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자유게시판에 엔진오일 교환 시기에 대한 글을 보며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지금까지는 5천km에 맞춰 항상 교환을 해왔는데
유온, 유압 게이지상의 수치를 통해서 엔진오일 교환시기를 알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현재 데피 유온, 유압게이지를 사용중인데 이 방법이 가능하면 적극 활용해볼 생각입니다.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지금까지는 5천km에 맞춰 항상 교환을 해왔는데
유온, 유압 게이지상의 수치를 통해서 엔진오일 교환시기를 알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현재 데피 유온, 유압게이지를 사용중인데 이 방법이 가능하면 적극 활용해볼 생각입니다.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2009.02.16 20:01:06 (*.155.172.234)
위의 이현일님 방식이 정답인 것 같구요.. 조금 더 부연하자면, 오일이 윤활능력을 점차 잃는 것은 결국은 높은 전단응력 때문에 선형탄화수소의 허리가 싹뚝 잘라져서 일정수준의 점도 유지가 안되기 때문인 것이 핵심입니다.. 결국 그냥 계속 쓴다면 상온에서 훨씬 점도가 떨어질겁니다. 다른 첨가제의 열화,소모, 기타 오염 등은 부차적인 부분일 것 같구요.. 따라서 위의 이현일님처럼 종종 오일게이지에 찍힌 오일을 손으로 만져보면 처음 교환했을 때와 열화되었을 때 그 느낌이 확실히 다릅니다.. 이러한 관찰과 오일압 게이지의 시동 후 엔진이 일정 온도에 도달했을 때의 아이들링 상태에서의 오일압력을 함께 연동해서 살펴보시면, 엔진오일의 열화에 따라 오일압이 서서히 떨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근데 이게 오일 점도에 따라 또 메이커에 따라 그 초기값과 변하는 양태 등이 제각각이라 뭐 딱히 어떤 값일 때 교환하세요~라고 말씀드리기는 좀 그렇네요.. 사용하는 오일 종류가 변하지 않는다면 첫번째의 측정한 아이들링상태에서 결정된 임계하한오일압력을 교환주기로 사용할 수도 있겠지요..
그것도 오일도 열통 반이나 먹어놓고 겨우 그거리 뛰고 ㅎ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