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갑작스럽게...^^ 패밀리 미니밴인 카니발2를 입양하게 되었습니다.
CRDi 145마력 대응인데요..^^
테라칸의 CRDi 엔진과..출력/아이들링음색 여러가지가 다르고..다르게 느껴집니다.
(출력은 테라칸 순정이 174마력 셋팅으로 나옵니다.)
근본적으로 그 차이가 어디서 기인하는지 궁금합니다.
현재의 카랑카랑 음색을 부드럽게 바꾸고... 테라칸 출력을 넘겨 받기 위해서는,
어떤 하드웨어적인 차이를 극복하고 수준을 맞춰야 하는지 궁금하네요.^^
애마가 입양되어 고생하는 건 아닌지..슬며시 걱정이 됩니다.
호의호식 했을텐데..^^;;
그럼, 많은 분들의 관심 부탁드립니다.^^
CRDi 145마력 대응인데요..^^
테라칸의 CRDi 엔진과..출력/아이들링음색 여러가지가 다르고..다르게 느껴집니다.
(출력은 테라칸 순정이 174마력 셋팅으로 나옵니다.)
근본적으로 그 차이가 어디서 기인하는지 궁금합니다.
현재의 카랑카랑 음색을 부드럽게 바꾸고... 테라칸 출력을 넘겨 받기 위해서는,
어떤 하드웨어적인 차이를 극복하고 수준을 맞춰야 하는지 궁금하네요.^^
애마가 입양되어 고생하는 건 아닌지..슬며시 걱정이 됩니다.
호의호식 했을텐데..^^;;
그럼, 많은 분들의 관심 부탁드립니다.^^
2007.09.04 22:46:42 (*.133.187.4)

카니발 엔진은 아니지만 쌍용 2.9 기계식 터보엔진이 120마력이었다가 잠깐동안 132마력으로 출시된 적이 있었죠. 저희 아버지 무쏘도 120마력 사양이었기 때문에 제가 132마력으로 업글하려고 문의했었는데 압축비라던지 터빈, 부란자 등등 꽤나 바꿔야할 부품들이 많았던 걸로 기억됩니다. crdi는 ecu가 있기 때문에 하드웨어의 기본적인 세팅 후에 ecu의 놀림으로 많이 바뀌지 않았을까 추측됩니다. 연료 분사 압력이라던지 터빈의 부스트 압이라던지 뭐... 이런것들의 세팅이 말이죠.
2007.09.04 23:57:57 (*.33.36.6)

