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80
'민첩하고 안전한 드라이빙을 위해서는, 스티어링을 3시와 9시 위치에 바로잡고, 시트포지션을 당겨 팔길이와 다리공간에 충분히 여유를 두는것이 좋다.' 는 얘기는, 국산차 사면 따라오는 매뉴얼북에도 있는 내용이고, 각종 드라이빙 스쿨에서 누구든 한두번 이상 접한 기본적인 자세일겁니다.
차를 운동하게 하는데는, 스티어링과 페달링이 대부분을 좌우하고 다른행위는 보조역할을 합니다. 오토밋션 차를 처음부터 몰던 드라이버가 매뉴얼밋션 운전을 새로 시작해도, 이 부분에 정통해 있으면 적응하는데 별 시간이 걸리지않고, 금방 익숙하게 되죠. 물론 스틱운전의 재미는 분명히 존재하지만.. 스티어링웤과 페달웤에 능통하려 관심을 가지면, 레이싱, 스포츠드라이빙, 일상중의 와인딩 드라이빙에 매우 유익합니다.
괴변일지 모르지만, 일상 운전중에 지나치게 스탠다드한 자세를 취하는건 찬성하지 않는 편인데.. 막힌 도로에서 서행중에는, 시트를 눕히고 좀 자빠져서 운전해도 별 문제없다고 봅니다. 고속도로의 중고속 크루징 중에도, 지나치게 긴장되고 타이트한 자세일때는 과잉 스티어링 웤으로, 비상시 오버 핸들링등의 실수를 할수 있어..편한 자세를 취하는게 좋다는 견해입니다.
고속으로 달리게 되면 누구든 긴장도를 높히게 되고, 자동으로 3시와 9시 위치에 손이 갑니다. 배우지 않아도 우리몸엔 초기입력이 되어있는거죠. 문제는.. 이때, 피로도를 줄이기 위해 팔이 아니라, 양어깨로 밀듯이 지긋한 힘을 주는게 좋고, 이렇게 하면 만에 하나 도로중에 급작스러운 돌기물이나 파인곳을 만나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됩니다.
트랙운전을 해보면 극명하게 느낄 수 있지만, 핸들링의 양을 줄일수록 빠릅니다. 분명히 다른사람보다 액셀을 강하게 밟는거 같은데, 코너에서 스피드가 나지않는 이유는 스티어링각이 심해 횡으로 스티어링브레이크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이고, 여기에 설상가상 액셀량이 많을수록 한결 더 슬립앵글은 벌어지게 됩니다.
스티어링을 잡은 양손이 수직이상 돌아가지않도록 양을 절제하는데는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코너진입전에 최대한 아웃으로 빠져 R값을 줄이는 방법과, 리어를 슬라이드 시키는 방법입니다. 리어를 슬라이드 시키려면, 트레일브레이킹에 의한 하중이동에 대한 확고한 트레이닝이 필요하고, 노면정보가 익숙치않은 공도에서 함부로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어쩌다 한번 뒤가 미끌어진걸로 '난 날리면서 탄다.'는 착각을 하시는 분도 있지요. '항상..같은 양의 슬라이드를 의도적으로 일으키는 수준'이 아니면, 스스로를 위험하게만 만드는 생각입니다. 또한 '차를 던져놓고 잡는 운전법'은 비효율적이고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던져놓고 어렵사리 균형을 잡아 자세를 가다듬는 동안, 더 중요한 '빠른탈출'은 뒷전이 되는것이죠. '빠르게 달리려다 보니 자연스레 리어가 흐르는 운전' 이 잘하는 운전입니다.
고로.. 코너각이 심한 와인딩에선 아웃으로 충분히 빠졌다 인으로 파고들며 R값을 줄여 스티어링을 잡은 손이 크로스되지않게 유지하는게 효율적인데, 이는 코너링 이후 스티어링을 원상복귀시키는 타이밍에도 도움이 됩니다. 코너 이후 탈출구간은 실제로 차를 빠르게만드는 가장 중요한 구간으로 스티어링 리액션이 빠르게 전개될수록 한결 가속타이밍을 서둘러줍니다.
그러나.. 흔치않은 경우에, 극렬한 헤어핀을 만나 양손이 크로스되어야 함에도, 원칙을 지키기위해 같은 위치만 붙잡고있는것도 넌센스 입니다. U 자 이상을 돌아야하는 헤어핀이나 롱코너에서는, 한동안 리니어하게 유지해야 하는 핸들링각을 위해, 미리 손을 옮겨잡아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많은 량의 핸들링이 필요한데 손위치를 유지한채 버티면 몸의 자세가 틀어지고, 차의 동세를 정확히 모니터링 할수없게되기 때문입니다.
코너각이 심한 코너에서 핸들링 중, 고개와 몸이 지나치게 따라 돌아가면.. 리어슬라이드나 만약에 있을수도있는 스핀 시에 카운터링이나 장애물 회피 시 과잉액션이 들어갈 수 있어, 큰 사고나 리버스스티어를 유발 할 수 있죠. 자신의 느낌상..코너링 각과 차체 방향의 중간정도로 목이나 몸의 각을 유지하는게 효율적이라 봅니다.
특히..고속 롱코너에서는 양어깨의 바른자세를 유지하고 균일한 힘으로 스티어링을 고정하는게 좋은 경우가 많아, 때에 따라서 코너각 만큼의 스티어링 상태에서 양손을 부드럽게 정위치에 옮겨 잡아 어깨힘을 이용해 지긋이 눌러주면, 속도와 R 값에서 오는 공포심을 줄일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카운터링이 필요할때 절제된 핸들링을 구사할 수도 있고요..
