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요즘 갑자기 질문을 날마다 연달아 올리게 되네요..
다름아니라.. 제 차의 네오바AD07도 슬슬 트레드가 끝나가서요..
이번엔 Y급 타이어를 장착해서 300어택을 해보자..라고 다짐하고 있는데,
(네오바는 다 좋은데 W급이라 300어택하기가 좀 두렵습니다)
국내에서 235/45/17 사이즈의 Y급 타이어를 구하려니 선택의 폭이 좁더군요.
예전엔 미쉐린PS2 로 위의 사이즈를 구해볼까 했지만,
구하기가 너무 어려운 사이즈더군요 -_-a;;;
그래서 좀 널널하게 국산으로 구해볼까 하다가,
한타의 V12 evo 와 S1 evo 가 저 사이즈가 있는 Y급이란걸 알았습니다..
이 두개중 어느 쪽이 좀 더 퓨어스포츠에 가까운지 알고 싶습니다..
특히나 제게는 전후로 걸리는 트랙션과 브레이킹시의 접지력이 가장 중요하고,
둘째로 코너링시의 안정성을 그 다음으로 꼽고 있습니다..
(일단 주종목이 고속도로라서 200오버로 달릴때 믿고 달릴수 있는게 중요해서요)
주행 소음이나 승차감.. 트레드웨어 등은 전혀 중시하지 않는 편이고,
젖은 노면에서의 접지력도.. 그런 상황에선 아예 안달려서 중요하지 않습니다.
오로지 마른 노면(가끔 차갑고 마른 새벽의 노면)에서의 고속성능만이 중요합니다..
암튼.. 실은 S1 evo쪽이 좀더 그런 성향이 아닐까..라고 생각했었는데,
V12 evo도 은근히 평이 좋은게 혹시나 해서 질문 드립니다..
P.S.
물론.. 네오바 만큼의 접지력을 기대하는건.. 무리겠죠?
235 사이즈의 네오바에 너무 익숙해져 있어서.. 좀 불안하긴 합니다만..
그래도 280에서 타이어의 한계가 두려워 악셀오프를 하는건 이제 그만두고 싶어서요..
(예전에 R-S2 를 한번 끼워보고 트랙션과 브레이킹 접지가 약해서 도저히 못타겠길래
장착 1주일만에 버리고 다시 네오바를 끼웠던 기억이 나서 좀 불안하긴 합니다)
다름아니라.. 제 차의 네오바AD07도 슬슬 트레드가 끝나가서요..
이번엔 Y급 타이어를 장착해서 300어택을 해보자..라고 다짐하고 있는데,
(네오바는 다 좋은데 W급이라 300어택하기가 좀 두렵습니다)
국내에서 235/45/17 사이즈의 Y급 타이어를 구하려니 선택의 폭이 좁더군요.
예전엔 미쉐린PS2 로 위의 사이즈를 구해볼까 했지만,
구하기가 너무 어려운 사이즈더군요 -_-a;;;
그래서 좀 널널하게 국산으로 구해볼까 하다가,
한타의 V12 evo 와 S1 evo 가 저 사이즈가 있는 Y급이란걸 알았습니다..
이 두개중 어느 쪽이 좀 더 퓨어스포츠에 가까운지 알고 싶습니다..
특히나 제게는 전후로 걸리는 트랙션과 브레이킹시의 접지력이 가장 중요하고,
둘째로 코너링시의 안정성을 그 다음으로 꼽고 있습니다..
(일단 주종목이 고속도로라서 200오버로 달릴때 믿고 달릴수 있는게 중요해서요)
주행 소음이나 승차감.. 트레드웨어 등은 전혀 중시하지 않는 편이고,
젖은 노면에서의 접지력도.. 그런 상황에선 아예 안달려서 중요하지 않습니다.
오로지 마른 노면(가끔 차갑고 마른 새벽의 노면)에서의 고속성능만이 중요합니다..
암튼.. 실은 S1 evo쪽이 좀더 그런 성향이 아닐까..라고 생각했었는데,
V12 evo도 은근히 평이 좋은게 혹시나 해서 질문 드립니다..
P.S.
물론.. 네오바 만큼의 접지력을 기대하는건.. 무리겠죠?
235 사이즈의 네오바에 너무 익숙해져 있어서.. 좀 불안하긴 합니다만..
그래도 280에서 타이어의 한계가 두려워 악셀오프를 하는건 이제 그만두고 싶어서요..
(예전에 R-S2 를 한번 끼워보고 트랙션과 브레이킹 접지가 약해서 도저히 못타겠길래
장착 1주일만에 버리고 다시 네오바를 끼웠던 기억이 나서 좀 불안하긴 합니다)
2008.07.01 07:37:22 (*.220.172.205)
두 종류 모두 다 퓨어스포츠 쪽은 아닌 것 같습니다.
V12evo의 경우는 일반 도로에서 매우 재미있게 탈 수 있는
타이어임에는 분명합니다.
그러나 '예전에 R-S2 를 한번 끼워보고 트랙션과 브레이킹 접지가
약해서 도저히 못타겠길래 장착 1주일만에 버리고 다시 네오바를
끼웠던 기억이 나서 좀 불안하긴 합니다' <=요 맨트를 보고 나니
더더욱 광삼님 취향은 아닌 것 같습니다.
V12evo의 경우는 일반 도로에서 매우 재미있게 탈 수 있는
타이어임에는 분명합니다.
그러나 '예전에 R-S2 를 한번 끼워보고 트랙션과 브레이킹 접지가
약해서 도저히 못타겠길래 장착 1주일만에 버리고 다시 네오바를
끼웠던 기억이 나서 좀 불안하긴 합니다' <=요 맨트를 보고 나니
더더욱 광삼님 취향은 아닌 것 같습니다.
2008.07.01 07:39:39 (*.220.172.205)
저도 나름 사이즈가 독특해서(205/55/15) 국산 타이어는
SPT나 V8RS정도 밖에 없어서 안습입니다T_T
네오바, 또는 RE01R을 직수입해서 쓰거나 아니면
무난하게(?) 국내에서 구할 수 있는 아드레날린을
쓰거나....고민입니다. ㅋ
SPT나 V8RS정도 밖에 없어서 안습입니다T_T
네오바, 또는 RE01R을 직수입해서 쓰거나 아니면
무난하게(?) 국내에서 구할 수 있는 아드레날린을
쓰거나....고민입니다. ㅋ
2008.07.01 10:53:34 (*.231.44.54)