엔진의 형식이라던가 태생은 거의 동일 한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많은 부분이 비슷하다고 알고있습니다. 하지만 해드라던가 터빈 기타 미묘한 세팅으로 양산차 업체들은 출력에 대한 조정을 하고있다고 들었습니다. 카니발 2 crdi 엔진은 대배기량이지만 사실 우리나라 crdi초기 엔진이고 좋은 엔진임과 동시에 미완성에 엔진이었다고 알고있습니다.
현대에서 기아를 인수할당시 그엔진프로젝트를 보고 무척 놀랐다고 알고있습니다.
현대쪽에서 디젤발전시키는 단계보다 완성되어지고 진척된 정도를요......
테라칸은 그엔진을 현대가 수정해서 적용시킨것이고요 VGT를 얹기 전까지 재미? 보려했던것이죠 정확히는 모르지만 테라칸 처럼 되긴 어려울듯합니다.
카니발2는 의자가 9개나 달리고 2.7에 달하는 무게를 가진 차입니다.
꼭 힘때문이 아니더라도 중량자체가 많이나가는 차이니 아쉬운 부분이 많은 차입니다
다만 고속크루징 때에는 그 탄력에 연비 ,힘이 아주 좋습니다. 두터운 토크감도
기분좋은 항속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엔진음은 본네트 방진만으로도 무척 다르게 느껴집니다만 카니발 엔진소리가 그리
듣기 좋은 소리는 사실 아닙니다. 제가 잘알고있습니다.^^;;
9명까진 아니더라도 8명은 넉넉하게 움직일수있는 그런 매력이 있는 차입니다.^^
현대에서 기아를 인수할당시 그엔진프로젝트를 보고 무척 놀랐다고 알고있습니다.
현대쪽에서 디젤발전시키는 단계보다 완성되어지고 진척된 정도를요......
테라칸은 그엔진을 현대가 수정해서 적용시킨것이고요 VGT를 얹기 전까지 재미? 보려했던것이죠 정확히는 모르지만 테라칸 처럼 되긴 어려울듯합니다.
카니발2는 의자가 9개나 달리고 2.7에 달하는 무게를 가진 차입니다.
꼭 힘때문이 아니더라도 중량자체가 많이나가는 차이니 아쉬운 부분이 많은 차입니다
다만 고속크루징 때에는 그 탄력에 연비 ,힘이 아주 좋습니다. 두터운 토크감도
기분좋은 항속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엔진음은 본네트 방진만으로도 무척 다르게 느껴집니다만 카니발 엔진소리가 그리
듣기 좋은 소리는 사실 아닙니다. 제가 잘알고있습니다.^^;;
9명까진 아니더라도 8명은 넉넉하게 움직일수있는 그런 매력이 있는 차입니다.^^
2007.09.05 02:18:09 (*.140.176.24)
2.9의 경우 카니발과 테라칸은 똑같은 J-engine을 씁니다.
배기규제와 용도에맞게 ECU calibration과 하드웨어가 조금 달라진것 뿐입니다. 봉고와 카니발도 기본은 같은 엔진이죠.
순정품을 사용해서 테라칸의 출력까지 올리시는건 시간과 비용이 만만치않고 성공여부도 불투명 합니다. 요즘 디젤엔진 시스템이 그냥 가져다 쓴다고 작동하지는 않기때문에...
디젤 ECU튜닝에 찬성하는쪽은 아니지만 그것밖에 방법이 없단 생각이 드네요.
배기규제와 용도에맞게 ECU calibration과 하드웨어가 조금 달라진것 뿐입니다. 봉고와 카니발도 기본은 같은 엔진이죠.
순정품을 사용해서 테라칸의 출력까지 올리시는건 시간과 비용이 만만치않고 성공여부도 불투명 합니다. 요즘 디젤엔진 시스템이 그냥 가져다 쓴다고 작동하지는 않기때문에...
디젤 ECU튜닝에 찬성하는쪽은 아니지만 그것밖에 방법이 없단 생각이 드네요.
2007.09.05 11:03:42 (*.254.212.129)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가장 궁금한점은..^^ 조금 달라진 하드웨어가 무엇인가 입니다.^^ 터빈은 형상이 다른데.. 용량도 다른지 궁금하구요.. ^^
가장 궁금한점은..^^ 조금 달라진 하드웨어가 무엇인가 입니다.^^ 터빈은 형상이 다른데.. 용량도 다른지 궁금하구요.. ^^
2007.09.05 13:02:17 (*.47.107.50)

