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르망 타던 시절에 하이텔 달구지 동호회에서 공동구매했던 티탄대쉬를 넣어본게 처음이였는데
체감 효과 별로 없었고요, 그 이후로 스파크 플러그 파손으로 실린더 스크래치가 있었던 프린스에
테프론 계열 첨가제를 한번 사용 했었습니다만 역시나 전혀 달라진게 없었죠.
그 이후로는 코팅제를 쓴적이 없었는데, 작년에 지금 타는 캠리의 연비가 극도로 나빠져서
지푸라기 잡는 심정으로 리퀴몰리 세라텍을 사용한적이 있었습니다. 역시나 효과는 없었는데,
사실 엔진은 멀쩡했고 밋션오일 교체 후에 연비가 다시 정상이 되었거든요.
제 캠리가 렉서스ES330과 같은 차다 보니, 렉서스 정비 사례를 즐겨 찾아보곤 하는데요,
우연히 보게 된 정비소 블로그의 정비사례 글입니다 (업체 광고 아닙니다 ^^;).
하여간 앞으로는 코팅제 넣을 일 없겠구나 하고 있었는데, 이 블로그의 글을 보고 굳이 넣을거면
제품 특성을 확실히 알아보고 넣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코팅제가 실린더 내벽을 코팅한게
아니라 엔진 내부 슬러지를 구석구석에 코팅해 버렸더군요 (허걱~).
http://otk2257.blog.me/221001697527
사진들을 보면 거의 젤리처럼 떡이진 코팅제가 엔진 내부를 뒤덮었습니다. 필터도 막혔을텐데,
필터 내부의 스프링 밸브가 열려서 필터를 바이패스해서 오일이 돌고 있었겠죠? 스크레이퍼까지
막히지 않았을까 걱정스러워 보일 정도입니다. 문제를 일으킨 코팅제가 어떤 제품인지는
알 수는 없으나, 코팅제는 실린더 안에서만 작용할거라는 근거 없는 생각으로 그동안 코팅제를
사용했던 제가 다 한심하게 느껴지더군요.
오일 없이 돌아가는 기계라면 모를까, 오일을 몇 바가지씩 머금고 돌아가니까요.
다만 플러싱은 중고차 두 대에 한 번씩 모두 두 번 해봤었는데, 두 대 모두 플러싱 후
소음이 증가하더니 2~3만km 주행 후 헤드쪽 소음이 엄청나게 증가해 있었습니다.
신차 출고시부터 오일 교환을 잘 해주거나, 연식 오랜 중고 사서 오래 탈 생각이라면
그냥 엔진 오버홀 해서 타는게 정신건강에 이로운 것 같습니다.


조심스러운 사견으로는 차령도 있고 원래 엔진오일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은 차 같습니다.
로커커버 안쪽의 찌든 때도 닦아냈는데도 안 닦이는 부분도 있고
캠샤프트, 헤드 윗면의 검게 떡진 부분이 오랜시간 축적된 것 처럼
보여집니다. 그리고 그 위에 코팅제가 덮인 것으로 보이네요.
저 사례는 엔진오일 관리 부족이거나 혹은 특정 코팅제가 일으켰던 문제인 것 같습니다.
S2000에 리퀴몰리 세라텍1회, 모터프로텍트 1회 넣고 잘 타다가 차를 매각했는데,
차를 사간 동생이 엔진을 열어보고는 '슬러지 하나 없고 완전 새차같은 상태'라고
극찬을 한 적이 있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저도 자동차 정비쪽에 계신 분들이 첨가제 쓰는 걸 본 적도, 추천도 안해서 절대 안쓰고 있습니다...

첨가제는..사람으로 따지면 아플 때 먹는 약이라고 봐야할까요..
적당히 먹으면 건강해지지만.. 많이 먹으면 역효과 나듯이..
첨가제라고 막 넣지 말고 특성을 잘 알고 넣어야겠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제 주변에선 정비, 튜닝하는 사업장 사장님들도 자차에 첨가제 많이 쓰고, 메이커에서 차 만드는 엔지니어들도 첨가제 때마다 쓰고있는걸 자주 봤네요.
전 엔진오일은 음식과 같다고 봅니다.
좋은 기유(음식재료)와 좋은 첨가제(조미료, 향신료)가 비율이 맞게 섞여 있어야 몸에 좋고 맛있는(?!) 오일(음식)이 된다고 보는데, 엔진오일에 첨가제를 넣는다는건 잘 만들어진 된장찌게에 소금이나 후추, 설탕을 더 넣는 꼴이라고 보여지기 때문입니다.
유일하게 넣는 첨가제는 디젤 연료 수분제거제(+세탄가 향상 등등의 효과가 추가된)만 예방차원에서 주기적으로 넣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