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테드의 김성철입니다.
도저히 저의 짧은 지식으로는 답이 안나오는 부분이 발생하여 여러 회원님들께 자문을 구하고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질문요지는 [블로바이 라인에서 리턴 되는 공기량을 ECU가 계산하지는지 여부] 입니다.
만약 인식을 한다면 순정형의 경우 블로바이가스가 탱크를 거치고 흡기 인테이크라인으로 돌려지는데 만약 캐치탱크가 순정 레이아웃 방식의 리턴형이라면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터빈, 인터쿨러 오염을 막기 위한 취지로 대기방출로 돌렸을시, 과연 맵에도 영향을 끼치게 되는지요?
이미 에어플로센서를 거쳐 계산되어진 공기량을, 소실없이 그대로 소진할 필요가 있어 블로우오프밸브도 단연 리턴식으로 돌리는게 이상적이라고 알고 있습니다만. 블로바이가스의 경우는 정말 모르겠습니다.
블록과 피스톤사이의 마모도에 따라 가스량이 달라지는데 이거조차도 ECU가 관장을 하는 부분인지요?
에어플로센서는 흡기구 초입에 위치해 있어 누구보다 제일 먼저 공기량을 측정한후, ECU에게 이만큼(예를들어 100)의 공기량이 들어갔으니 손실없이 100만큼 다 써야된다. 그럼 이걸로 내 할일은 끝.. 이거 아닌가요? 도중에 블로바이가스가 흡기 파이프로 리턴이 된다고 하더라도 제가 알고 있는 상식선에서는 ECU와는 전혀 상관이 없다고 봅니다. 블럭,피스톤갭에 따라 양 자체가 바뀌는걸 어떻게 ECU가 알까요?
하지만, 반대로 아이들링시 유입된 공기 100중, 몇 %(예를들어 10)를 떼서 크랭크 내부로 보내는데 이때 ECU가 빠진공기량 만큼의 계산을 하게 된다면.... 그럼 크랭크 내부로 들어간 프레쉬 공기10에 대한 블로바이가스 배출량 10을 ECU가 읽게 되는 건가요?
※오일캐치탱크의 대기 방출이 환경에 치명적이다라는 부분은 잠시 접어주시고 지식전수를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캐치탱크에서 저 노란색 부분에서 도둑공기 ? 들어오지 않을까요? 완전 밀폐는 아닌듯합니다만..


제가 아는 한 블로바이가스량을 계측하는 EMS는 없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노란원의 피팅은 완전밀페가 기본입니다. 상당한 압력까지 버틸수있습니다.
(제 공장의 컴프레셔압력은 15킬로 정도인데... 대부분 사진의 피팅으로 되있습니다.)
오일, 연료.가스 등등 기밀을 유지하기때문에...어느정도 신뢰하고있습니다.
물론 불량피팅이라면..누설이 있을수있겠습니다.
역활은 맘에들더군요 사진의 제품같은경우 도둑공기보다는
열에의해 실링이 변형이됩니다. is-tech 제품이 좋더군요
디테일면에서도 그렇고 필터가 내장되있구요 기밀성 좋습니다
단 가격이 어마무시하죠. .오염된 필터는 세척후 재사용됩니다

여러 고견 감사합니다. 일단 ECU에서는 가스측정은 하지 않는다!! 라는 의미군요. 그럼 관련 질문으로 흡기매니폴드오염의 주범? 인 PCV밸브를 제거 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블로바이가스가 나오는 출구는 밀폐가 아니라 늘 열려 있는데 아이들링시 구지 PCV밸브로 빨아들여야 할 필요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저회전이나 고회전 모두 어찌됬든, 케이스 내부에 가스량이 넘치게 되면 한계점을 넘어 자연히 알아서 뿜어져 나올텐데 구지 흡입을 할 필요가 있을까요? 물론 아이들링시 서지내부의 떨어지는 압력을 완화시키기 위해 어차피 어디선가 기체를 빨아야 할거 이왕이면 블로바이로 대체해서 일거양득화 시키는 취지겠지만, 서지내 압력저하 해결 및 내부오염해결을 생각한다면 단순히 PCV밸브에 작은 에어필터 하나면 되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본문내용에 크랭크 케이스 내부로 프레쉬 공기가 들어간다고 제가 작성을 했지만 지금 생각해보니 써놓고도 모르겠네요. 공기가 케이스로 들어가는 입구?? 가 있나요? 출구만 있는게 아니구요? 점점 헷갈려 집니다. ;;
서지탱크 압력을 맵센서로 측정하므로
블로바이 호스를 통해 들어온 공기량은 어느정도 측정된다고 보시는게 맞습니다
아이들때 PCV 호스 뽑아보세요
알피엠이 출렁일 겁니다
공기량 계산을 어떻게 하는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찬찬히 살펴보면 답이 나올것 같습니다
어차피 블로바이가스든 EGR이든
흡기필터 바로 뒤에서 흡기량을 측정하기때문에
그뒤에서 이루어지는 리턴량은 다 보정이 되는 상태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