각자의 습관에서 조금씩 응용하면, 스티어링 웤의 다양한 묘미를 즐길 수 있을것 같습니다.
깜장독수리..
차를 운동하게 하는데는, 스티어링과 페달링이 대부분을 좌우하고 다른행위는 보조역할을 합니다. 오토밋션 차를 처음부터 몰던 드라이버가 매뉴얼밋션 운전을 새로 시작해도, 이 부분에 정통해 있으면 적응하는데 별 시간이 걸리지않고, 금방 익숙하게 되죠. 물론 스틱운전의 재미는 분명히 존재하지만.. 스티어링웤과 페달웤에 능통하려 관심을 가지면, 레이싱, 스포츠드라이빙, 일상중의 와인딩 드라이빙에 매우 유익합니다.
괴변일지 모르지만, 일상 운전중에 지나치게 스탠다드한 자세를 취하는건 찬성하지 않는 편인데.. 막힌 도로에서 서행중에는, 시트를 눕히고 좀 자빠져서 운전해도 별 문제없다고 봅니다. 고속도로의 중고속 크루징 중에도, 지나치게 긴장되고 타이트한 자세일때는 과잉 스티어링 웤으로, 비상시 오버 핸들링등의 실수를 할수 있어..편한 자세를 취하는게 좋다는 견해입니다.
고속으로 달리게 되면 누구든 긴장도를 높히게 되고, 자동으로 3시와 9시 위치에 손이 갑니다. 배우지 않아도 우리몸엔 초기입력이 되어있는거죠. 문제는.. 이때, 피로도를 줄이기 위해 팔이 아니라, 양어깨로 밀듯이 지긋한 힘을 주는게 좋고, 이렇게 하면 만에 하나 도로중에 급작스러운 돌기물이나 파인곳을 만나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됩니다.
트랙운전을 해보면 극명하게 느낄 수 있지만, 핸들링의 양을 줄일수록 빠릅니다. 분명히 다른사람보다 액셀을 강하게 밟는거 같은데, 코너에서 스피드가 나지않는 이유는 스티어링각이 심해 횡으로 스티어링브레이크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이고, 여기에 설상가상 액셀량이 많을수록 한결 더 슬립앵글은 벌어지게 됩니다.
스티어링을 잡은 양손이 수직이상 돌아가지않도록 양을 절제하는데는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코너진입전에 최대한 아웃으로 빠져 R값을 줄이는 방법과, 리어를 슬라이드 시키는 방법입니다. 리어를 슬라이드 시키려면, 트레일브레이킹에 의한 하중이동에 대한 확고한 트레이닝이 필요하고, 노면정보가 익숙치않은 공도에서 함부로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어쩌다 한번 뒤가 미끌어진걸로 '난 날리면서 탄다.'는 착각을 하시는 분도 있지요. '항상..같은 양의 슬라이드를 의도적으로 일으키는 수준'이 아니면, 스스로를 위험하게만 만드는 생각입니다. 또한 '차를 던져놓고 잡는 운전법'은 비효율적이고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던져놓고 어렵사리 균형을 잡아 자세를 가다듬는 동안, 더 중요한 '빠른탈출'은 뒷전이 되는것이죠. '빠르게 달리려다 보니 자연스레 리어가 흐르는 운전' 이 잘하는 운전입니다.
고로.. 코너각이 심한 와인딩에선 아웃으로 충분히 빠졌다 인으로 파고들며 R값을 줄여 스티어링을 잡은 손이 크로스되지않게 유지하는게 효율적인데, 이는 코너링 이후 스티어링을 원상복귀시키는 타이밍에도 도움이 됩니다. 코너 이후 탈출구간은 실제로 차를 빠르게만드는 가장 중요한 구간으로 스티어링 리액션이 빠르게 전개될수록 한결 가속타이밍을 서둘러줍니다.
그러나.. 흔치않은 경우에, 극렬한 헤어핀을 만나 양손이 크로스되어야 함에도, 원칙을 지키기위해 같은 위치만 붙잡고있는것도 넌센스 입니다. U 자 이상을 돌아야하는 헤어핀이나 롱코너에서는, 한동안 리니어하게 유지해야 하는 핸들링각을 위해, 미리 손을 옮겨잡아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많은 량의 핸들링이 필요한데 손위치를 유지한채 버티면 몸의 자세가 틀어지고, 차의 동세를 정확히 모니터링 할수없게되기 때문입니다.
코너각이 심한 코너에서 핸들링 중, 고개와 몸이 지나치게 따라 돌아가면.. 리어슬라이드나 만약에 있을수도있는 스핀 시에 카운터링이나 장애물 회피 시 과잉액션이 들어갈 수 있어, 큰 사고나 리버스스티어를 유발 할 수 있죠. 자신의 느낌상..코너링 각과 차체 방향의 중간정도로 목이나 몸의 각을 유지하는게 효율적이라 봅니다.
특히..고속 롱코너에서는 양어깨의 바른자세를 유지하고 균일한 힘으로 스티어링을 고정하는게 좋은 경우가 많아, 때에 따라서 코너각 만큼의 스티어링 상태에서 양손을 부드럽게 정위치에 옮겨 잡아 어깨힘을 이용해 지긋이 눌러주면, 속도와 R 값에서 오는 공포심을 줄일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카운터링이 필요할때 절제된 핸들링을 구사할 수도 있고요..
각자의 습관에서 조금씩 응용하면, 스티어링 웤의 다양한 묘미를 즐길 수 있을것 같습니다.
깜장독수리..
2006.06.22 18:38:50 (*.232.25.21)