제가 알기로 많은 부분에 보강이 들어가고 틀리다고 알고 있습니다. 정확하진 않지만 제가 카니발1을 탈적에 같은 엔진을 쓰는 카니발2 CRDi와 테라칸 2.9 모델간에 비교를 하면서 혹은 내부 자료를 통해서 알 수 있었던 것입니다. 따라서 틀릴 수도 있으니까 참고만 하세요 ^^.
ECU TCU ABS유닛간 통신을 CAN-BUS시스템으로 바꾼것으로 알고 있고, 분사압력도 200bar정도 더 높인 1600bar정도로 기억합니다. (얼핏 기억나는게, 직분사 카니발 분사압력 : 1천bar수준 CRDi : 1400bar 그뒤 나온 업그레이드 버전 1600bar선) 거기에 물론 피스톤, 피스톤링, 커넥팅로드, 크랭크축, 헤드가 바뀌고 워터/오일 펌프 용량이 커진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인젝터 분사각도??도 바뀌었다고 얼핏 듣긴 했는데 기억이 안나네요 ㅎㅎㅎ.
아, 소음면에선 제가 알기로 밸런스 샤프트 구동방식이 기존 체인방식에서 기어방식으로 바뀐걸로 기억합니다. 그래서 소음차이가 난다고 알고 있는데, 뭐 카니발이 워낙에 롱스트록이고 디젤이다 보니 그 특유의 엔진음은 바뀌지 않더군요 ㅎㅎㅎ. 전 지나가는 혹은 시동을 거는 디젤 엔진 소리 듣고 직분사/CDRi 쏘렌토 2.5 및 카니발 2.9 엔진을 구별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카니발 공차중량은 그렇게 무겁지 않은 것으로 기억합니다. 만차중량이 아마 2.4톤(카니발1 기준) 2는 아마 2.7톤쯤 했을껍니다. 아버지차가 카니발2 제가 카니발1 이라 잠시 비교했던 기억이 어슴푸레 나네요 ^^)
ECU TCU ABS유닛간 통신을 CAN-BUS시스템으로 바꾼것으로 알고 있고, 분사압력도 200bar정도 더 높인 1600bar정도로 기억합니다. (얼핏 기억나는게, 직분사 카니발 분사압력 : 1천bar수준 CRDi : 1400bar 그뒤 나온 업그레이드 버전 1600bar선) 거기에 물론 피스톤, 피스톤링, 커넥팅로드, 크랭크축, 헤드가 바뀌고 워터/오일 펌프 용량이 커진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인젝터 분사각도??도 바뀌었다고 얼핏 듣긴 했는데 기억이 안나네요 ㅎㅎㅎ.
아, 소음면에선 제가 알기로 밸런스 샤프트 구동방식이 기존 체인방식에서 기어방식으로 바뀐걸로 기억합니다. 그래서 소음차이가 난다고 알고 있는데, 뭐 카니발이 워낙에 롱스트록이고 디젤이다 보니 그 특유의 엔진음은 바뀌지 않더군요 ㅎㅎㅎ. 전 지나가는 혹은 시동을 거는 디젤 엔진 소리 듣고 직분사/CDRi 쏘렌토 2.5 및 카니발 2.9 엔진을 구별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카니발 공차중량은 그렇게 무겁지 않은 것으로 기억합니다. 만차중량이 아마 2.4톤(카니발1 기준) 2는 아마 2.7톤쯤 했을껍니다. 아버지차가 카니발2 제가 카니발1 이라 잠시 비교했던 기억이 어슴푸레 나네요 ^^)
2007.09.05 13:04:10 (*.47.107.50)

1세대 CRDi가 1200 쯤이었나... 정확히 기억이 안 나네요.
쏘렌토 나오면서 분사압력에 관한 이야기가 많아서, 그당시 나왔던 싼타페보다 쏘렌토가 분사압력이 높다고 기억이 나네요 ^^ 싼테페는 1세대, 쏘렌토는 2세대, 03년 이후 3세대라고 불렀던 기억이 납니다.(VGT도 올라가면서 쏘렌토도 175마력쯤으로 올라갔었지요) 요즘 나오는 피에조 인젝터는 4세대라고 불러야 할까요? ^^;;
쏘렌토 나오면서 분사압력에 관한 이야기가 많아서, 그당시 나왔던 싼타페보다 쏘렌토가 분사압력이 높다고 기억이 나네요 ^^ 싼테페는 1세대, 쏘렌토는 2세대, 03년 이후 3세대라고 불렀던 기억이 납니다.(VGT도 올라가면서 쏘렌토도 175마력쯤으로 올라갔었지요) 요즘 나오는 피에조 인젝터는 4세대라고 불러야 할까요? ^^;;
2007.09.05 14:28:31 (*.150.97.31)

인터쿨러 대용량과 터빈교체로 출력을 더 올릴수는 있지만 개인적으론 비추입니다.
매핑과 흡배기 정도가 가장 이상적일거라는 생각입니다.
매핑과 흡배기 정도가 가장 이상적일거라는 생각입니다.
2007.09.05 14:50:51 (*.254.212.129)

