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포르쉐 수평대향 엔진의 내부 스크레치 문제는 아주 잘 알려진 문제점입니다.
포르쉐의 수평대향 엔진은 크게 드라이 섬프 방식을 사용하는 메츠거 엔진과 웻 섬프 방식으로 나뉘는데, 메츠거 엔진은 터보와 GT2, GT3에 사용되었고, 997까지만 사용되었습니다만 991에서 사용된 신형 GT3엔진이 워낙 하자가 많고 강도가 약해 991 GT3 컵 카에는 여전히 메츠거 엔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3.4리터 카이맨S에서 빼놓은 엔진은데 위의 블럭은 뱅크1으로 조수석쪽 뱅크로 보통 엔진스크레치는 운전석쪽인 뱅크2에서 발생합니다.
아래의 사진을 보시면 엔진 스크레치의 모양이 어떤 방식으로 전개되는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하단에 발생하는 저 스크레치는 손으로 만지면 매우 거칠고 울통불퉁합니다.
저정도면 피스톤이 실린더를 스치는 소리가 선명하게 들릴 정도로 엔진이 완전히 맛이 갔다고 보면 됩니다.
제가 인모션모터스에서 차를 정비하면서 수시로 들락날락하느라 뜯어놓은 엔진들을 거의 모두 직접 보고 만지고 합니다만 그동안 수도없이 많은 이런 엔진들을 봐왔습니다.
특별한 이유를 찾기에는 너무나 많고, 여기저기서 잘못 정비해서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특별한 부주의가 없는 상황에서도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큰 문제라고 생각되어 집니다.
문제는 991에서도 GT3도 문제가 발견되기는 했지만 카레라나 S등에서도 동일한 문제로 워런티 수리가 보고 되어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렇게 완전히 실린더가 작살난 엔진도 아주 완벽하게 복원이 가능합니다.
새로 블럭을 구입하는 것보다 훨씬 저렴하게 위의 사진처럼 라이너를 박는 방식인데, 매우 정교한 작업을 요하고 실제로 인모션모터스에서 많은 차량이 사진의 라이너 작업을 했지만 하자가 없을 정도로 순정 블럭보다 더 튼튼한 라이너 덕분에 새생명을 얻는 경우를 많이 보았습니다.
실린더마다 특수 가공을 해서 꼽다 넣는 방식인데, 문제는 라이너를 박는 것도 정교한 작업을 요하지만 기타 엔진 구성품들을 새로 조립하는 과정이 포르쉐 매뉴얼을 완벽하게 따라야하는 숙제가 있습니다.
현재 인모션모터스에서 포르쉐의 엔진을 리빌드 하는 과정을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찍어서 편집중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저도 대부분의 과정을 눈으로 봤습니다만 정말 엔진을 새로 만드는 과정속의 정성과 처음에 정말 뻑뻑하게 돌던 크랭크샤프트가 크랭크케이스를 풀고 조이고를 반복하면서 부드럽게 도는 것을 확인할 때는 정말 신비롭기까지 했습니다.
이런 숙련된 전문가가 아니고서는 절대 수평대향 엔진을 만지지 말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수도없이 많은 사례가 잘못된 정비를 통해서 문제가 확산됨을 말씀드렸고, 일반 엔진을 다루는 것보다 훨씬 복잡하고 복잡한 매뉴얼을 요구하는 매우 까다로운 엔진임을 스스로 인정하지 않고는 엔진을 새로 조립해 봤자 얼마안가서 또 부서지고 마는 경우를 너무 많이 봐왔습니다.
완벽해보이는 포르쉐입니다만 실상 미스테리한 부분이 참으로 많은 브랜드이기도 합니다.
엔진을 완전히 뜯지 않고도 내시경 검사를 통해서 엔진 스크레치는 심한 경우 바로 파악이 가능합니다.
본인의 수평대향은 건강한지 한번쯤은 확인해볼 필요가 있을 정도로 너무나 많은 사례에 놀라지 않을 수 없습니다.
-testkwon-

