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항상 궁금한게 많아 질문글만 올리게 되네요..
이번에 궁금한건.. 제가 군대에 있을때 선임에게서 배운 습관이 있는데,
수동변속시 순차변속보다는 1→3→5 또는 2→4→5 이렇게 변속하는게 미션에도 좋고, 변속충격도 덜한다고
운전연습때 변속법을 그렇게 배웠습니다..
지금 전역하고도 계속 수동차량을 몰고 있어서, 이 습관이 계속 유지되었는데..
최근에 지인이 제 습관을 보더니 그렇게 하면 기어비가 맞질 않아서 미션이나 엔진에 무리가 갈수도 있다고 하더라구요..
순차적으로 변속하는게 좋나요.. 아니면 띄엄띄엄 변속하는게 좋을까요?
답변에 미리 감사드립니다!^^
변속전 기어에서 충분히rpm을 올려주지 못하면 오히려 엔진에 무리가 갑니다.. 구형차종같은경우 노킹도..
변속은 가급적 순차적으로 하는게 연비도 좋고 엔진에도 무리가 안간답니다~

뭐가 더 좋다 안좋다 이야기할 수 없이 RPM만 맞으면 1단에서 3단을가던 4단을가던 상관은 없습니다. 말그대로 케바케.. 독일 드라이빙 스쿨에선 330i가지고 연비운전할 때 평지에서 12단후 바로 5단 꼿아넣어서 연비를 향상시키기도 하던데요. 135단같은 경우에 예전 구아방 성행 시절(티뷰론인가 구투카인지 기억이 잘 안납니다)에 기어비 때문에 그렇게 하기도 했었는데.. 전 연비운전할 때 지방도에서 123단 가속 후 6단 꼿아넣습니다. 다만 3단에서 알펨 3500은 되야 6단 꼿았을 때 엔진이 힘들어하지 않더군요. 뭐.. 그냥 속도 60이상 되면 승용에선 탑기어 꼿아도 평지에선 힘이 부치진 않아요.


적정 RPM만 올려 놓으면 별로 상관 없다고 생각합니다.
전에 포르테쿱 2.0 5MT를 보면 2단->3단 변속시 급격히 길어지는 기어비를 보았을때
연비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엔진에 부하조건이 높지 않아야겠죠.

예전 GM 카마로 같은차들은 급가속이 아니면 1단후 4단이 바로 들어가도록 2단게이트가 막혀 있었다죠. 저도 지금도 내리막길에 차 많고 그러면 1-2-5단 이렇게 변속하기도 합니다.

해당 차량의 기어비와 엔진토크등에 따라 다른것 같습니다.. 제 차량도 시내 주행시엔 건너뛸때가 있습니다. 자주는 아니지만 시내정체로 가다서다 할때는 그렇게 해야 더 부드럽게 변속되는 상황도 생기거든요.
1단에서 고알피엠썼다면 3단가도 되고
1단에서 저알피엠에선 2단이 좋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