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안녕하세요 박강우라고 합니다.
밑에 권규혁님과 Willow springs 트랙을 함께 다녀오기도 했었죠.
나름 테스트 드라이브 원년 맴버인데, 워낙에 이곳 회원수가 많아지고 새로운 분들이 많아서
짧은 자기소개를 좀 했습니다.
먼나라에서 팔자좋게 차 타고 놀고 참 널럴하게 산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으시겠지만,
너무 색안경 끼고 안 좋게 바라보시지 말고 맘 편하게 즐겁게 보셨으면 합니다. ^^
02년 첫 면허를 따고부터, 현재까지 약 8년간 취미로 트랙을 달려왔습니다.
그 당시 만해도 한국에서는 드리프트를 할 여건이 조성이 되어있지 않았고, 인기가 없었던지라
저 또한 크게 관심을 가지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다가 4년전 미국에 와서 생애의 첫 FR 로 S2000 을 맞이하게 됩니다.
S2000 으로 여기저기 수도없이 많은 트랙을 달렸지만, 드리프트는 여전히 관심이 가지 않았습니다.
공공도로에서 마땅히 연습할 곳도 없었거니와, 일반사람들에세 피해를 주면서까지 공공도로에서 연습하고 싶진 않았거든요.
아, 물론 미국의 무서운 벌금과, 경찰도 큰 몫을 했죠.
그러던중,
랩 타임을 위한 트랙만을 달려오다보니, 내가 과연 차 컨트롤을 제대로 할 줄은 아는걸까
아직도 차가 미끄러지면 나는 무서워 하고 있진 않는가
자신이 있는가
하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해보게 되고 드리프트를 배우게 되면, 차 컨트롤에도 좀 자신이 생기고, 이는 결국 트랙에서의 랩타임
단축에도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호기심이 발동합니다.
S2000 은 휠베이스가 짧기도하고, 토크도 형편 없고, 디퍼렌셜도 약해서 드리프트하기 어렵다는 여론이 많이 들렸습니다.
그도 그럴것이 S2000 으로 드리프트 경기에 출전하는 차량은 정말 드무니까요.
하지만 남들이 안된다고 하니 더 해보고 싶어지고, 어짜피 후륜구동인데 하면 되는거 아닌가? 하는 궁금함도 있었습니다.
간혹 아무도 없는 공터에서 차를 돌려보곤 했지만 정말 쉽사리 되지 않더라구요.
그러던 중에 한달 전, 우연한 기회로 트랙에서 드리프트를 맘껏 해볼 기회가 생겼고
서서히 드리프트에 큰 매력을 느끼기 시작한 지금의 저는 정말 드리프트 새내기입니다.
다음 보실 영상은 당일 드리프트 트랙에서의 현장 분위기등을 짤막하게 편집해본 영상입니다.
원래는 카트장인데 이렇게 목요일 밤마다 드리프트 이벤트를 열고 있는 곳입니다.
우리나라에도 이런식으로 운영되는 드리프트 장이 몇군데 있는 것으로 압니다.
아직 편집이 완성되지 않은 영상이라(언제 완성될진 모릅니다..^^;) 영어가 나오는 부분은 자막처리도 되지 않고,
많이 부족하지만 대강의 분위기와 현장감을 느껴 보시라고 감히 영상 올려봅니다.
확실히 드리프트는 오래된 닛산 계열의 차량이 많더라고요. S2000 으로 가니 사람들이 별종으로 취급하면서
이쁜차 망가뜨리고 가지 말라는 식으로 놀리기도 하고, 무시하기도 하지만
그래도 취미가 비슷한 사람들끼리 모여 함께하는것이 전 언제나 즐겁고 또, 이런 분야에도 한국인이 있다는것을 외국 사람들에게
보여줄 수있어서 뿌듯하네요.

영상 참 멋지네요. (어떤 카메라로 찍은건가요? 요즘 영상쪽에 부쩍 관심이..)
오픈서킷을 함께 해서인지 늘 대견스러워 보입니다.
언제함 붙어야 되는데..ㅋㅋ 꾸준한 열정에 박수를 보냅니다.

