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가끔 적정 공기압을 논하게 되는 일이 있습니다.
물론 고수분들이 말씀하시면 저 같은 사람들은 좋은 정보 감사히 취하는 쪽이죠...
이번에 참 재미있는 경험이 있었습니다.
브리지스톤 RE040에서 피렐리 P7000으로 타이어를 교체 하였습니다.(경제논리에 밀린 다운글)
완전 냉간시 36을 기준으로 증감을 합니다. 당연히 레퍼런스는 없습니다. ㅋ
타이어 샾의 믿음직한 컴프레셔로 평소와 마찬가지로 36으로 셋팅했습니다.
뭐 이런 타이어가 다 있나......
마르나 젖으나 개념없이 타고 다녀도 전혀 불만이 없었던 엘란트라의 그것에도 못 미치는 이 황당함.... 도저히 불안해서 속도를 낼 수가 없더군요...
아무래도 안될 것 같아 교체결심.... 돈 아끼려다 이게 무슨 꼴인지... 낙담이 이만저만이 아니었습니다.
그렇게 일주일이 가고 제가 항상 공기압을 체크하는 곳의 컴프레셔로 습관적으로 완전 냉간 공기압을 다시 측정했습니다. 이런.... 38-39를 마크하더군요.... 흠.....
이거였어? 36/35로 다시 셋팅을 마친 타이어는 확실히 다른 모습을 보여주네요...
'스포츠'까지는 몰라도 일반적인 주행에서 타이어가 하자라는 핑계는 달지 못할 정도는 됩니다.
'어느 메이커의 무슨 타이어는 몇으로 셋팅하는 것이 좋다.'
실제 필드에선 이게 참 쉽지가 않은것 같습니다.
PS - P7000... 상대평가 점수는 낮을지언정 그냥 저냥 쓸만은 하네요... ㅎㅎ
물론 고수분들이 말씀하시면 저 같은 사람들은 좋은 정보 감사히 취하는 쪽이죠...
이번에 참 재미있는 경험이 있었습니다.
브리지스톤 RE040에서 피렐리 P7000으로 타이어를 교체 하였습니다.(경제논리에 밀린 다운글)
완전 냉간시 36을 기준으로 증감을 합니다. 당연히 레퍼런스는 없습니다. ㅋ
타이어 샾의 믿음직한 컴프레셔로 평소와 마찬가지로 36으로 셋팅했습니다.
뭐 이런 타이어가 다 있나......
마르나 젖으나 개념없이 타고 다녀도 전혀 불만이 없었던 엘란트라의 그것에도 못 미치는 이 황당함.... 도저히 불안해서 속도를 낼 수가 없더군요...
아무래도 안될 것 같아 교체결심.... 돈 아끼려다 이게 무슨 꼴인지... 낙담이 이만저만이 아니었습니다.
그렇게 일주일이 가고 제가 항상 공기압을 체크하는 곳의 컴프레셔로 습관적으로 완전 냉간 공기압을 다시 측정했습니다. 이런.... 38-39를 마크하더군요.... 흠.....
이거였어? 36/35로 다시 셋팅을 마친 타이어는 확실히 다른 모습을 보여주네요...
'스포츠'까지는 몰라도 일반적인 주행에서 타이어가 하자라는 핑계는 달지 못할 정도는 됩니다.
'어느 메이커의 무슨 타이어는 몇으로 셋팅하는 것이 좋다.'
실제 필드에선 이게 참 쉽지가 않은것 같습니다.
PS - P7000... 상대평가 점수는 낮을지언정 그냥 저냥 쓸만은 하네요... ㅎㅎ
2006.12.31 16:29:02 (*.249.179.33)
저는 냉간시 하중공기압으로 32정도에 셋팅합니다^^
(타이어는 어드반네오바 AD07(xd86)과 BF Goodrich G-force profiler(투싼)
게이지는 99년도 부터 저와 함께한 acme社의 볼펜형^^
(타이어는 어드반네오바 AD07(xd86)과 BF Goodrich G-force profiler(투싼)
게이지는 99년도 부터 저와 함께한 acme社의 볼펜형^^
2006.12.31 17:17:38 (*.48.136.53)
저희집 구ef는 98년 출고타이어를 9만km가까이 주행한 현재까지 끼우고 다닙니다만 -_-;;
어제 공기압 조절했는데 정비소에서 34 맞추더군요..^^
205/60/15 입니다.^^
어제 공기압 조절했는데 정비소에서 34 맞추더군요..^^
205/60/15 입니다.^^
2006.12.31 22:21:04 (*.140.39.74)

저도 막대형 게이지로 측정시 앞뒤 모두 36에 맞췄습니다. 한타 S1evo 235/40/18 입니다.
전엔 32~34로 다녔었는데.......... 36으로 바꾸고서 대만족입니다.
전엔 32~34로 다녔었는데.......... 36으로 바꾸고서 대만족입니다.
2006.12.31 22:44:11 (*.11.25.208)

