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직원차량 오일캐치탱크를 작업했는데 아이들링이 불안정하네요..
1) 흡기쪽 파이프 관은 나사와 실리콘호수를 이용하여 완전히 막았습니다.
2) 엔진헤드쪽에서 나오는 2개의 홀은 Y자 형태로 2-1로 캐치탱크로 연결
3) 서지탱크쪽도 따로 캣치탱크쪽으로 연결...
4) ecu 리셋
증상:
1) 아이들링이 100정도 증가
2) 시내주행시 클러치를 뗐고 중립상태에서 알피엠이 부웅 하면서 3천까지 증가...ㅜㅜ;;
차량: 투스카니 05년식 vvt

아이들링 불안정이나 알피엠 상승으로 이어지는 지는 확인을 못했습니다.

1번항의 흡기쪽라인에 호스를 연결하시면 해결됩니다...
평소엔 흡기쪽에서 헤드커버로 공기가 들어와서 PCV벨브를 거쳐 써지탱크로 들어가는 구조인데요.. 고 RPM으로 올라가면 PCV벨브가 닫히면서 인테이크쪽으로 헤드커버내부의 공기가 빨려 들어갑니다.... 이때는 오일캐치 탱크가 소용이 없어지는 구간이 되겠죠...
따라서 전구간에 발생되는 블로바이개스를 오일캐치로 막겠다라고 하신다면.... 헤드커버에서 흡기인테이크로 가는 라인에 조그마한 ISC용 필터 같은것을 달아 주시구요... 흡기 인테이크쪽에 헤드커버와 연결된 구멍은 막으시고..
그리고 PCV벨브 이후에 오일캐치를 달으시면 전 영역에서 PCV벨브가 닫히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고 오일캐치를 통해서 블로바이개스가 처리는 됩니다.
아.. 지금의 구조는 헤드커버내부의 공기를 너무 빨아내서.. 진공(?)이 내부에 생겨서 문제가 되는것 같습니다... 그래서 문제가 생긴것 같네요....

1....현재의방법
1) 흡기쪽 파이프 관은 나사와 실리콘호수를 이용하여 완전히 막았습니다
=> 헤드의 브로바이 까스가 인테이크로 가는라인을 막는다는취지는 옳으나 본관로를 막아버리면
엔진 헤드내의 브로바이까스 정체 .적체로인한 내부압력의증가와 그로인하여 오일온도가
일부상승함으로인한 엔진오일의슬러지화유발 이 치명적입니다
=>제 경험으로 님같은방법으로 주행 1년여결과
스타트 악셀답력증가. 가속력증가등을 느끼며 악셀이초반더 무거워지는것을 경험하엿읍니다
=> 그러나 1년정도 주행결과 헤드에 열변형에서오는 슬러지가 꽤 눈에띠더이다
방법시행전 분명 후러싱하고 합성오일을 넣고 단지 9500km를 주행후 눈에띠게 점차 차량증상이 답답해져
인테이크,트로틀바디.캐취탱크를 청소해본결과 써지텡크쪽에서 슬러지가꽤많이 발견되얶읍니다
그건.....서지탱크달기전 유입된 브로바이까스가 굳은것이겟지요~ .
.=>굳이 다시려거든 기존라인 중간에 캐취텡크를다시고 까스 압력조절용(가정용) 소형 레바를 중간에달아
인테이크로들어가는 량을 조절하시는게 유리합니다
(단, 인테이크 -> 연장호수 케취텡크->체크볼순정호수->엔진헤드
이순서중 케취볼내장순정호수를 꼭 장착해야합니다 / 이거 잊으면 브로바이흡입시 오일이 따라 많이넘치며
pcv작동시 너무과한 공기가 헤드에유입됩니다 :특히유념하세요)
2) 엔진헤드쪽에서 나오는 2개의 홀은 Y자 형태로 2-1로 캐치탱크로 연결
=>대단히 불행한방법입니다 엔진아웃 호수 2개소중 각기 그 기능이다르답니다
브로바이라인은 브로바이까스 IN (인테이크<<< 엔진헤드)-. AIR OUT (인테이크>>>엔진헤드)
pcv쪽은 브로바이 가스 OUT 만 담당하니 절대 그리하면 안된답니다
즈로바이호수라인과 PCV호수라인의 그 기능과역활을 아시면 방법이달라지실겁니다
==>즉,주행시 브로바이까스는 계속적으로 인테이크로 흡입(이때 PCV밸브는 반대로 OFF)이되면서 엔진헤드 로커암의 압력을 감소하고 더불어 내부온도를 내리는청정효과까지 담당하지요 반대로 악셀오프시 엔진헤드내의 일부 진공이 해소되면서 인테이크의 공기를 흡입하게되면서 공기부압이증가하여 PCV밸브가 열리고 브로바이가스는
써지텡크쪽으로 다이렉트로 빠지게됩니다 이런 상호반작용이 적용되는 라인인데요...
그런데 이것을 Y자로 묶는다면??? <<<===== 절대로 아니되옵니다
3) 서지탱크쪽도 따로 캣치탱크쪽으로 연결...
==> 위 이중적 상호 반작용의원리로 인해 개별로 순정방법과같이 결선해줘야합니다
굳이 하시겟다면 케취탱크장착을 브로바이라인 1개. PCV밸브쪽도 추가1개 이렇게 개별로 하셔야옳지요
4) ecu 리셋
==>이때 리셋은 읨가 없읍니다 /전장품이 아니니가요~ 자연학습이 됩니;다~/전혀 무관
간단설명 :
흔히들 PCV라인쪽은 건들지않읍니다 .브로바이라인만 건들이지요 그리고 그중간에 케취텡크를 달구요
그러나 맹점은 엔진->순정 캐취볼호수->케취탱크 ->라인연장호수>인테이크관 이런순서로 장착해야하나
순정캐취볼호수를 달지않고 일반 사제호수를 다는게 다반사이데요 위설명같이 이리되면 너무많은량의브로바이가스를 뽑다보니 필요이상의 헤드진공압이형성되므로 오일이 상당히 넘어옵니다 또 악셀오프시 PCV쪽으로
라인작동이 원할치않구요(엔진내오히려 진공압이걸려 부압-대기압이상-이;걸리려면 체적이부족현상이
올우려 다분 해서입니다) 결과적으로 순정방식의 라인을 준수하시되 그 중간을 끊어 캐취탱크를 단다...
이리 판단하시는게 제일 좋읍니다
님같은 장착 경우
1. 인테이크 브로바이라인을 막아버리고
2 엔진 브로바이배출라인과 PCV배출라인을 Y 자로묶어 캐취탱크로 보낸후 대기방출하엿다는예기이며
3,기존 서지텡크 라인도 막아버린경우이니 당연 RPM상승이 오겟지요??? <== 이방법이 문제의원인
ISC 제조립후에 ECU가 학습하는 시간이 꽤 걸리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몇일 운행해도 이상이 있다면 ISC조립할때 이물질이 들어갔을수도 있으니
점검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