경기용 하드코어 드리프트는 차체보강을 많이 하지만 아마츄어들의 가벼운 드리프트는 원래 적당히 낡은 새시가 조금 비틀리는 맛이 있어야 콘트롤하기 더 쉽다고 하더군요... (바로 자세를 잡아버리는것보단 계속 미끌어지는 상태를 유지해야하므로..)
그래서 강한 강성의 최신차종보다 연식이 좀 된 일본차들(실비아 같은..)이 더 입문용으론 적합하다고하네요..

실비아가 소위말하는 전후 무게밸런스가 몹시 좋지 못한차여서 드리프트가 잘 된다구요??ㅎ
실비아는 F:55 :R 45의 무게배분을 갖추는 차입니다. 이게 몹시 좋지않은 무게 밸런스인가요?
니산계열의 터보차중 가장 도리가 잘된다는 드리프트 계의 본좌 180sx는 거의 완벽하게 50:50의 무게배분을 갖추는 차입니다.
그럼 이차량은 드리프트가 굉장히 어려워야지 말이되는데요...?
드리프트를 만들어 냈다고 할 수도 있는 Ae86의 무게배분은 53:47입니다.
그리고 D1gp 준우승 머쉰이자 항상 상위 탑10에 드는 Rx-7은 5:5의 무게 밸런스를 갖추면서
S2000처럼 프론트 액슬 뒤에 엔진이 있기 때문에 프론트 미드쉽차량입니다.
과연 무게배분과 드리프트는 관계가 있을까요? 튜닝카는 논외라 해도 드리프트 자체가 오픈디프로 힘들다는 점을 감안하면 튜닝을 안할수 없는 것입니다. 순정이라 쳐도 디프엔 모두 비스커스 아니면 헬리컬 방식의 LSD장착차량인데..^-^;;
강우님
S2k로도 환상적인 도리 퍼포먼스 보여주는 친구들 많습니다. 한계는 있습니다. 그러나 한계까지 실력을 쌓기엔 충분하다고 봅니다.
오히려 더 긍정적인 점도 있겠습니다. 화이팅 멋집니다!

당연히 있습니다. 180과 실비아는 쌍둥이차에 생긴것과 차대도 같듯이 무게배분도 같습니다
그리고. FR차량이기에 55:45는 당연하게 되는겁니다. FF를 기준으로 생각하신건지요?? 기준잡는걸 잘못생각하신듯;; FR 특성상 당연히 되는거고요 그렇게 좋다고할수있는 배분이 결코 아닙니다. 꽤치우쳐져있는거에요 심지어 드리프트 다루기 좋은 젠쿱도 54:46인가 인데... 55:45면....
드리프트가 편한차일수록 그립주행 퍼포먼스는 보다 떨어집니다. 그립주행에서 실비아같은차랑 S2000이나 FD같은 본격적인 차랑은 한계가 다르더군요.... 핫버젼만봐도.... 고개든 서킷이든... 무슨 51:49도 아니고 그정도가되면 꽤나 커지는거에요. ^^ 앞이 늘어난만큼 반동으로 뒤가 줄어드니까요.. 1차이만나도 앞뒤 2죠.
제가 아래서 댓글로도 써놨는데 D1GP에 나오는 RX-7... 5:5밸런스 아닙니다. 앞에 무거운 무게 많이싫고 합니다 앞이버텨주게요...그리고 . 심지어 무게도 늘릴겸 레스폰스도 좋게할겸 그래서 무거워지는 3로터까지 얹거나 4로터도 얹습니다....
AE86도 53:47이잖아요 역시 치우친거죠. 드리프트 충분히 하기 좋습니다.. 그만큼 무던한면이 있다고 해야할까요. 무난한찹니다.
나쁘진않아도 50:50 차량의 운동성능과는 확실히 확연히 다릅니다. 그래도 그정도면 괜찮은 무게배분이긴하죠. 즉..
50:50이 특별하다고 볼수잇겠죠. 그냥... 딱 번갈아가면서 그립 최대한 짜는 그립주행영역을 달려보거나
드리프트좀 해보면 알수있습니다. 그냥 원돌이나 8자만 해도 그차이는 확느껴질꺼에요..
무게배분이 한쪽에 치우쳐있거나 아니거나, 둔하고 예민한차의 차이.. 때문에 보다 둔감한차가 훨씬하기 편합니다..
튜닝안해도 순정으로도 할만큼은 어느정도 됩니다 왠만한차에 박혀나오는 토르센이라면요...
무게배분과 , 무게중심이 어디에있는지 그에따른 둔감한차가 되는지 정말로 예민한차가 되는지,
이것은 차량 운동성능에 크게 영향을 줍니다 휠베이스는 당연하겠구요.
무엇보다 절대적인증거로 D1에서 가산점을 줍니다 S2000이나 FD같은 예민하거나 보다 힘든차로나가면요.
또 여태까지 가지고 나가지 않았던차에도 주죠... 하체구성, 무게배분은요..당연히 영향을 끼칩니다 .
또 주위 S14랑 FD가진 드리프트좋아하는 지인분은 실비아로는 정말쉽게 잘되도 FD로는 힘들다고 하던말이 기억납니다..
과연 반대로 FD나 S2000이 프론트미드쉽도 아니고 무게도 55:45였다면 지금과 같은 운동성능을 보여줄수있었을까요?
절.대. 아니였을라고 장담드릴수있을꺼같습니다.ㅎㅎㅎ 고로 그건 드리프트와도 연관이 있겠죠~

