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회원님들 보스턴에 있는 유정수 입니다.
이곳은 다음주에 또 눈 소식이 있는데 서울은 어떤지 모르겠네요
차종은 2004년식 S4 카브리올레이구요
이전 오너가 순정 쇼바로 교체하고 3만키로 정도 되었습니다.
서스펜션 업그레이드를 하려는데 순정쇼바+사제 스프링 조합 어떨까요?
H&R이나 아이박 스프링 생각하고 있는데요
성능보다는 외관상 2~3센치 로워링이 주 목적이서서
굳이 비싼 코일오버로 안가려 합니다.
한가지 걸리는게 성능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 모르겠네요.
순정쇼바에 스프링만 바꾸면 쇼바가 눌린 상태로 있어서 좋지 않다는 말도 들었고
스포츠 드라이빙시 붕붕 뜬다고들 하던데요... 어떨런지요?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순정뎀퍼와
사제스프링이 서로 좋은 궁합을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같은 차종의 포럼에서
찾아보시는게 좋을듯 하네요
차종이 S4라면 순정이라도 하드한
뎀퍼가 아닐까 추측해봅니다
그렇다면 뎀퍼의 수명이조금 짧아 질수
있지만 심하게 출렁거리 않을수 있습니다

제가 보기에는 위에 답변하신 분들 보다
오히려 질문하신 분께서 답을 던져놓고 시작하신것 같습니다.
순정형 댐퍼와 스프링은 이론상은 선형 (댐퍼는 속도에 비례, 스프링은 변위에 비례) 이기 때문에 댐핑 상수, 스프링 상수라는게 존재하지만
실제로는 일반적인 작동 변위 구간과 속도 영역 내에서만 "거의" 선형일 뿐, 사실은 비선형(nonlinear)입니다.
비선형인건 여러가지 요인이 있겠습니다만
특히나 순정 댐퍼는 작동 변위 (스트로크) 구간에 따른 비선형성이 큰걸로 알고 있습니다.
즉, 댐퍼를 눞혀놓고 봤을 때
(위) ||------======-----|| (아래) 요 구간에서 움직일 때 정상적인 댐핑력을 내는 댐퍼라 치면
(위) ||--======---------|| (아래) 요 구간에서만 움직이면 댐핑력이 부족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그래서 순정 댐퍼와 순정이 아닌 스프링의 조합이 생각보다 너무 많이 안 맞는겁니다.
(사제 스프링의 stiffness는 일반적으로 순정 대비 겨우 15%밖에 차이 안 나는데 말입니다..)
순정댐퍼에 상수가 높은 스프링을 조합시엔 댐퍼가 제역할을 하지못할 가능성이 커지죠.
문제점으로는 좀 과장하면 차를 타서 내릴때까지 계속 위아래로 출렁입니다;;고속안정성이 매우 떨어지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