V12EVO는 가격대 만족도가 무척 높다는거지 접지력에서 MX나 RS2와 비교하긴 좀.. 제가 지금 S2000에 4짝 다 쓰고 있습니다. 전에는 MX와 네오바를 끼웠었구요. 종가속에 대응하는 능력이 떨어집니다. 브레이킹시 특히 마지막에 못버텨주구요. 약간 아쉬운정도이긴 하지만 광삼님의 취향은 아니실듯.. V1EVO는 배수력과 정숙성 고속 안정성에서 좋은 점수를 줄수 있지만(카이만 뒤 타이어로 사용했었습니다. 앞은 PS2) 고속 코너링은 잘 모르겠습니다. 서킷에 들어가서 타본 그립력이나 열내구성은 네오바나 PS2보다 떨어집니다. 300오버에 도전하신다면 구하기 어렵더라도 검증이 된 타이어로 사용하시는게 좋을듯합니다. 전 PS2 추천합니다.
2008.07.01 11:17:42 (*.32.163.140)

음..저랑 같은 같은 타이어에 같은 사이즈를 쓰시는군요. 윗분들 말씀대로
네오바 쓰시다가(게다가RS2에 실망하시고)s1evo나 v12evo쓰시면 실망
하시지 않을까요. 저는 같은 요코하마의 스포츠플래그쉽 어드반스포츠
(v103)을 추천합니다.
네오바 쓰시다가(게다가RS2에 실망하시고)s1evo나 v12evo쓰시면 실망
하시지 않을까요. 저는 같은 요코하마의 스포츠플래그쉽 어드반스포츠
(v103)을 추천합니다.
2008.07.01 11:41:24 (*.140.148.249)