180의 weight distribution은 거의 5:5에 가깝습니다. 그리고 이유는 뒷해치백형식이라 뒷유리 무게가 증가되서입니다.
차대가 같다고 쌍둥이 차라고 해서 55:45다라는 논리는 앞뒤가 안맞네요
갑자기 왠 FF...;;
FR이면 당연히 55:45가 되는거라고요?ㅋㅋ 그럼 언급하신 FD와 S2000은 멉니까?ㅎㅎ
핫버젼 많이 보셨으면 더 잘 아실텐데요..ㅎㅎ
드리프트가 편한차일수록 그립주행 퍼포먼스가 떨어진다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지금 현재 우리나라 태백서킷
래디얼 타이어 베스트랩을 기록한 차량은 180sx입니다. 이건 어떻게 설명될까요?ㅎㅎ
무엇이든지 셋팅하기 나름입니다. 차량의 한계는 물론있으나 그것마져 뛰어넘을 수 있는 셋팅이 있는것입니다.
저는 그런 셋팅을 하려고 노력하는 사람입니다.
그리고 D1GP 아메미야 Rx-7은 제가 이번 3월 D1 올스타전과 제 1전 관람하고 왔을때도 확인한것입니다.
원제님이 말씀하신 정반대로 뒤차축위와 뒤 트렁크에 SUS재질의 무게추를 장착합니다. 핫버젼 말고 비디오 옵션을 보세요.
거기에도 언급되어 있는 사항입니다.
그리고 3로터와 4로터는 개념이 완전히 틀리지 않습니까?ㅎㅎ 로터 1개추가될시 무게 가 얼마늘어나는지 아시나요?
2000cc에서 2400cc로 보어업한다고 해서 크게 무게가 늘지는 않습니다
무게의 개념이 아니라 로터리 엔진특성의 리스펀스와 출력이라는 관점에서 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3로터 4로터로 가는 이유는 리스펀스와 토크밴드입니다. 빅터빈을 돌리면서 빠른리스펀스를 얹기위함입니다.
S2000이 드립이 어려운 이유중하나가 V-tec전의 회전수에서 토크가너무 낮다는 것도 한볷하겠지요. 그리고 가변캠때문에 토크가 알아서 변하니 드리프트상황시 컨트롤은 더 힘들것입니다. 트랙션 스고이 에스니센으로 드리프트를 구사하기 위해선 적어도 토크가 40이상은 나와주어야 드리프트 전개를 끝까지 끌고 갈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무게를 늘리려고 3로터를 얹는다라..ㅎ
절대증거라 하시는 D1GP S2000에게 가산점은 다시한번 확인해보시면 알겁니다.
D1GP규정중 D1gp와 D1sl에 한번도 나오지 않은 차종으로 D1gp시드권을 따면 그차량은 베스트 16에 예선없이 자동
진출되는 것입니다.(그것도 단 한번만가능) 그리고 그거 이외로 츠치야가 가산점을 주는 경우는 차종 AE86 NA(4AG)밖에 없습니다. 그것도 라인도리여야하지요. 요세는 그것마져도 없어졌어요. 근래 D1gp에서 판정에 대해 상당히 말이 많아서 많이 개편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드리프트는 하중이동의 꽃이라고 생각합니다. 제 질문의 숨은 뜻은 하중이동과 트랙션입니다. 그리고 엔진토크 특성과
서스펜션 지오메트리가 웨잇디스트리부션 보다 드리프트에서 훨씬 더 큰 비중을 차지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소소하게 메이커에서 발표하는
웨잇디스트리부션 혹은 출처불분명한 웨잇디스트리부션으로 함부로 차를 평가하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몇몇 케이스가 그렇다더라..를 가지고 일반화시키는거 매우 위험한 행동이라고 생각합니다.
무게 배분을 그렇게 신경써서 한만큼 그차를 만드는 컨셉자체가 운동성을 염두해둔 것이기 때문에 그에 해당하는 서스펜션 셋팅이 응당 행해졌기 때문에 그런 좋은 밸런스가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반면에 180은 그렇지 않았기 때문에 5:5가깝지만 그립주행에선 그닥 두각을 나타낼 만한 성능이 아니였다고 생각합니다.(순정기준)
그리고 5:5분배의 참 뜻을 운동성이라는 말로 어물쩡표현하기엔 좀 부족한 감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르노클리오 MR은 그럼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5:5밸런스이기 때문에 무조건 운동성이 최고다 라는 논리에는 너무 많은 변수가 있기때문에 허점투성이라는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제가 말을 할때도 순정이라는 기준을 들고 말씀을 드리는 것이지요.