일상 주행 환경에서의 개인선호 운전 자세에 대해서는 이익렬님 의견에 적극 공감합니다.
한때, 트랙모드로 운전 한다고 자세 신경쓰며 해봤는데... 다음 날 어깨 결리고 아주...
죽겠던데요...^^
한때, 트랙모드로 운전 한다고 자세 신경쓰며 해봤는데... 다음 날 어깨 결리고 아주...
죽겠던데요...^^
2006.06.23 03:21:03 (*.119.9.27)

음 역시 사람은 배워야 하는거군요.. 음..;; 주변에 운전을 가르쳐 주실분 안계신가요..
언제쯤 초보를 벗어나 볼련지..;;
언제쯤 초보를 벗어나 볼련지..;;
2006.06.23 08:59:05 (*.104.180.2)

XD이 경우 핸들이 좀 크고 핸들량이 좀 많아야 하는것 같더군요..오무기어가 달라 그런지 몰라도 같은 코너도 투카가 훨씬 적은 핸들링으로 돌아나가는데...튜닝핸들이 도움이 좀 되려나요?
2006.06.23 11:43:23 (*.111.92.151)

음....튜닝핸들도 그립과 사이즈만 맞는다면 추천할만합니다... 물론 절대적안전에는 도움이 안되지만.... 순정 에어백핸들이면 고민이고요... 일반핸들이면 교체해서 헐렁한감을 줄일수도 있지만.... 옵셋핸들로 했을때는 자신의 팔길이, 시트각도에 따라서 변수가 있고요... 오히려 너무 작은사이즈(320이하)로 했는때는... 핸들킥백에 민감하게 반응해서 운전에 방해할 변수도 경우가 있으니 참조하세요....
2006.06.23 21:14:50 (*.133.190.32)

정말 좋은 글입니다. 그리고 태웅님 말씀처럼 바른 자세를 하게 되다 보면 버킷시트, 핸들, 기어봉, 페달등을 애프터마켓으로 바꾸는거까지 고려하게 됩니다^^
2006.06.23 21:26:42 (*.130.121.226)

역시.. 매번 깜독님 글이 올라오면 클릭하기전에 기대부터 하게 됩니다. ㅎㅎ ^^
익렬아저씨~ 저도 한수 가르쳐주세요~ ㅠㅠ/
익렬아저씨~ 저도 한수 가르쳐주세요~ ㅠㅠ/
2006.06.24 01:43:42 (*.145.76.171)