ㅎㅎ 요즘에 워낙 자리에 묶여 있어서..키보드족이 되어 갑니다..^^
정성스럽고..자세한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저도 오재용님 말씀처럼.. 무리하게..이것저것 손보는 걸 원하는 건 아니구요..^^
앞으로 언젠가 엔진 오버홀을 한번 하는 시점에,
작업을 할 수 있는 범위가 있으면..고민을 해 볼까 하는 생각입니다.
허주영님 자세한 답변 감사드리구요..^^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공부 해야겠네요..ㅋㅋ
좋은하루 되세요~
정성스럽고..자세한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저도 오재용님 말씀처럼.. 무리하게..이것저것 손보는 걸 원하는 건 아니구요..^^
앞으로 언젠가 엔진 오버홀을 한번 하는 시점에,
작업을 할 수 있는 범위가 있으면..고민을 해 볼까 하는 생각입니다.
허주영님 자세한 답변 감사드리구요..^^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공부 해야겠네요..ㅋㅋ
좋은하루 되세요~
2007.09.05 15:37:05 (*.211.51.73)

안녕하세요 양상규입니다.
가장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습니다.
물론 하드웨어에 국한된 내용입니다.
다르다고 생각되는 부품들을 모비스 wpc 에서 검색 하시면
간단합니다. 그리고 그것들의 호환성 여부는 불확실 하지만
일단 변경 사양은 거기에 다 나옵니다. 적용시기까지 나오니
동일 차종이라고 해도 변경사항 여부를 알수 있고 적어도 신품의
경우는 개선품이 들어간다고 볼 수 있습니다. ^^;;
가장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습니다.
물론 하드웨어에 국한된 내용입니다.
다르다고 생각되는 부품들을 모비스 wpc 에서 검색 하시면
간단합니다. 그리고 그것들의 호환성 여부는 불확실 하지만
일단 변경 사양은 거기에 다 나옵니다. 적용시기까지 나오니
동일 차종이라고 해도 변경사항 여부를 알수 있고 적어도 신품의
경우는 개선품이 들어간다고 볼 수 있습니다. ^^;;
2007.09.05 16:07:39 (*.254.212.129)

안녕하세요..양상규 님..^^
모비스에서 검색해 보고는 있습니다만..^^ 쉽진 않네요.^^
하드웨어 설계상 형상이 다른 경우가 있는데,
실제 인젝터 압력이라든지.. 터빈의 용량이라든지..그런 부분이 많이 어려운 부분같습니다.^^
그래도, 차대번호 적어와서.. 검색해 보는게..
현재로써는 공부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 같습니다..^^ (테라칸 차대번호를 하나 얻던지..대략 년식으로 검색해야 할 듯 하네요..^^)
더 나은 방법이 하나 있긴 할 것 같습니다만..ㅎㅎ
양상규님빨리..^^ 카니발2 CRDi 를 구입하시면..^^
작업하실때 놀러 가서 구경하는데 더 좋은 방법이 될 듯 싶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좋은 하루 되세요~~
모비스에서 검색해 보고는 있습니다만..^^ 쉽진 않네요.^^
하드웨어 설계상 형상이 다른 경우가 있는데,
실제 인젝터 압력이라든지.. 터빈의 용량이라든지..그런 부분이 많이 어려운 부분같습니다.^^
그래도, 차대번호 적어와서.. 검색해 보는게..
현재로써는 공부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 같습니다..^^ (테라칸 차대번호를 하나 얻던지..대략 년식으로 검색해야 할 듯 하네요..^^)
더 나은 방법이 하나 있긴 할 것 같습니다만..ㅎㅎ
양상규님빨리..^^ 카니발2 CRDi 를 구입하시면..^^
작업하실때 놀러 가서 구경하는데 더 좋은 방법이 될 듯 싶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좋은 하루 되세요~~
2007.09.05 17:12:49 (*.33.36.6)

카니발 부품과 연식에 따라 개선품이 이리도 많은 차가 있을까 하는 차종입니다 ㅡ.ㅡ;;
정비를 업으로 하시는 분들도 03카니발 04카니발의 차이를 다 모르십니다.^^;;
책한권으로도 아마 모자랄지도.....03카니발을 구해서 04카니발을 만드는것도 가능은합니다. 근데 은근히 교체할것이 많다는거......
정비를 업으로 하시는 분들도 03카니발 04카니발의 차이를 다 모르십니다.^^;;
책한권으로도 아마 모자랄지도.....03카니발을 구해서 04카니발을 만드는것도 가능은합니다. 근데 은근히 교체할것이 많다는거......
2007.09.05 17:15:23 (*.33.36.6)