원보형이 말씀해주신것처럼.. 전혀 그런이유라기보단^^:;
휠베이스, 차량의 앞뒤 무게배분, 특성이 크게 좌우합니다.
젠쿱이 그렇게 드리프트 잘되는데에는.... 긴휠베이스, 앞으로 쏠린 무게가 있기때문이죠...
실비아도 마찬가지고... 강성보단 차자체가 앞...같은 한쪽이 버텨주는게 있어야 하기 좋습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둔하다고 해야할까요 무던한차가 편합니다; 단적인예로 FD3S나 S2000같은차량은 50:50같은 예민하기 그지없는 카트같은 움직임인녀석들이라 본격적인 드리프트 D1급 시합나갈땐
무게추를 앞에 무겁게 실거나 개조해서 나갑니다 . 그럼에도 가산점을 줍니다 하기힘든차라고 ㅎㅎㅎ

맞습니다.. 뛰어들고 즐길수 있는 모습이 참 부럽기만 합니다..^^
저도 소외받는 차종(g35세단 오토)으로 꽤나 외롭게 드리프트를 연습해왔지만.. 외로울수록 더 강해지더군요.
그렇게 지내던 시간들이.. 어느덧 내년에 따로 차를 만들어 드리프트경기에 나갈 계획에 부풀어 있답니다.
이 또한 드리프트 시합에서 흔히볼수 있는 차종이 아니거든요..ㅎㅎ
영상 멋집니다. 타지에서 항상 화이팅 하시길~!!
ps. 그래도 족동식 사이드는 아니잖아요..^^

영상 넘 멋져요.
그리고, 안되는 차종으로 하시느라 수고가 많아요~
예감상, 드리프트용 차종으로 곧 기변할듯한 느낌이...
전 계속 영상이 끊겨서 감질맛 나서 못보겠네요.ㅋㅋㅋ
그나저나 강우님은 항상 너무 부럽습니다.. 요즘 좀 뜸하다 했더니 이런 멋진영상을..
편집과 촬영도 강우님이 직접하시는 건가요??