박준수님 렛슨비는 스니커즈 쬬꼬바~ ^^
김현영님 임프레쟈 시승시켜주심 레슨해 드리죠.
음..둘이 나란히 앉으면 순~여자얘기만 할텐데..ㅋㅋ
김기원님, 스티어링 바꾸지마세요. 에어백핸들이 훨 비싼데..
김현영님 임프레쟈 시승시켜주심 레슨해 드리죠.
음..둘이 나란히 앉으면 순~여자얘기만 할텐데..ㅋㅋ
김기원님, 스티어링 바꾸지마세요. 에어백핸들이 훨 비싼데..
2006.06.24 08:37:29 (*.192.187.141)

슬라이드를 사용하는 주행은 처음엔 빠르지만 랩이 증가할수록 점점 느려지지않나요?(뭐 30분이내의 스프린트 레이스라면 별문제 없겠지만) 타이어 마모를 계산하면서 항상 일정한 슬라이드를 낸다는것도 거의 불가능한 일이고..한번 실수하면 그동안 슬라이드내면서 벌었던 시간이 한방에 역전이 되어버릴수있어서..
2006.06.24 11:52:52 (*.215.207.39)

오래전에 레이싱을 위한 스티어링 휠 조작법을 좀 배웠답시고 휠을 3시-9시 방향으로 잡고 살았는데, 딴 나라에 와서 하루에 8시간씩 운전하면서 두주일 걸리는 여행을 몇 번 해보니 폼이 다 망가졌습니다. 수천킬로미터짜리 장거리 여행을 하게되면 거의 드러눕듯이 몸을 뻣고 양 팔꿈치를 모두 문손잡이와 센터콘솔에 얹어놓고 (때로는 크루즈 콘트롤 켜놓고) 왼손 혹은 손가락 두 개로만 살살 운전하게 되더군요. 그렇지 않으면 이틀만 운전해도 몸이 무척 힘듭니다.
2006.06.24 15:34:53 (*.16.94.246)
잘 읽었습니다 ^^ 아직 갈길이 멀군요....
근데 읽다가 한가지 궁금한점이...
"트레일브레이킹"은 무엇을 얘기하는 것이고 어떻게 하는것인가요?
'브레이킹' 하는건 알겟는데 어떤식으로 하는건지 당최 모르겠네요 ^^;;
항상 좋은글 감사합니다 ^^
근데 읽다가 한가지 궁금한점이...
"트레일브레이킹"은 무엇을 얘기하는 것이고 어떻게 하는것인가요?
'브레이킹' 하는건 알겟는데 어떤식으로 하는건지 당최 모르겠네요 ^^;;
항상 좋은글 감사합니다 ^^
2006.06.24 18:39:23 (*.145.76.171)

강민규님.. 다음번에 페달웤에 대해 글 올리려했는데..^^
트레일 브레이킹은, 코너링 중의 브레이킹을 말합니다. 코너 진입전 직선로에서의 1차 브레이킹으로 코너링하기 알맞은 속도로 줄임과 동시에, 코너링 라인을 감는동안 약간의 브레이킹을 쭈욱 이어줘서 전륜의 그립력을 높혀주면 리어는 흐르게 됩니다.
길게하면 느려지고, 너무 짧게하면 프론트가 밀리는 푸쉬언더가 발생하지요. 트레일 브레이킹을 잘 활용하면 코너진입시 크리핑포인트를 향해 차체가 쑤욱~하고 감기는 느낌을 받을 수 있는데.. 중요한건 이느낌을 만들기 위해, CP와 Exit 를 향하는 타이밍이 느려져선 안됩니다. / 전형욱님.. 미국에선 정말 그렇겠어요. ^^
트레일 브레이킹은, 코너링 중의 브레이킹을 말합니다. 코너 진입전 직선로에서의 1차 브레이킹으로 코너링하기 알맞은 속도로 줄임과 동시에, 코너링 라인을 감는동안 약간의 브레이킹을 쭈욱 이어줘서 전륜의 그립력을 높혀주면 리어는 흐르게 됩니다.
길게하면 느려지고, 너무 짧게하면 프론트가 밀리는 푸쉬언더가 발생하지요. 트레일 브레이킹을 잘 활용하면 코너진입시 크리핑포인트를 향해 차체가 쑤욱~하고 감기는 느낌을 받을 수 있는데.. 중요한건 이느낌을 만들기 위해, CP와 Exit 를 향하는 타이밍이 느려져선 안됩니다. / 전형욱님.. 미국에선 정말 그렇겠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