향후 더 오래 타신후에 커먼레일 차량에서 오버홀이라고 하시면 인젝터 부분 의 세척이나 교체가 가장 큰 작업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인터쿨러내부와 흡기쪽 청소를 싹 해주시고
개스킷류를 바꿔주시고 실린더 체크하고 이정도가 오버홀 아닐까 싶은데요
아무래도 커먼레일은 인젝터가 관건.....
개스킷류를 바꿔주시고 실린더 체크하고 이정도가 오버홀 아닐까 싶은데요
아무래도 커먼레일은 인젝터가 관건.....
2007.09.05 22:34:48 (*.34.5.14)

2005년식 CRDi 2.9 174 마력 스틱 상시사륜 테라칸을 타고 있습니다.
연료압이 1600bar 모델 이지요.
카니발과 같은 혈통의 엔진을 쓰고있지만, 기본 연료압과 인젝터 , ecu 가 조금 다르다고 알고 있습니다. 피에조 인젝터가 적용된 시점은 베라크루져 로 알고 있구요.
ECU 는 델파이 신형을 씁니다.
2006년식 부터는 연료리턴라인이 약간 개량되어 (아마도 매연문제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출력증강에는 제한이 있는것이 사실 입니다..
EDC15 이구요.
베X라X어 칲튠으로 200 마력 사양이 되어있구, 스X트디젤 까지 당착되있습니다.
스틱이기 때문에 출력 업그레이드에 따른 큰 문제는 없습니다만, 오토인 경우엔
미션슬립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터빈은 IHI 1315를 공통적으로 카니발과 테라칸에 사용하고 있구요.
김강희님의 경우, ECU 맵핑이 가장 쉬운튜닝이라고 생각되어 집니다.
현대 정비지침서엔, 2.9 CRDi 엔진의 인젝터 크리닝은 피하는것이 좋다라고 나와 있습니다.
인젝터 크리닝으로 문제가 될 소지가 많아서 그렇다고 하네요.
연료압이 1600bar 모델 이지요.
카니발과 같은 혈통의 엔진을 쓰고있지만, 기본 연료압과 인젝터 , ecu 가 조금 다르다고 알고 있습니다. 피에조 인젝터가 적용된 시점은 베라크루져 로 알고 있구요.
ECU 는 델파이 신형을 씁니다.
2006년식 부터는 연료리턴라인이 약간 개량되어 (아마도 매연문제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출력증강에는 제한이 있는것이 사실 입니다..
EDC15 이구요.
베X라X어 칲튠으로 200 마력 사양이 되어있구, 스X트디젤 까지 당착되있습니다.
스틱이기 때문에 출력 업그레이드에 따른 큰 문제는 없습니다만, 오토인 경우엔
미션슬립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터빈은 IHI 1315를 공통적으로 카니발과 테라칸에 사용하고 있구요.
김강희님의 경우, ECU 맵핑이 가장 쉬운튜닝이라고 생각되어 집니다.
현대 정비지침서엔, 2.9 CRDi 엔진의 인젝터 크리닝은 피하는것이 좋다라고 나와 있습니다.
인젝터 크리닝으로 문제가 될 소지가 많아서 그렇다고 하네요.
2007.09.06 00:25:09 (*.152.207.49)

황인겸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좀전에 쉬면서.. 모비스에서 부품을 검색하면서..비교를 해보니,
최신 테라칸은 다른 부품들이 꽤 많네요..^^ (터빈도 다르네요..)
현재 차량은 이곳 테드의 오재용님께서 소유하셨던 차량이라서,
이미 안전한 범위에서의 ecu mapping이 되어 있습니다.^^
잘 타다가..나중에 오버홀한 시점에..
정성껏 매반져 줘야 할 듯 싶습니다..^^
다시한번 많은 분들의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좀전에 쉬면서.. 모비스에서 부품을 검색하면서..비교를 해보니,
최신 테라칸은 다른 부품들이 꽤 많네요..^^ (터빈도 다르네요..)
현재 차량은 이곳 테드의 오재용님께서 소유하셨던 차량이라서,
이미 안전한 범위에서의 ecu mapping이 되어 있습니다.^^
잘 타다가..나중에 오버홀한 시점에..
정성껏 매반져 줘야 할 듯 싶습니다..^^
다시한번 많은 분들의 관심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