와- 멋진 영상이네요!! :) 잘 봤습니다-
그나저나 강우님 영어발음은 제게는 굉장히 익숙하군요.. 영국북부 토박이 발음이십니다!!!!

저도 너무 보고싶어 여러번 시도를 했는데 심하게 끊기더군요. 코덱문제인가?
암튼, 멀리서나마 강우님의 멋진 카라이프를 재미있게 보고있습니다.
한국도 잘 다녀오시구, 풍성한 이야기와 사진들도 기대할께요~

오오 영상 멋집니다! 감동이 밀려오네요.
(강우님의 트랙 주행 영상들은 제가 처음 S2000을 구한 후, S2000의 주법을 익히느라
참고삼아 강우님의 블로그에서 트랙 영상들을 여러번 돌려가며 봤던 기억이 납니다 ^^)
그나저나 S2000은 드리프트용으로는 무리야. 라고 처음부터 듣고 수긍해 버리고,
선입견에 갇혀 애당초 시도조차 안해본 자신이 부끄럽습니다 T_T...되는군요..

S2000이라고 안되는게 어딨겠습니까만 차특성상 하기쉬운차보단 빡실텐데
보다 쉬운방법,길을 타협하지 않으시고 도전하시는 모습이 멋집니다!
화이팅입니다.^^
강우님 얼굴은 영상이나 사진으로나마 실로 오랜만에 보는데....
길거리에서 만나도 못알아볼 정도로 변하였군요....T_T(세월의 무상함?)
그리고 예전엔 까무잡잡했던 것 같은데 지금은 뽀얗네요^^
Black people 옆에 계셔서 그런가.....^^
어쨌든 대단하십니다......부단히 연습하셔서 S2000 drift bible하나
써주세요~ 화이팅!!!
S2000 으로 드리프트 해봤어.. 안해봤으면 말을 말아.. ^^
(달인버전으로 강우님이..)
좋습니다.. 다음편이 있다고 하셨으니 기대해도 될까요..
저도 컨트롤에 대한 확신이 없기 때문에 늘 제대로 드리프트를 배우고 연습하고 싶었는데,
멋진 도전을 보여주시는군요^^

영상이 너무 멋집니다! 음악도 참 잘 어울리고요.
직접 제작하신 건지 궁금하네요.
그나저나, 출력이 훨씬 낮은 Miata로도 드리프트가 가능할까요? 저는 완전 초보지만 한번 연습해보고 싶네요.
차와 타이어의 한계가 어디까지인지 알고, 그 한계에서 컨트롤 할 수 있는 능력은 안전 운전에도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영상도 좋고 강우님의 도전하는 모습도 아름답습니다~
저도 s2000 구매예정인데 드리프트까지 자유롭게 하려면 출력보강이 필요할 듯 합니다.
부디 출력보강 없이 완성하는 모습 보여주세욤~^^

좋은 말씀들 감사합니다 좋게 봐주시니 좋네요..^^ 예상하셨듯이 당연히 제가 찍은건 아니고요(제가 찍었으면 제가 나올수가 없죠ㅋㅋㅋ)
주위에 좋은 도움을 받아서 찍게 되었는데 저도 생각보다 아주 잘 나왔다고 생각합니다 ^^ 감사합니닷
S2000의 드리프트는 일본에서 드리프트킹이라 불리는 츠치야 케이치조차 포기한 경우인데(베스모를 보면 하긴 하는데, 굉장히 어설픕니다;;) 적합하지 않은 차로 멋지게 즐기시는 모습이 보기좋습니다^^
드리프트용 닛산차 한대 구입하시면 더더욱 멋진 모습을 연출하실수 있을꺼라고 생각되네요^^;;;;;
영상도 멋있고 화질도 깔끔하네요.
보는 맛이 쏠쏠합니다.
요샌 s2000 사이드라인 보는 것만으로도 설레네요.
s2k virus인지... -_-;;
저와 거의 완벽하게 동일한 생각으로 드리프트를 시작해 보려고 하시는군요....NA에 토크밴드도 약한 S2000으로 많이 힘드시겠지만...뭐 안되는게 있겠습니까....암튼...현장의 분위기는 정말 좋아 보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