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자동차공학을 하는 자동차과 대학생입니다.
기관공학 레포트인 발표하기에서 저희조가 "경주용차에는 왜 머플러에서 불꽃이 나오느냐.?"
라는 주제를 받았습니다. 그런데.. 어제 9시까지 남으면서 자료를 뒤저도 뚜렷한 답이 나오질 않내요
급질문입니다.. 목요일까지 해가야되서요 .
아시는분 답글달아주세요~
제생각으론 경주용차는 성능을 올리기위하여 캠의 양정. 캠의 각도를 높혀 더많은 공기와 연료를 실린더를 흡입하고 배출하는과정에서 갬의 각도로인하여 밸브오버랩이 길어저 폭발화염이 새어나가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아직 미흡하다내요.. 윽.
기관공학 레포트인 발표하기에서 저희조가 "경주용차에는 왜 머플러에서 불꽃이 나오느냐.?"
라는 주제를 받았습니다. 그런데.. 어제 9시까지 남으면서 자료를 뒤저도 뚜렷한 답이 나오질 않내요
급질문입니다.. 목요일까지 해가야되서요 .
아시는분 답글달아주세요~
제생각으론 경주용차는 성능을 올리기위하여 캠의 양정. 캠의 각도를 높혀 더많은 공기와 연료를 실린더를 흡입하고 배출하는과정에서 갬의 각도로인하여 밸브오버랩이 길어저 폭발화염이 새어나가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아직 미흡하다내요.. 윽.
2006.05.24 21:16:14 (*.106.6.226)

경주용차에는 촉매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거의 없죠) 그러다 보니
미연소 연료가 달구어진 배기머플러를 통과하면서 연소가 되서 그럽니다.
na튜닝차에도 촉매 탈거하고 달리면 변속할때 불이 나오죠 ^^;;
미연소 연료가 달구어진 배기머플러를 통과하면서 연소가 되서 그럽니다.
na튜닝차에도 촉매 탈거하고 달리면 변속할때 불이 나오죠 ^^;;
2006.05.24 21:48:24 (*.153.211.35)
밸브오버랩이 길어지면 후화 뿐만 아니라 역화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좀더 정확한
과제물을 교수님께서 요구하신것이 아닐까요 ^^;
과제물을 교수님께서 요구하신것이 아닐까요 ^^;
2006.05.24 21:56:25 (*.110.40.41)

명근님의 답변에 조금 더하면, 경주차 머플러에서 불이 나오는 것은 몇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가솔린의 역할로 실린더 내부를 식히는 냉각작용도 하는데, 악셀 오프 시에도 계속 실린더를 식히기 위해 점화는 일어나지 않는 상태로 연료가 계속 공급되며, 이 연료가 촉매없는 배기관을 통해 배출되면서 배기관의 열로 착화되어 불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랠리 경기차에 들어가는 "미스파이어링" 시스템이라고 들어보셨을텐데 이 장치로 인해 불이 나오기도 합니다...
이 경우는 앞의 경우와 조금 틀린데, 악셀오프 구간에서 연료는 계속 공급하나 점화가 일어나지 않는 부분은 같지만 역할이 조금 틀립니다...
실린더 냉각 역할에 터빈의 랙을 없애기 위해서이기도 하지요...
앞에서 말한 것 처럼 악셀오프 구간에 점화없이 공급되는 연료는 매니폴더의 열로 인해 폭발을 하게 되고, 이 폭발로 터빈이 계속 회전하게 하여 재가속시 랙이 생기지 않게 하는 시스템입니다...
이전에는 매니폴더에 별도로 점화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했다고도 하더군요...
미약하지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가솔린의 역할로 실린더 내부를 식히는 냉각작용도 하는데, 악셀 오프 시에도 계속 실린더를 식히기 위해 점화는 일어나지 않는 상태로 연료가 계속 공급되며, 이 연료가 촉매없는 배기관을 통해 배출되면서 배기관의 열로 착화되어 불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랠리 경기차에 들어가는 "미스파이어링" 시스템이라고 들어보셨을텐데 이 장치로 인해 불이 나오기도 합니다...
이 경우는 앞의 경우와 조금 틀린데, 악셀오프 구간에서 연료는 계속 공급하나 점화가 일어나지 않는 부분은 같지만 역할이 조금 틀립니다...
실린더 냉각 역할에 터빈의 랙을 없애기 위해서이기도 하지요...
앞에서 말한 것 처럼 악셀오프 구간에 점화없이 공급되는 연료는 매니폴더의 열로 인해 폭발을 하게 되고, 이 폭발로 터빈이 계속 회전하게 하여 재가속시 랙이 생기지 않게 하는 시스템입니다...
이전에는 매니폴더에 별도로 점화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했다고도 하더군요...
미약하지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2006.05.25 09:33:00 (*.138.221.27)

갑자기 이 글을 보고 생각난건데,
과다 분사되어 연소되지 못한 걔솔린이 배기관을 통과하는동안에는 고온임에도 산소량이 희박하여 연소되지 못하다가 배기관 끝에가서 대기중의 산소와 만나 격렬하게(?) 불이 나는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그래서 아마도 배기관의 중앙부분 온도보다 엔진에서 제일 멀리떨어진 배기관 끝 팁부분의 온도가 더 높을겁니다.
과다 분사되어 연소되지 못한 걔솔린이 배기관을 통과하는동안에는 고온임에도 산소량이 희박하여 연소되지 못하다가 배기관 끝에가서 대기중의 산소와 만나 격렬하게(?) 불이 나는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그래서 아마도 배기관의 중앙부분 온도보다 엔진에서 제일 멀리떨어진 배기관 끝 팁부분의 온도가 더 높을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