이번엔 횡방향 접지에 대해선 너무 심한 기대는 안하려고 해서..
그냥 전후 방향만 잘 버텨주면 되는데.. 저 둘로는 그거도 무릴까요..
그렇다고 W급인 네오바로 300을 어택하긴 좀 두렵고..(280이 한계던가요)
역시 PS2를 구해야하려나요... 예전에 구하다 한번 포기한 적이 있어서..
그냥 전후 방향만 잘 버텨주면 되는데.. 저 둘로는 그거도 무릴까요..
그렇다고 W급인 네오바로 300을 어택하긴 좀 두렵고..(280이 한계던가요)
역시 PS2를 구해야하려나요... 예전에 구하다 한번 포기한 적이 있어서..
2008.07.01 14:54:19 (*.107.204.78)

제가 예전에 듣기로는 S1evo 도 전후는 괜찮고, 좌우는 약간 모자란다 들었습니다(///M3에 사용시). 전 ///M3에 순정 컨티넨탈 CSC 쓰다가 나름 평이 좋았던 금호 KU19 뒤에만 꼈다가 너무 미끄러지고(수시로 DSC 작동) 무서워서 바로 PS2 로 바꾼적 있습니다. tirerack( http://www.tirerack.com/tires/surveyresults/surveydisplay.jsp?type=MP) 에 보니 Y급에선 PS2 다음에 브리지스톤 RE050A pole position 이 좋다네요. 300 어택 하시려면 마음 편안하게 PS2 나 그 비슷한 급의 타야를 끼시는것이 좋지 않을까요?
2008.07.01 16:25:46 (*.154.145.47)

235 45 17 요.. Y급, 300km/h 주행을 전제로요..
(물론 가끔 하는 취미 와인딩에도 대응가능하면 더욱 좋구요)
(물론 가끔 하는 취미 와인딩에도 대응가능하면 더욱 좋구요)
2008.07.01 18:54:01 (*.107.241.55)
235/45/17 싸이즈는 많지 않나요?
국내 수입된 5시리즈들이 죄다 17"는 235/45/17 입니다.
어느 수입업체는 안들어온다는 말도 했지만..구하기 쉽고 흔한 타이어 같습니다.
S1 evo는 력서리 스포티즘이라 딱 고만큼만 합니다. 브레이킹시 후반부에 밀리는건 어쩔수없었습니다.
최고속 도전이시라면..PS2 나 피렐리 피제로로쏘 정도 추천합니다. 와인딩에 트레드를 갉아먹지만 최고속엔 좋은 타이어 같습니다.
s1 evo와 PS2 가격대가 30%정도나는데...정신적으로 30%를 감당하기엔 PS2가 더 좋습니다.
국내 수입된 5시리즈들이 죄다 17"는 235/45/17 입니다.
어느 수입업체는 안들어온다는 말도 했지만..구하기 쉽고 흔한 타이어 같습니다.
S1 evo는 력서리 스포티즘이라 딱 고만큼만 합니다. 브레이킹시 후반부에 밀리는건 어쩔수없었습니다.
최고속 도전이시라면..PS2 나 피렐리 피제로로쏘 정도 추천합니다. 와인딩에 트레드를 갉아먹지만 최고속엔 좋은 타이어 같습니다.
s1 evo와 PS2 가격대가 30%정도나는데...정신적으로 30%를 감당하기엔 PS2가 더 좋습니다.
2008.07.01 20:30:31 (*.179.254.17)

저에게 한타에서 300km/h용을 고르라면 R-S2 입니다. S1EVO나 V12EVO 보다는 R-S2가 낫습니다. 미쉐린이나 브리지스톤도 무난한 PP2나 아드레날린은 어차피 W급이고 실제 고속안정감도 R-S2보다 확실히 떨어집니다.
사이즈를 구하실수만 있으면 역시 정답은 PS2죠. 차선으로 RE050, R-S2 순으로 생각해 보시는게 좋겠네요. V103은 안써봐서 패스고요. ^^
사이즈를 구하실수만 있으면 역시 정답은 PS2죠. 차선으로 RE050, R-S2 순으로 생각해 보시는게 좋겠네요. V103은 안써봐서 패스고요. ^^
2008.07.01 21:43:24 (*.196.49.136)