링과의 마찰에 의해서만 저정도까지 가지는 않았을 것 같은데요...
피스톤 헤드(크라운) 부분은 온전한지 그리고 피스톤 측벽은 손상되지는 않았는지 궁금합니다.
(결함으로 추정되는) 메인베어링과 크랭크축의 이상마모, 또는 조립 불량의 경우 피스톤 측벽에도 스크래치를 남기던데 말입니다.
그리고 비슷한 수평대항 타입인 스바루 엔진도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을까요?
스바루도 박서 엔진에는 포르쉐만큼 방대한 데이터와 경험이 있을터인데 포르쉐가 엔진설계에서 조금 아쉽지만 안일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스바루는 저렇지 않습니다. 가끔 스바루동호회에 처음 온 사람들 놀리냐고 5년에 한번씩 엔진 뒤집어서 달아줘야 양쪽 골고루 닳는다는 농담을 하긴 합니다. 북미 STi 2.5가 튜닝시 블로우나는건 포르쉐같은 본질적인 문제가 아니라 북미용으로 싸게 개발한 피스톤의 상부와 링랜드 (링 넣는 홈) 거리가 너무 짧아 튜닝도 안 한 순정상태에서 열심히 탔을 때 녹아내림/깨짐으로 인한겁니다.
파워스트로크에서 아래로 밀 때 피스톤이 좌우로 흔들/제껴지는 건 중력에 비하면 엄청난 힘이기 때문에 어디로 누워있건 실린더 벽이 긁히면 안됩니다.

지금은 저도 판매한 차라 잊고 있었는데 신형 직분사 박서엔진들도 스크레치가 발생하는군요.
안타까운 일입니다
한가지 이해가 안되었던게 해결됐네요 그동안 박서엔진은물리적으로 일반적인 엔진이나 V형 방식대비 오일이 중력에 의해 오일팬으로 흘러내리지 않아 엔진이 작동하지 않아도 피스톤이 오일에 상시 젖어있어서 내구성이나 윤활력이 좋을줄 알았는데 폴쉬의 박서는 오히려 중력의 영향을 더받는 구조군요

5월 2일 이상은님께 보내드린 쪽지 내용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상은(쿱1214) 2016.05.02 23:02 |
안녕하세요. 카이맨으로 수정했습니다. 지적 감사드리며, 남겨주신 답글의 상당 부분은 임의 수정했음을 알려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상당부분이라는 내용에 대해 오해 없으시라고 말씀드리지만 상당한 부분을 수정했다는 내용이 아니라 해당내용에만 해당하는 것으로 오타 수정에 대한 내용만을 수정했습니다. |
IMS베어링의 설계 결함도 문제의 원인이 아닐까 싶습니디.

저게 흔한 일이라면 그냥 설계상 하자로 보이네요. 솔직히 개인들이 차를 소유하면서 저정도까지 정비하고 싶은 사람은 거의 없을 테니까요. 일반적인 차에서 실린더 스크래치=그냥 폐차 죠. 포르쉐니까 저정도까지 고쳐보려고 하지.....
포르쉐 기술력이 스바루보다 떨어지나 하는 생각까지 들게하는 내용이네요. 잔고장 안 난다 신뢰성 높다 하는 포르쉐인들, 이 문제가 흔하다면, 그것 만으로도 포르쉐는 결코 구입하고 싶지 않게 만들 충분한 이유가 되는군요.

엔진내구성만 놓고본다면 스바루바 포르쉐보다 뛰어난것은 가능하다고봅니다. 이것만으로 포르쉐보다 기술력이 좋다고보긴 무리죠. 지향점이 다르니까요. 다른 모든메이커들이 그렇듯 최근추세는 내구성을 확보하는것을 그리 중시하지않는것같습니다. 이는 MB BMW Audi 등 심심치않게 느껴지는부분입니다. 포르쉐역시 크게다르지않아서 90년대후반 접어들면서 약해지는 모습에서 2000년대후반 직분사로바뀌면서 더욱 차이가나게 되었다 보여집니다.
실린더 스크레치..
이정도면 설계상 하자로 봐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아니 설계상 하자가 아니라, 타 메이커 박서엔진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큰 피스톤을 사용하는 포르쉐 박서엔진의 고질병이라고 봐야할까요. 피스톤 자체가 크다보니 질량도 크고 박서엔진 특성상 수평으로 피스톤이 실린더 벽을 타면서 내리누르는 힘이 V형식이나 I형식 엔진에 비해서 큰것은 어쩔수가 없는 것 같습니다.
고칠 수 있다 하더라도, 만만치 않은 수리비와 언제 터질지 모르는 불안감..
저 또한 964와 993을 제 드림카로 뽑지만, 가지고 와서 신나게 밟을 일은 지갑이 가벼운 저로서는 어려울 것 같네요.
그래도 박서엔진만의 카랑카랑한 사운드는 항상 멋지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