전 v8rs 205-45-16인데...40 넣고 다닙니다~ 넘 많은건가여???45로 바꾸고 나선 얼마가 적당한지요~ㅡㅡ;;
2006.12.31 23:11:49 (*.251.219.22)

TPMS가 장착되어 있어 항상 계기판을 그 모드로 해놓고 관찰을 합니다. 여름타이어와 겨울타이어로 구분 기본적인 세팅을 (전 딜러에서) 해주는데 +/- 4 psi 차이가 나면 경고가 들어오더군여. 달리는 중에 보여주는 4짝의 공기압은 냉간시나 고속도로 주행시 타이어 온도에 비례해 수시로 바뀝니다만, 정지상태에서 TPMS를 다시 만져주면 기본 세팅값과의 차이만을 계산해 보여주어 아주 편리합니다. 아직도 여름타이어 입니다만.. 뒷바퀴를 보자면, 요즘같은 겨울엔 37 psi 정도를 보여주다가 하이웨이를 달려주다보면 44 psi 정도를 보이더군여. 얇은 앞바퀴는 상대적으로 공기압이 적게 세팅되어 하이웨이에서도 40 psi 미만입니다. TPMS을 애프터마켓으로도 장착이 가능한 차종이 있는 것으로 아는데.. 정말 강추입니다. 운전습관과 조져(?)주는 강도에 따라 바퀴 4짝의 압력을 다르게 만들수 있다는... ㅋㅋ
2007.01.01 19:04:38 (*.172.208.178)

제 생각으로는 절대 숫자는 타이어에 걸리는 차의 하중과 타이어 두께등에 따라서 달라져야 하므로, 일단 메뉴얼에서 권장하는 압력을 기준으로 주행속도 (속도가 높을 수록 압력을 높임), 사이드월 딱딱함 (압력이 높으면 사이드월이 좀 더 딱딱해지고 핸들링 반응이 증가), 그리고 접지 면적 (압력이 너무 높아지면 접지 면적 감소), 그리고 마지막으로 언더 스티어, 오버 스티어등을 고려해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 같습니다.
저는 메뉴얼에서 앞 32psi / 뒤 29 psi 정도 권하는데, 35/32psi는 넘기지 않습니다. 타이어 교환후에 샵에서 40psi 이상 넣어준 걸 모르고 달리니깐 고속에서 타이어 노이즈가 너무 심하더군요.
저는 메뉴얼에서 앞 32psi / 뒤 29 psi 정도 권하는데, 35/32psi는 넘기지 않습니다. 타이어 교환후에 샵에서 40psi 이상 넣어준 걸 모르고 달리니깐 고속에서 타이어 노이즈가 너무 심하더군요.
2007.01.02 00:39:46 (*.109.185.61)

저는 항상 32로...현재는 205/45/16이구요...이때의 느낌이 가장 부드러운것 같아서요..^^
저번에 게이지 고장으로 48정도 넣고 일주일간 다녀봤는데...
완전 승차감이 좌절수준이더라구요...
작년에 타임나갈때에는 195/50/15 MX끼고 28/29에 들어가고 중간중간 피트인해서
미케닉분께 말씀드리면 알아서 다시 세팅해주셨다는...
저번에 게이지 고장으로 48정도 넣고 일주일간 다녀봤는데...
완전 승차감이 좌절수준이더라구요...
작년에 타임나갈때에는 195/50/15 MX끼고 28/29에 들어가고 중간중간 피트인해서
미케닉분께 말씀드리면 알아서 다시 세팅해주셨다는...
2007.01.02 02:44:36 (*.39.189.250)
차량따라 날씨따라 노면온도따라 세팅따라 차량성향따라 타이어패턴/컴파운드재질/사이드월강성 등에 따라 그 때 그 때 다를거라 생각됩니다만... ^^
2007.01.02 03:35:22 (*.75.189.198)

설명서에 써 있자나요? 포르쉐나 BMW 는 사이즈랑 탑승인원과 타이어의 종류에 따라 권장되는 공기압이 전/후로 모두 명시되어 있습니다.
2007.01.02 10:00:11 (*.55.192.254)