근데... 타이어와 차량의 궁합도 있긴 한가봐요. 제 주위에 AD07로 300오버 막 달려주시는 분들이... 아.... 사이즈가 틀리구나... -_-; 인치업 하시는건? ㅋㅋㅋㅋ 아니면 하다못해 제차 뒷 타이어 사이즈인 255/40/17 사이즈로 광폭으로다가... 훗훗
2008.07.01 23:51:31 (*.196.49.136)

엇. 235-45-17 있습니다. 제 차 앞타이어가 그녀석인걸요... ^^ 전 앞 235/45/17 에 뒤 255/40/17 이에용~ 뒷 사이즈가 K104밖에 없어서 한동안 K104로만 다녔었지요... T_T 앞 타이어는 RS2 꼽았었었구... 뒤는 RS2로 가면서 255를 못구해서 245/40/17 을 사용했었더랬습니다. 나중에는 앞 245/40/17에 뒤 265/35/18 을 꼽았었지만... 흠.흠... =_=
2008.07.01 23:53:29 (*.196.49.136)

근데... 한타는 완전 지맘대로... -_- 사이즈도 있다가 없어졌다가... 막 그러더군요. T_T 265/35/18 도 지인을 통해서가 아니면 구매 불가능 ;;; 255/40/17 도 수출용 본이 있어서 몇개 이상 구매 확정 지어주면 찍어준다고 하다가 다시 안된다고 번복... 아주 웃긴넘들이에요 T_T
2008.07.02 01:54:27 (*.140.148.249)

헉.. 무광님은 그 사이즈가 있으신건가요??
한타 홈페이지의 라인업에는 없더라구요..
그러고보면.. 좀 더 넓은 타이어를 끌.. 파워는 됩니다만..
결정적인 문제가 휀더 간섭이... 오버휀더를 치지 않는한은요..
특히나 전륜구동 차량이라 전륜의 트랙션과 접지가 중요해서,
전륜에 255 사이즈를 꼽으려면 오버휀더 없이는 난감하죠 ^^
그냥 네오바로 그냥 가열차게 300 쏴볼까요....쿨럭쿨럭..
(...제가 알기론 모든 네오바 사이즈 W급입니다.)
..한타에다가 235 45 17 R-S2 도 한번 물어보긴 해야할듯 합니다만..
역시 브레이킹시의 종방향 접지가 약한 타이어라 좀 두렵긴 합니다.
(예전에 브레이킹이 쫘아악 밀리는게 너무 시껍하더라구요..)
금호의 XS가 Y급이라면 좋았을텐데요..
한타 홈페이지의 라인업에는 없더라구요..
그러고보면.. 좀 더 넓은 타이어를 끌.. 파워는 됩니다만..
결정적인 문제가 휀더 간섭이... 오버휀더를 치지 않는한은요..
특히나 전륜구동 차량이라 전륜의 트랙션과 접지가 중요해서,
전륜에 255 사이즈를 꼽으려면 오버휀더 없이는 난감하죠 ^^
그냥 네오바로 그냥 가열차게 300 쏴볼까요....쿨럭쿨럭..
(...제가 알기론 모든 네오바 사이즈 W급입니다.)
..한타에다가 235 45 17 R-S2 도 한번 물어보긴 해야할듯 합니다만..
역시 브레이킹시의 종방향 접지가 약한 타이어라 좀 두렵긴 합니다.
(예전에 브레이킹이 쫘아악 밀리는게 너무 시껍하더라구요..)
금호의 XS가 Y급이라면 좋았을텐데요..
2008.07.02 02:04:21 (*.178.199.165)

