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아직 차도 나오지 않았습니다만... 속도내는 타입은 아니지만 안정성/신뢰도 때문에 브레이크 튠을 하긴 해야겠네요. 용도는 서울시내 30 고속도로 70 입니다. 여기저기 알아보고 할수록 서킷/와인딩 용도가 아니더라도 브레이크 튠은 해줘야 할듯하더군요.
다름이 아니라 브레이크 튠은 제가 지식이 전무하여 혹시 동차종에 쓸만한 브레이크 튠 성공하신 분 사례가 없을까 하여 글을 남겨봅니다.
알아본 바로는 모까페 동호회 협력업체인 브ㄹ스 통가공 2p. 또는 휠ㄱ9 라는 업체에서 개발한 csr m32 4p 같은게 성능이 좋아보이고 보통 만렘보 4피스톤 많이들 쓰시는데 뭘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칼같은 제동력까진 바라지 않고, 순정 브레이크의 단점을 최소화시킬만한 성능이면 좋을것 같습니다.

모비스 XG2P 캘리퍼에 앞,뒤 디스크 확장하시고 패드는 데피고나 프릭사s1정도 바꾸셔도 벨텁정도에 적당할 뿐더러 저렴하기까지 합니다.
통가공 캘리퍼는 성능이 믿을만한지 트랙데이유저들의 하드코어 리뷰가 없어서 제외했었구요 csr은 디스크 말하는거지 캘리퍼는 만렘보입니다.
싹다 바꾸실 계획이시라면
K5터보 알루미늄캘리퍼와 320mm 순정디스크 조합 추천드립니다
동호회에서 흔히들 4p가 좋다 필수다 하는 것은 물론 순정보다야 성능은 좋겠지만 상술에 의해 만들어진 잘못된 정보라고 생각합니다. 고성능패드로 교체하셔도 충분합니다. 저도 벨로스터 터보를 타고 있는데, 패드만 바꿔도 서킷에서도 충분히 탈만할 정도입니다. 그리고 순정상태에서도 일반 공도주행이면 충분하다고 느꼈습니다. 윗분들 말씀처럼 타이어를 먼저 생각하시고 패드교체를 생각하시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4p가 무조건 1p보다 좋은건 아닙니다. 테드 동호회에도 정보가 많으니 잘 찾아보세요.
여담이지만..벨텁 동호회의 정보중 믿을만한 정보는..없다시피 할 정도더군요.

휠 림폭 8j이상 안쪽 스포크가 간섭이 없게 내부 공간이 충분히 확보된 휠에만 만도4p 켈리퍼 장착이 가능합니다. 순정휠은 아마도 15mm정도는 스페이서를 대야하고요.
문제는 이런 세팅시 타이어와 휠하우스와 간섭이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벨텁도 상황이 거의 비슷하다고 들었고요. 그래서 만도 4p 장착시 휠선택이 정말 제한되게 되고요. 거의 18인치를 써야하서 성능보다는 소위 짜세를 목적으로 하는 세팅에 가까울듯 합니다.
써킷용으로 타시는 분들은 오히려 xg2p 에 앞뒤 확장로터 + 레이싱용 패드 정도를 더 많이 하시는듯합니다.
근데 제동 성능 외적인 부분까지 고려한다면 고성능 패드가 소음과 분진이 심한 경우가 많아서,
만도 4p 캘리퍼에 에쿠스 순정 패드 조합을 선호하는 경우도 있고요.

브레이크 장착한곳 사장님도 4p는 이 차에 과한 세팅일꺼라고
순정으로도 패드만 바꾸면 충분히 제동력 나온다고 말씀하시더군요.
목적에 따라 다르겠지만 동호회글 너무 믿지 마시고 직접 경험해 보시는게 답일듯합니다.

제동력을 업글하시려면 접지력이 좋은 타이어로 업글하는게 브레이크보다 우선순위입니다. 노면을 움켜잡아 차를 세우는건 결국 타이어고 브레이크는 그 타이어를 멈추게 하는 역할일 뿐이라 타이어가 미끄러지면 브레이크 업글이 의미가 없습니다.
또한 바퀴의 회전 관성을 줄이고 노면 홀딩력 증가를 위해서는 휠의 경량화도 필요하고요.
앞쪽 패드 업글시 밸런싱 고려하여 뒤쪽도 어느정도는 업글이 필요하고요.
증가된 제동력으로 인해 제동시 차가 과하게 앞으로 쏠려서 리어가 흐르는 현상도 발생할 수 는데 이때문에 제동이 오히려 불안해질수도 있습니다. 이런 현상을 최소화 하려면 서스펜션의 뎀핑 압 및 스프링 레이트도 적절한 세팅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