.6도 나오는거 맞나요?
4.6도 여기서 가격차가 크지 않다면...
머슬스러운 V8에 FR이니 무게배분 괜찮을터이고...
거기게 과급을 한다면...
날라다닐라나요?
현대를 싫어하는 저도 이번 가격보고는 깜짝놀랐습니다...
참 저렴하더군요...
물론 실차를 봐야 얼마나 원가 절감이 이루어진것인지 확인할 수 있지만 말입니다...
4.6도 여기서 가격차가 크지 않다면...
머슬스러운 V8에 FR이니 무게배분 괜찮을터이고...
거기게 과급을 한다면...
날라다닐라나요?
현대를 싫어하는 저도 이번 가격보고는 깜짝놀랐습니다...
참 저렴하더군요...
물론 실차를 봐야 얼마나 원가 절감이 이루어진것인지 확인할 수 있지만 말입니다...
2008.09.30 20:59:28 (*.243.246.163)

1~2년 지난후의 구매자들의 평가가 나쁘지 않다면 많은 부분에서 개념 상실했던 현대에도 미래에 대한 희망을 걸어볼수 있을까요..?ㅎㅎ 변화의 시작이라면 반갑습니다.
2008.10.01 02:19:37 (*.57.198.32)

저는 솔직히 영준님 말씀에 동감합니다.
2.0T FR, 3.8 V6 FR...
솔직히 수십년전부터 해외 회사들이 만들어 오던 플랫폼입니다.
단순히 FF에서 FR로 바뀐다해서(그리고 제네시스라는 이름아래...)
가격을 올릴려는 마케팅이 제데로 먹혀들어갔다고 생각합니다.
당연히 현대가 FR 스포츠카를 만든다는거에 저도 높은 점수를 주지만..
솔직히 수년전이 이미 이루워 졌어야 했다는거..
지금 판매하는거에는...그리 대단하다고 느껴지진않습니다.
(현재의 현대의 규모로 보면...예전부터 FR세시는 있었어야...)
다른 회사들이
저가 FR시장의 시장성에 큰 기대가 없기에
생산안하는걸뿐이지.....
그게 자연스럽게 현대의 기술력을 보여주는거라고 보진않습니다. ^^
과연 단순히 후륜구동(?)이라는 점과
제니시스라는 이름의 고급화로
실질적인 대중적 구매자들에게 얼마나 매리트가 될지는...
2.0T FR, 3.8 V6 FR...
솔직히 수십년전부터 해외 회사들이 만들어 오던 플랫폼입니다.
단순히 FF에서 FR로 바뀐다해서(그리고 제네시스라는 이름아래...)
가격을 올릴려는 마케팅이 제데로 먹혀들어갔다고 생각합니다.
당연히 현대가 FR 스포츠카를 만든다는거에 저도 높은 점수를 주지만..
솔직히 수년전이 이미 이루워 졌어야 했다는거..
지금 판매하는거에는...그리 대단하다고 느껴지진않습니다.
(현재의 현대의 규모로 보면...예전부터 FR세시는 있었어야...)
다른 회사들이
저가 FR시장의 시장성에 큰 기대가 없기에
생산안하는걸뿐이지.....
그게 자연스럽게 현대의 기술력을 보여주는거라고 보진않습니다. ^^
과연 단순히 후륜구동(?)이라는 점과
제니시스라는 이름의 고급화로
실질적인 대중적 구매자들에게 얼마나 매리트가 될지는...
3.8리터 엔진에 수동이 나오는 차는 정식 수입되는 차 포함해서..
현대 뿐이죠.^^
마케팅도.. 능력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