던롭 스포트맥스가 y급입니다. 광삼님 속도보다 2모자르게 달려봤습니다만,
올라갈 여유가 있는 듯 보였습니다.
차량이 하자인지라... 발을 떼긴 했습니다만...
225-40-18이 15.5만원에 절찬리에 판매(ㅋㅋ)되고 있긴 하던데,
저 희귀한 235-45-17은 모르겠습니다. ㅋㅋ
근데, 강남의 모 가게에선 32만원, 38만원을 부르더군요. ㅋㅋㅋ
혹시 여윳돈이 있으시다면 컨티넨탈 스포츠컨택도 평이 좋더군요.
911터보에 장착된 거 몰아봤는데... 3백 어택에 도움이 될 듯...
올라갈 여유가 있는 듯 보였습니다.
차량이 하자인지라... 발을 떼긴 했습니다만...
225-40-18이 15.5만원에 절찬리에 판매(ㅋㅋ)되고 있긴 하던데,
저 희귀한 235-45-17은 모르겠습니다. ㅋㅋ
근데, 강남의 모 가게에선 32만원, 38만원을 부르더군요. ㅋㅋㅋ
혹시 여윳돈이 있으시다면 컨티넨탈 스포츠컨택도 평이 좋더군요.
911터보에 장착된 거 몰아봤는데... 3백 어택에 도움이 될 듯...
2008.07.02 04:12:14 (*.13.72.177)
전 RE050 끼고 있지만 한계까지 몰아 붙이기 부담스러워서.. (생각보단 접지력이 좋지만요..트레드웨어가 140입니다. -_-;; 스포츠컨택은 280입니다... ) 다 쓰고 PS2 꼽을라구 합니다.
그런데 PS2에는 235/45/17은 없던데요. 225/45/17이나 235/40/18은 있던데요.. 미쉐린도 많이 사면 없는 싸이즈도 찍어 주나요? -_-;;
그런데 PS2에는 235/45/17은 없던데요. 225/45/17이나 235/40/18은 있던데요.. 미쉐린도 많이 사면 없는 싸이즈도 찍어 주나요? -_-;;
2008.07.02 04:30:00 (*.140.148.249)

헉.. 사이즈 없나요?????
2개는 구할수 있다..라고 모 타이어 업체에서 말하던데..
4개 한세트가 아니라 2개를 더 구하려다 못구했었거든요..
한타의 R-S2 처럼 라인업이 있다 없어졌다 하는걸까요..
2개는 구할수 있다..라고 모 타이어 업체에서 말하던데..
4개 한세트가 아니라 2개를 더 구하려다 못구했었거든요..
한타의 R-S2 처럼 라인업이 있다 없어졌다 하는걸까요..
2008.07.02 06:56:35 (*.220.166.25)
네오바 195/55/15사이즈는 '자그마치' VR급입니다. ㅋ~ T_T
제 차는 기어비 및 출력상 Y20km/h 약간 넘어서가 한계인지라
VR이라도 무난하게 잘 쓰고있습니다. ㅋ
확실히 속도대역이 올라가면 고려해야할 부분이 많군요....
제 차는 기어비 및 출력상 Y20km/h 약간 넘어서가 한계인지라
VR이라도 무난하게 잘 쓰고있습니다. ㅋ
확실히 속도대역이 올라가면 고려해야할 부분이 많군요....
2008.07.02 07:53:48 (*.105.139.116)

AD07 만 세대째 쓰고 있는데... 215/40/17 은 Y 등급이더군요..
저 역시 어드반 스포츠 추천드리겠습니다.
요꼬하마의 플래그쉽모델인데다가..
Y등급에 235/45/17 사이즈가 있네요^^
물론 절대적인 그립은 네오바보다 아주 약간 떨어진다고는 하지만..
나머지 부분들은 네오바보다는 낫다는 평이 많습니다^^
저 역시 어드반 스포츠 추천드리겠습니다.
요꼬하마의 플래그쉽모델인데다가..
Y등급에 235/45/17 사이즈가 있네요^^
물론 절대적인 그립은 네오바보다 아주 약간 떨어진다고는 하지만..
나머지 부분들은 네오바보다는 낫다는 평이 많습니다^^
2008.07.02 10:27:30 (*.133.223.158)