설명서혹은 운전석쪽 B필라밑(문짝닫히는곳)에 쓰여있는대로 하심이 좋을 듯 합니다. 대체로 양상차량에서 36 PSI 이상을 권장공기압으로 하는 경우는 아직 못 봤습니다. 제 225/40R18, 255/35R19 도 33 PSI 정도 쓰여있는데, 겨울철이나 고속모드주행이 필요할 경우만 36 정도로 올리고, 도로가 뜨거워 쉽게 팽창되는 여름철이나 출퇴근모드에선 적정공기압이 젤 맞는것 같더군요. 미쉐린에서 발표한 글을 본 적이 있는데, 차량별 최고속도와 평소 고속주행유지여부, 차량의 하중변화에 따른 조절법이 있는데, 검색해보심 쉽게 찾으실 수 있을 겁니다. 240km/h 이하의 최대속도를 가진 차량에선 적정공기압에서 5 PSI 이상 올라가는 셋팅은 없었습니다. 결국 40 PSI 를 잘 넘지 않는 다는 것이죠. (적정공기압도 순정타이어의 MAX load, Max psi를 기준으로 차량의 전륜쪽차중,후륜쪽중량을 대입하여 계산해 낸 결과를 알려주는 것이므로 복잡하면 적정압을 기준으로 살짝씩 변화함 젤 속편하다 생각합니다.)
2007.01.02 10:57:47 (*.12.180.129)

궁금한 것이 있는데,
타이어 종류와 상관없이 설명서와 차량에 표기된 대로 공기압을 설정하는 것이라면, 타이어의 형상과 걸리는 하중과 공기압 사이에 <업계 표준적인 기준>이 있는 것인지요? 즉, 사이드월이 튼튼한 타이어이든 약한 타이어이든 높든 낮든 넓든 좁든 미쉘린이든 금호이든 같은 공기압에 같은 하중이 걸리면 같은 형상이 되도록 설계하는 기준이 있는지 하는 것입니다.
물론 제 경우엔 설명서/차량에 표기된 적정 공기압 이외에, 적절한 근거가 제시되는 기준(심지어는 경험조차도)이 단 하나도 없어서 그냥 적정공기압 대로 넣고 다닙니다만. ^^
타이어 종류와 상관없이 설명서와 차량에 표기된 대로 공기압을 설정하는 것이라면, 타이어의 형상과 걸리는 하중과 공기압 사이에 <업계 표준적인 기준>이 있는 것인지요? 즉, 사이드월이 튼튼한 타이어이든 약한 타이어이든 높든 낮든 넓든 좁든 미쉘린이든 금호이든 같은 공기압에 같은 하중이 걸리면 같은 형상이 되도록 설계하는 기준이 있는지 하는 것입니다.
물론 제 경우엔 설명서/차량에 표기된 적정 공기압 이외에, 적절한 근거가 제시되는 기준(심지어는 경험조차도)이 단 하나도 없어서 그냥 적정공기압 대로 넣고 다닙니다만. ^^
2007.01.02 13:21:46 (*.32.114.131)

왠만한 현대차같은 경우는 B필러에 쓰여진 권장 공기압은 거의다 30psi로 통일인 것 같습니다. 클릭이나 아반테나 ef소나타나 심지어 투싼까지 죄다 30psi죠. 그래서 전 제차의 권장공기압은 100%무시해버리고 있습니다^^
2007.01.02 21:24:05 (*.198.153.38)
일상시에는 앞뒤 둘다 37psi를 넣고, 경기(클릭전)때는 앞 45, 뒤 48을 넣습니다. 역시나 권장공기앞은 100% 무시..ㅎ
엑스타 수프라는 사이드월이 너무 주저앉거든요..
엑스타 수프라는 사이드월이 너무 주저앉거든요..
2007.01.02 22:00:09 (*.182.232.143)

저는 앞뒤 36으로 맞춥니다. 마른땅 젖은땅 테스트 해가며 절충한 결과로 요정도가 딱 좋은듯 싶네요 205-45-16입니다 . 타이어는 금호 SPT를 사용하구요 ㅎㅎ
2007.01.03 22:33:58 (*.51.79.137)

f : 36 r : 34 로 세팅합니다만... 타야는 205 45 16 과 195 45 16 입니다. 차는 아반떼구요~
2007.01.17 21:44:54 (*.195.34.124)
한1년여동안 여러집의 압력계와 저의 디지탈 압력계로 비교해가며 관찰을 해 보았는데 문제는 온도입니다. 순정상태의 타이어의 압은 전륜구동일때 전32-35 후30-33 정도가 이상적이지 않을까 생각됩니다.다만 공기주입시의 조건이 문제겠죠.주행전후,아칭,한낮인지 저녘인지등 타이어(주행후)의온도와 기온에 따라 편차가 심하더군요.어짜피 그날아침 냉간시의 조건으로 기준을 잡아야 할것같은데 현실적으로 좀어려운일이죠 그시간대에 영업하는 곳이 드물거든요. 그래서 저는 오후7시경 냉간시에 아침기온과의 편차를 고려하여 1-2 PSI정도 업하여 권장치 보다 많은 전륜구동은 전34 후32정도로 기준을 삼으니 무난한것 같습니다.
기준으로 제시되는 공기압은 하중이 가해진 상태에서의 냉간 공기압이므로, 타이어샵에서 장착후 어느 정도 주행하여 문제가 없으면 자기만의 공기압 게이지로 직접 맞추는 것이 좋은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