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터보차에 입문한지 아직 1년이 안되어가는 새내기입니다.
처음엔 터버차하면 그냥.부아아앙 하면서 갑자기 치고나가는 펀치력에 펀드라이빙만 생각하고 터보작업을 했습니다..
시간이지나면서 자잘한 트러블들과 왜 사람들이 열과의 전쟁이라고 하시는지 첫 여름을 맞이하며 알게되더군요... ㅎㅎ
이미 여름이 다 지나간 마당에 본넷에 작은 턱트(전동형)으로 두개만 뚫을까 고민도 하고 있네요 큭큭큭
제차는 NF LPI 차량이며, 전차주가 정말 관리를 잘한탓에 14만 키로가 된 차량임에도 엔진상태가 너무 맘에 들어 구입을 하고, 15만에 터보를 올려 지금까지 약 4만 정도 탔습니다.
겨울엔 타이어 슬립때문에 스트레스받고, 여름엔 열때문에 스트레스받고 ㅎㅎ
휠마력 200마력이고 플랫하게 마력이 셋팅되어있네요...
토크하락곡선이 무지막지합니다 ㅋ
배기온은 풀악셀기준 항속주행해도 950 도 이상은 안올라가고요.. 겨울엔 아마 930도 정도 예상합니다..겨울엔 풀악셀로 미치지않는이상 탈일은 없으니... ㅎㅎ
잡설이 길었네요..
제가 테드분들과 지식을 좀 공유(?) 사실은 지식뺏기죠? ㅋㅋ 하고자하는데...
터보차량들 대부분이, 고알피엠 영역에서는 토크가 빠지는건 당연한거고.. 외에도 부스트압 유지가 잘 안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도 부스트압을 유심히 보다보니,
3000-4500 rpm 영역대에서는 셋팅값인 0.7바~0.75바 유지가 잘 됩니다만.
5000 rpm 넘어가면서 부스트압이 점점 빠지고 6000 rpm 을 넘을때에는 거의 0.2바에 가까운 압력손실을 보입니다..
터빈은 K5 TGDI순정 터빈으로 0.8바 액츄에이터 용접해서 작업해놓았습니다.
부스트압만 유지시켜줘도 토크하락을 조금 막을 수 있을것 같고 그렇게되면 자연스레 마력도 10마력정도는 어렵지않게 확보 가능할 것으로 예상 됩니다만.
문제는 강화 액츄를 달아도 증상이 동일할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스프링을 액츄에이터에 하나 걸어놓는다면 피크부스트가 더 많이 뜰것 같아서 걱정되서 못하고 있구요...
학생시절에 그나마 조금이라도 공부해두었던 지식들을 꺼내보며 생각을 해 보니, 저에게는 두가지 가설이 생겼습니다. 물론 완전 빗나간 가설일지도 모릅니다.
첫번째 가설은,
고 회전영역에서는 배기가스의 유속과 유량이 너무 크기때문에 액츄에이터의 0.8바 스프링 장력외에도 터빈 바이패스플랩(?) 아무튼 바이패스 시켜주는 마개가 배기가스의 힘때문에 0.8바가 아닌 더 작은 힘에도 계속 닫히지 않고 열려있어서 실제 부스트 압은 더 낮게 유지된다.
라고 생각을 하고있구요,
대처 방안으로는 약츄에이터가 완전개방되는것을 막도록 액츄에이터가 반쯤 열리면 스프링에 걸리도록 만들어서 반 이상 열릴때는 추가적인 스프링힘에 의해 덜 열리도록 막는 것 입니다.. 그러면 고회전 영역에서 바이패스 되는 배기가스를 어느정도 억제 시킬수 있고 그렇게 되면 부스트 압력이 약간이라도 상승유지그 되지 않을까 하는 추측입니다.
두반째 가설은,
배기가스가 아닌 흡기쪽 공기유량과 유속입니다. 파이프 내에서의 기체 흐름은 유속에 따라서 압력손실량이 다르다는 것을 아실 겁니다. 그래서 고 회전 영역에서는 배기유속이 엄청나게 빠를테고, 배기유속이 빠르면 터빈아웃의 부스트 압력과 흡기매니쪽의 부스트 압력이 달라지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터빈아웃의 부스트 압력은 0.7또는 0.7바가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더라도, 엔진으로 들어가는 공기는 압력손실을 거쳐 0.5바 또는 0.6바가 들어간다. 라고 생각 하는게 두번째 가설 입니다..
