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이번에 클릭디젤을 구매했습니다 ^^
기분도 좋지만 길들이기라는 가장어려운 과제가 남아서 기대반 걱정반이네요...ㅠ
운전을 잘하지는 않지만 그나마 가장 부드럽게 길들이고 싶은데
엔진뿐만아니라 미션,서스펜션,차체 등등...최대한 무리 안가게 조심히 운전하려는데
여기서 제 운전 습관에 대해 질문드리겠습니다.
수동으로 운전할때 멀리서 신호가 빨간불로 걸리면 바로 기어를 중립으로 두고 브레이크를 밟는데
잘하는건가요?? 아니면 기어들어간상태에서 클러치만 밟고 정지후 기어를 중립에 두는것이 잘하는건가요?
면허딸때는 후자를 권유하던데...;;
디젤은 rpm2000넘기지 않는게 좋을까요?? 최대토크가 2000부터이던데...
두서없이 글을 썼네요..;;
안전운전하세요 ^^
이번에 클릭디젤을 구매했습니다 ^^
기분도 좋지만 길들이기라는 가장어려운 과제가 남아서 기대반 걱정반이네요...ㅠ
운전을 잘하지는 않지만 그나마 가장 부드럽게 길들이고 싶은데
엔진뿐만아니라 미션,서스펜션,차체 등등...최대한 무리 안가게 조심히 운전하려는데
여기서 제 운전 습관에 대해 질문드리겠습니다.
수동으로 운전할때 멀리서 신호가 빨간불로 걸리면 바로 기어를 중립으로 두고 브레이크를 밟는데
잘하는건가요?? 아니면 기어들어간상태에서 클러치만 밟고 정지후 기어를 중립에 두는것이 잘하는건가요?
면허딸때는 후자를 권유하던데...;;
디젤은 rpm2000넘기지 않는게 좋을까요?? 최대토크가 2000부터이던데...
두서없이 글을 썼네요..;;
안전운전하세요 ^^
2009.05.06 16:10:53 (*.164.227.244)

저도 개인적으로 일정 알피엠에서 지속적인 엔진운영으로 길들이기는 피합니다.. 부하를 적게 걸면서(되도록 알피엠을 올려야 겠죠..) 회전수 전영역(가솔린 경우 레드존에서 2000정도 밑으로)을 서서히 오르락 내리락 합니다.. 감속시는 엔진브레이크도 보통때보다 더욱 적극적으로 사용하구요.. 결국 시내주행이나 간선도로를 이용하게 되구요..
근데 이게 좋은 방법인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냥 왠지 맞는방법처럼 생각되고 지금까지 결과도 나쁘지 않았던것 같고..^^
요약하면 저부하로 알피엠을 충분히 올려 운행하고 엔진브레이크로 열발생없이 냉각시키면서 왕복운동을 지속시켜주는 것인데.. 과연..^^
근데 이게 좋은 방법인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냥 왠지 맞는방법처럼 생각되고 지금까지 결과도 나쁘지 않았던것 같고..^^
요약하면 저부하로 알피엠을 충분히 올려 운행하고 엔진브레이크로 열발생없이 냉각시키면서 왕복운동을 지속시켜주는 것인데.. 과연..^^
2009.05.06 10:36:59 (*.232.171.240)

너무 저rpm 을 사용하시는것도 좋지는 않을것 같습니다... 오히려 저rpm을 고집하려다 엔진에 과부하걸리는것이 더 않좋을것 같은데요.. 추가로 2000rpm 을 안 넘기면 너무 답답해서 엄청난 인내심이 필요하실듯...
저도 얼마전 1.6 vgt 수동을 구입해서 같은 문제로 고민하다가 나름대로 내린 결론이 "과부하 최대한 덜 걸리게 주행하자" 였습니다.
기억을 더듬어보니 대충 2300~2500rpm 정도에서 변속했던것 같네요...
15,000km 주행한 지금 주행성능도 만족하며, 평균연비도 18.X km/l 나옵니다. ^^;
저도 얼마전 1.6 vgt 수동을 구입해서 같은 문제로 고민하다가 나름대로 내린 결론이 "과부하 최대한 덜 걸리게 주행하자" 였습니다.
기억을 더듬어보니 대충 2300~2500rpm 정도에서 변속했던것 같네요...
15,000km 주행한 지금 주행성능도 만족하며, 평균연비도 18.X km/l 나옵니다. ^^;
2009.05.06 11:03:01 (*.11.60.2)

