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몇일전에 언뜻 어떤사람이 친구의 터보차를 몰다가 엔진브레이크를 썼는데,오너인 친구가
엔진브레이크를 쓰지말라며 화를냈다고,그이유에 대해서 물어본글이 있었습니다.
그밑에는 댓글로 엔진브레이크를 쓰면 회전수가 올라가서 터빈에의한 흡입공기량 상승으
로 차가 오히려 튀어나갈려고해서 울컥거린다는 답이있더군여...
저도 터보차를 여러대몰아보고 엔진브레이크도 쓰고햇지만,아직까지 문제가 된다거나
이상한 느낌을 받아본적이 없고 또 그런말자체를 처음 들어본거라 과연 이말이 사실인지
궁금해지더군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상관이 없을것 같은데요,제가 모르는게 많은 세계인지라 여러분의
고견들을 듣고 싶습니다!!!
엔진브레이크를 쓰지말라며 화를냈다고,그이유에 대해서 물어본글이 있었습니다.
그밑에는 댓글로 엔진브레이크를 쓰면 회전수가 올라가서 터빈에의한 흡입공기량 상승으
로 차가 오히려 튀어나갈려고해서 울컥거린다는 답이있더군여...
저도 터보차를 여러대몰아보고 엔진브레이크도 쓰고햇지만,아직까지 문제가 된다거나
이상한 느낌을 받아본적이 없고 또 그런말자체를 처음 들어본거라 과연 이말이 사실인지
궁금해지더군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상관이 없을것 같은데요,제가 모르는게 많은 세계인지라 여러분의
고견들을 듣고 싶습니다!!!
2006.09.23 15:27:16 (*.39.219.239)

터보라고해서 NA이랑 틀린점은 없습니다. 엔진브레이크를 쓰면 exhaust가스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터빈이 돌수가 없습니다. 나오던 개스가 있더라도 wastegate을통해 빠져나갑니다. 인테익안에는 부스트가 생기지 않구요 배큠상태가 되죠, rpm이 올라간다고해서 꼭 연소가 되지 않구요, 그러므로 공기흡입량이 상승한다거나 튀어나간다거나 하는일은 저얼때 없습니다. ^^
2006.09.23 16:07:43 (*.248.5.18)

엔진브레이크시 rpm 상승은 엔진 폭발로 인한게 아니라 관성으로 굴러가면서 생기는겁니다. 배기가스로 터빈을 돌리는데 이때는 배기가스가 발생되지 않죠. 결국 엔진브레이크 쓴다고 터빈이 돌아갈리 없죠. 그리고 웨스트 게이트나 브로우 오프밸브가 잔류하고 있던 배기가스 방출하기때문에 튀어나간다거나 하지 않죠.
2006.09.23 17:07:31 (*.176.145.42)

저의 800cc급 터보 엔진도 용량 부족(?)인지 튀어나가려거나 하지는 않던데요..^^;;;
표세원님, Sam Kim님, 남경훈님의 설명에 100% 동의 합니다..^^
표세원님, Sam Kim님, 남경훈님의 설명에 100% 동의 합니다..^^
2006.09.23 18:09:20 (*.254.202.248)

엔진브레이크 썼던분은 좀 황당했겠군요.. ^.^
댓글의 을컥 했다는 내용을 보고 문득 생각난건데 혹시 rpm동기를 위한 악셀링정도로 부스트가 걸리는 일이 있을 수 있나요 ?
댓글의 을컥 했다는 내용을 보고 문득 생각난건데 혹시 rpm동기를 위한 악셀링정도로 부스트가 걸리는 일이 있을 수 있나요 ?
2006.09.23 20:16:44 (*.254.212.129)

저의 허접한 터보엔진은 중립에서 악셀링시..부스트가 뜨지 않습니다. 그리고, rpm동기를 맞출때에도 보통 클러치가 떨어진 상태니까..울컥할일이 없는 것 같기도 하구요... 괜찮은 ^^ 터보엔진 가지고 계신 고수님들께 패스합니다..^^
2006.09.23 21:57:41 (*.127.196.168)
아무래도 매핑상의 문제 또는 아이들S/W의 문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스로틀밸브가 닫힌 상황에서 공회전 rpm보다 높은경우(엔진브레이크) 연료가 차단되도록(fuel cut) 되어있습니다 엔진브레이크를 걸어서 엔진회전수가 올라갈때 차가 튀어나가려고한다면 아마도 연료가 공급되고 있는 상황이라는것인데... 매핑의 문제가 아닐경우 엑셀레이터 케이블의 길이나 아이들 스위치 또는 TPS를 점검해보시길 추천합니다 엑셀레이터 케이블은 절대로 팽팽하게 만들어놓으면 안됩니다 (사제 미스화이어링이나 백화이어시스템을 잘못장착한 경우도 될수있을것같습니다)
2006.09.24 11:46:58 (*.223.88.200)

제 차 기준으로 볼 때 에어콘 오프 시 악셀 시기에 연료가 공급되는 rpm은950rpm입니다..
에어콘 온의 경우 1500rpm이구요.
윗분들이 써놓으신 것처럼 악셀 오프 시에는 관성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피스톤은 행정대로 움직이고 있어도 연료가 공급되지 않으며스파크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결국 터빈도 돌고 있지 않는 상태이며 차에는 전혀 무리가 갈 이유가 없습니다.
세팅 시 연료가 공급되는 rpm을 더 높게 해 놓을 수도 있는데 그렇다고 하더라도 무부하 상태가 되기 때문에 미스파이어링 비슷한 효과는 낼 수 있어도 그것으로 인해 차가 울컥거리는 상태는 절대 되지 않습니다.
물론 어느정도 rpm이 유지되는 상태라 악셀 온시 과급이 걸리기는 쉬워질 수는 있겠지만 그것이 차가 울컥거린다는 것이 아니라 재가속에 용이한 정도이지요.
참고로 950prm 연료 공급을 4000rpm으로 변경한 후 악셀 오프를 해보니 미스파이어링처럼 계속 빠빵빵 거리는 소리가 나면서 재가속 시 부스트 상승이 좋아졌었는데 백파이어는 나오지 않더군요...^^
에어콘 온의 경우 1500rpm이구요.
윗분들이 써놓으신 것처럼 악셀 오프 시에는 관성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피스톤은 행정대로 움직이고 있어도 연료가 공급되지 않으며스파크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결국 터빈도 돌고 있지 않는 상태이며 차에는 전혀 무리가 갈 이유가 없습니다.
세팅 시 연료가 공급되는 rpm을 더 높게 해 놓을 수도 있는데 그렇다고 하더라도 무부하 상태가 되기 때문에 미스파이어링 비슷한 효과는 낼 수 있어도 그것으로 인해 차가 울컥거리는 상태는 절대 되지 않습니다.
물론 어느정도 rpm이 유지되는 상태라 악셀 온시 과급이 걸리기는 쉬워질 수는 있겠지만 그것이 차가 울컥거린다는 것이 아니라 재가속에 용이한 정도이지요.
참고로 950prm 연료 공급을 4000rpm으로 변경한 후 악셀 오프를 해보니 미스파이어링처럼 계속 빠빵빵 거리는 소리가 나면서 재가속 시 부스트 상승이 좋아졌었는데 백파이어는 나오지 않더군요...^^
통해서 빠져나가는데.........화를 낸 이유가 이상하군요^^
하긴 저 아는 형도 '시동 끈 채로 기어변속 연습했다'고 미션닳는다면서 뭐라고 하더라구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