부스트 게이지는 흡기 매니 근처에 달랴 있기 때문에 실제 터빈아웃의 압력이 아닌, 엔진 바로 앞쪽 부스트 압력을 측정하게되므로, 압력 손실을 거쳐 게이지에는 0.6바 내지 0.7 바 정도만 나오게 되는 것이구요.
어디까지나 제 가설 일 뿐입니다...
대처 방안으로는 멍청한(?)기계를 속이도록 액츄에이터의 압력호스를 Y자로 두갈래로 따는 것이죠...
즉 병렬로 해서, 하나는 터빈 아웃 나머지 하나는 흡기매니쪽(부스트 게이지쪽) 에 연결해서 하나로 묶고 그걸 액츄에이터로 내보내는 것 입니다.
그렇게 되면 터빈 아웃쪽 0.8바와 흡기매니쪽 0.6바(압력손실을 거친) 두개를 묶었으니, 압력이 보정될테고 0.8바 보다 낮은 값으로 나오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그런데 막상 글을 쓰다보니... 한쪽은 0.8바 한쪽은 0.6바인데... 흡기 쪽이 0.8바 되려면 터빈 아웃은 또 1바가 될테고... ㅡㅡ 딜레마이군요 ㅋㅋㅋ
뭐 그래도 어쨌든 0.6바 보다는 높은 압력이몀서 동시에 1바보다는 낮은 압력으로 액츄에이터가 열리지 않을까 생각은 됩니다만....
테드의 터빈 고수님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드...
고rpm 에서의 부스트 압력을 셋팅값과 가장 유사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 어떤게 있을까요?
혹은, 부스트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 되게 전영역에...
동일 부스트로 셋팅 하고 타시는 분이 있을런지...
0.8바 유지는 안되더라도.. 0.7바 유지라도 되었으면 좋겠네요 ㅠㅜ

웨스트게이트로 바꾸시면 후반부 부스트 유지가 좀 더 안정적입니다. 하지만, 액츄라도 1바 이상이 아닌 이상 부스트가 흔들릴수는 있지만 그렇게 많이 빠지진 않을텐데요.. 윗분 말씀처럼 맵핑관련일듯 합니다.
풀부스트로 좀 쏘시고 아이들시 불안정은 아이들맵이 완벽하지 않으신듯, 아이들맵핑을 다시 받으셔야해요.
저도 예전에 4단 풀부스트 고갯길 타면, 그런증상이 나타났으며, 재시동 걸면 사라졌습니다.
몇번의 아이들 맵핑으로 잡았었습니다.
전자식부콘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기계식 액츄에이터를 쓰는 이상 단순 작동이라 물리적인 한계를 벗어나기 힘듭니다.
결국은 전자식 부스트 컨트롤러를 장착하시는 것이 답이실거 같습니다.


아이들링시 진공이 빠지는건(게이지가 올라가는건), 공기유입이 많이되고있는(ISC에서 보정을 위해 스로틀바디를 바이패스하는 길을 많이 열어주기) 상황으로 보이구요. 아이들링시에는 공연비가 잘 맞는다는 가정하에, rpm이 떨어지면 1차로 점화시기를 당겨오며 rpm을 유지시키고,,그거로 부족할 경우 ISC개도량을 늘리게됩니다.
ISC 개도량이 많다는건, 일부로 냉간시 등 특정 상황에서 그렇게 셋팅해놨을 수도 있구요. 특정 상황에서(수온, 흡기온 등이 변한 상황) 공연비라던지 점화시기에 문제가 있을 수 있구요. 지속적 문제라면 아이들링 맵핑을 좀 손보는 것이 좋을 것 같지만, 엔진 상황이 시시각각 변하기 때문에 그렇게 쉬운 작업은 아니라 금방 돌아온다면 신경쓰지 않으셔도 좋을것같네요.
ISC 개도량이 지속적으로 높으면, 아이들링시 연료소모가 많아집니다.
간혹 아이들부조(?) 처럼 정차시 (특히 고알피엠 쓰고난 직후나 냉간시)에 부스트 게이지를 보면 혼자서 압력이 막 오르기도 하는데 이건 터빈이 돌아서가 아니라 스로틀이 닫혀서 올라가는 압력인가요? 궁금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