디젤이라 해도 RPM은 대략 3000까진 괜찮을거라고 저는 생각하는데요..
결국은 실린더 벽과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한 마모의 문제니..
디젤엔진이라고 RPM에 비해 마모가 다를리는 없지 않을까요?
암튼 저는 보통 길들이기를 처음 300킬로가량은 정말 낮게 살살..하다가,
대략 100km마다 사용 RPM과 주행의 강도를 올려가면서 늘려가는 편입니다.
길들이기가 끝나갈때쯤엔 거의 풀RPM에 가깝게 사용하도록 잡아서요..
(튜닝카에서 매핑이 안된 초벌 길들이기 중엔 물론 그래선 안되지만요)
결국은 실린더 벽과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한 마모의 문제니..
디젤엔진이라고 RPM에 비해 마모가 다를리는 없지 않을까요?
암튼 저는 보통 길들이기를 처음 300킬로가량은 정말 낮게 살살..하다가,
대략 100km마다 사용 RPM과 주행의 강도를 올려가면서 늘려가는 편입니다.
길들이기가 끝나갈때쯤엔 거의 풀RPM에 가깝게 사용하도록 잡아서요..
(튜닝카에서 매핑이 안된 초벌 길들이기 중엔 물론 그래선 안되지만요)
2009.05.06 19:42:48 (*.50.140.29)

장민석님 // 저도 쎄라토 가솔린 타다가 엑센트 TGR 탔었는데 반갑네요 ^^
답변 감사드리고 블로그에서 자세히 봤네요 감사합니다^^
박승준님 // 그럼 엔진브레이크를 쓰라는건가요?? 그럼 RPM 올라가서 안좋지 않나요??
이창복님 // 와 연비 잘나오시네요 ^^ 저도 2500정도에서 변속하려고합니다 ^^
김광삼님 // 디젤은 엔진열이 더 높아서 RPM을 적게 사용하라는말이 아닐까요 ^^?
리플 감사합니다 ^^
답변 감사드리고 블로그에서 자세히 봤네요 감사합니다^^
박승준님 // 그럼 엔진브레이크를 쓰라는건가요?? 그럼 RPM 올라가서 안좋지 않나요??
이창복님 // 와 연비 잘나오시네요 ^^ 저도 2500정도에서 변속하려고합니다 ^^
김광삼님 // 디젤은 엔진열이 더 높아서 RPM을 적게 사용하라는말이 아닐까요 ^^?
리플 감사합니다 ^^
2009.05.07 20:02:31 (*.200.171.200)

그냥 편안하게 타세요....
요즘에 나오는 자동차 엔진들은 예전에 세대들에 비해서.......
특정영역이나 엔진회전수에 집착할 필요가 적을것 같네요....
또한 커먼엔진이기에 오일과 연료사용에 주의하시고, 예열/후열에 신경쓰시면
어느정도 시점에서 부드러워 집니다....
불필요한 고회전만 피해도 길들이기는 충분합니다....
요즘에 나오는 자동차 엔진들은 예전에 세대들에 비해서.......
특정영역이나 엔진회전수에 집착할 필요가 적을것 같네요....
또한 커먼엔진이기에 오일과 연료사용에 주의하시고, 예열/후열에 신경쓰시면
어느정도 시점에서 부드러워 집니다....
불필요한 고회전만 피해도 길들이기는 충분합니다....
저도 TGR타다가 쌔라토 디젤을 구입을 했습니다.^^
신호등은 아마 정차하기전까지 클러치 밟지 않고 정지할때 정도에서 클러치를 밟아서 동력을 차단해주는게 맞을것 같습니다.
저도 물론 그렇게 안하고 중립으로 빼버리지만 제가 알기론 정차하기전까지 동력을 차단하지 않는게 맞는걸로 압니다.(기어단수를 맞게 내리라고 하더군요)
그리고 길들이기는 고속도로는 피하라고 하더군요.
특정 알피엠을 유지하면 특정 알피엠에서만 자리를 잡는다고 하내요.
http://blog.naver.com/joyrde
검색해보시면 길들이기 방법을 재미있게 설명해놓은 글이 있습니다.
참고하시고 즐거운 디젤승용생활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