던롭 스포츠맥스가 상당히 저렴하게 판매되고 있더군요. 국산보다도 쌀 정도로...그래서 저도 스쿠프에 끼워볼까 합니다.
2008.07.02 13:02:59 (*.107.241.55)
235/45/17 이라는 싸이즈가 엄청 흔했습니다.
지금은 철지난 재고가 많겠지만..그 이유가 신형 중형차들이 50시리즈로 옯겨간걸로 사료됩니다.
제가 가는 타이어빵에도 235/45/17 30만원에 판매합니다.
프로필에 보이는 bmw싸이즈라 항상 눈여겨보는데..인치업을 할지 안할지 때문에 고민중입니다.
어드반 스포츠는 다좋은데 좀 질깁니다. 유도리가 없다? 판단은..^^;
PS2가 부드러우면서도 밸런싱이 좋을듯하구요.
컨티넨탈은 CS3가 나왔지만 CS2만으로도 300km는 어택가능합니다.
컨티넨탈은 over 340km르르 찍을수있는 몇안되는 회사입니다.
지금은 철지난 재고가 많겠지만..그 이유가 신형 중형차들이 50시리즈로 옯겨간걸로 사료됩니다.
제가 가는 타이어빵에도 235/45/17 30만원에 판매합니다.
프로필에 보이는 bmw싸이즈라 항상 눈여겨보는데..인치업을 할지 안할지 때문에 고민중입니다.
어드반 스포츠는 다좋은데 좀 질깁니다. 유도리가 없다? 판단은..^^;
PS2가 부드러우면서도 밸런싱이 좋을듯하구요.
컨티넨탈은 CS3가 나왔지만 CS2만으로도 300km는 어택가능합니다.
컨티넨탈은 over 340km르르 찍을수있는 몇안되는 회사입니다.
2008.07.02 14:50:40 (*.176.70.15)
광삼님 300찍고 풀로 계쏙 유지하실거 아니고 300찍고 내려오실꺼면
그냥 AD07로도 가능할듯합니다...
머 혹시 모르는 변수를 생각한다면 역시 PS2를 추천해 드리고 싶습니다
그냥 AD07로도 가능할듯합니다...
머 혹시 모르는 변수를 생각한다면 역시 PS2를 추천해 드리고 싶습니다
2008.07.02 19:26:29 (*.140.148.249)

성준님.. 물론 풀로 유지해야죠 ^^
보여주기용이 아니라 최고속 배틀을 위한 세팅이라서...
제 차의 내구성이 허용하는데까지 밟아야죠..ㅎㅎ
(물론 외곽순환에서 300유지란건 좀 무리라 생각합니다만)
보여주기용이 아니라 최고속 배틀을 위한 세팅이라서...
제 차의 내구성이 허용하는데까지 밟아야죠..ㅎㅎ
(물론 외곽순환에서 300유지란건 좀 무리라 생각합니다만)
2008.07.06 23:52:28 (*.126.60.12)

제 차 순정 타이어가 PS2입니다. 리밋이 255라 300까지 밟아볼 일이 없는 제 차지만 리밋걸리는 255에서 고속도로 왠만한 커브는 그냥 돌아나갑니다. 225/40-18, 255/35-19의 순정 타이어이고 서스도 물론 모두 순정입니다. 만족합니다.
그리고 v12 evo 의 경우는 k104 보다 업글 된 느낌이라 하여 드리프트 하시는 선수 분들은 적당히 미끄러지고 적당히 재동력 생긴다. k104보다는 타기 좋은 것 같다. (연기도 잘 나고 ㅎㅎㅎ) 라고 하시는걸 봐선 이러니 저러니 해도 k104급 이라고 생각되구요.
헌데... 별바람아저씨는(ㅋㅋㅋ) RS2도 못 타겠따! (AD07에서 RS2로 바꿔타신 분들이 한결같이 말씀하시는... T_T 서킷에서 타임어택에 AD07 꼽고 타다가 GT나가면서 RS2로 바꿔타구선 왜이렇게 미끄러워! 를 연발하시는 분들이 제법 ;;) 고 하시면서 s1 evo 나 v12 evo 를 생각하시다니요...
게다가 Y급!? ... 고속에선 뭔가 다른 요소가 작용하는 것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글쎄요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