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안녕하세요?
최근에 자가정비를 하면서 토크랜치가 가지고 싶어졌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하다못해 플러그만 교환할려고 해도, 적당한 조임토크가 아니여서 헤드에 손상이 간다면
그야말로 diy 하나마나 아닙니까 ㅎㅎㅎ ^^
차라리 맡기는게 낫지만 또 일선의 정비하시는 분들도 토크렌치 없이 그냥 손으로 하시니까
또 그런 부분을 못 믿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이곳 미국에 오면서 많이 놀랬던 것이 이겁니?
제가 자주가는 타이어샵이 있는데(물론 프랜차이즈입니다 ^^) 그곳은 어느 작업장을 가더라도
휠 볼트의 마지막 마무리는 토크랜치로 합니다. 이건 미체결 사고시에 소송 때문에라도
하는 것이겠지만 그런 것 하나하나부터가 느낌이 틀리더군요.
한번은 제 차 고장진단을 위해서 정비소를 몇군데 찾았습니다.
사브만 전문적으로 몇십년간 정비한 분의 샵도 간적이 있는데 백발이 성성한 할아버지께서
절 맞으면서 손에 들고 나온건 토크렌치였습니다 ^^ 마침 엔진을 손보고 계시더군요.
아버지의 꿈도 개러지에 공구세트 완비이신지라, 저도 어릴 때 부터 공구욕심을 꽤 냈습니다.
현대중공업 설계 기사셨거든요. 집에 왠만한 공구도 서독제로 쫙~ 있었습니다.
(연수중에 수집하신.. 지금은 제가 다 잃어 버렸지마는요.... ㅋㅋ)
아버지와 토크랜치 이야기를 나눴는데 당신께서도 그렇게 느끼셨다고 그러시더군요.
문득 토크랜치가 가지고 싶어져 주절거려 봤습니다 쩝쩝.
이거 딸라벌어서 공구사고 부품사고 하다보니 차 밑으로 돈이 다 들어가는 느낌입니다 ㅎㅎ.
최근에 자가정비를 하면서 토크랜치가 가지고 싶어졌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하다못해 플러그만 교환할려고 해도, 적당한 조임토크가 아니여서 헤드에 손상이 간다면
그야말로 diy 하나마나 아닙니까 ㅎㅎㅎ ^^
차라리 맡기는게 낫지만 또 일선의 정비하시는 분들도 토크렌치 없이 그냥 손으로 하시니까
또 그런 부분을 못 믿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이곳 미국에 오면서 많이 놀랬던 것이 이겁니?
제가 자주가는 타이어샵이 있는데(물론 프랜차이즈입니다 ^^) 그곳은 어느 작업장을 가더라도
휠 볼트의 마지막 마무리는 토크랜치로 합니다. 이건 미체결 사고시에 소송 때문에라도
하는 것이겠지만 그런 것 하나하나부터가 느낌이 틀리더군요.
한번은 제 차 고장진단을 위해서 정비소를 몇군데 찾았습니다.
사브만 전문적으로 몇십년간 정비한 분의 샵도 간적이 있는데 백발이 성성한 할아버지께서
절 맞으면서 손에 들고 나온건 토크렌치였습니다 ^^ 마침 엔진을 손보고 계시더군요.
아버지의 꿈도 개러지에 공구세트 완비이신지라, 저도 어릴 때 부터 공구욕심을 꽤 냈습니다.
현대중공업 설계 기사셨거든요. 집에 왠만한 공구도 서독제로 쫙~ 있었습니다.
(연수중에 수집하신.. 지금은 제가 다 잃어 버렸지마는요.... ㅋㅋ)
아버지와 토크랜치 이야기를 나눴는데 당신께서도 그렇게 느끼셨다고 그러시더군요.
문득 토크랜치가 가지고 싶어져 주절거려 봤습니다 쩝쩝.
이거 딸라벌어서 공구사고 부품사고 하다보니 차 밑으로 돈이 다 들어가는 느낌입니다 ㅎㅎ.
2007.09.24 11:19:09 (*.193.141.161)

멋진 카 라이프 이시네요, 지금 외국에서 공부하면서 틈틈히 기회날때마다 자가정비도 하고 토크렌치 구입하면서 개러지를 꿈꾸시는 모습이 제 입장에서는 부럽습니다.^^ 저도 차 정비에 대해서 배우고 있는중이고, 먼훗날 개러지를 꿈꾸고 있습니다.kkk
2007.09.24 11:51:22 (*.155.221.11)
저도 지난 여름방학때 뉴질랜드에 다녀왔습니다.
허름한 중고타이어 취급점에서도 토크랜치로 마무리 하는것을 보고 놀란기억이 나네요..
친구차는 매우 썩은 자그마한 밴이었는데 말이죠^^
허름한 중고타이어 취급점에서도 토크랜치로 마무리 하는것을 보고 놀란기억이 나네요..
친구차는 매우 썩은 자그마한 밴이었는데 말이죠^^
2007.09.24 12:00:45 (*.172.214.159)

물론 손재주가 좋고 경험이 많으신 정비사들 께서는 토크렌치 없이도 잘 하시겠지만, 정석대로 하는 것이 제일 좋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미국에서 토크 렌치가 3개 사서 쓰다가 가져왔습니다. 물론 다 저렴한 제품들이라 잘 안맞을 겁니다만, 오차가 있더라도 없는거 보다는 더 나을 것 같아서 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딜러에서 쓰는 정비 메뉴얼을 보시면 모든 볼트에 토크 스펙이 나와있습니다. ^^ 미국에서 Pepboys 같은데 가면 굉장히 저렴하게 살 수 있습니다. 오래/자주 쓰실거면 인터넷에서 조금 더 좋은 걸로 사셔도 좋겠구요.
2007.09.24 12:27:49 (*.187.2.99)

오늘 근처 오토죤가서 점화플러그와 공구 구입해서 작업했습니다. 세상에 플러그 하나는 이리듐이고 나머지 3개는 일반 NGK 점화플러그더군요. 같은 NGK긴 하지만;;
1번부터 교환하는데 첫번째는 이리듐이었습니다. 속으로 x장! 돈낭비했다! 싶었지요. 그럼 노킹 원인이 어디에 있나 엄청 고민했습니다. 플러그가 얼마나 깨끗하던지;; 그런데 두번째부터 단자가 다 녹아있더군요. 4번까지... 그래서 아무튼 ^^ 적당한 가격대의 플러그로 교환했습니다. 노킹도 사라지고 엔진이 더 많이 부드러워 졌습니다 ^^
공구사면서 보니까 토크렌치가 15~30불이면 사더군요. 조만간 마련해야겠습니다 ㅎㅎ. 하루이틀 일당 만 올인하면 되겠네요 ㅠㅠ
1번부터 교환하는데 첫번째는 이리듐이었습니다. 속으로 x장! 돈낭비했다! 싶었지요. 그럼 노킹 원인이 어디에 있나 엄청 고민했습니다. 플러그가 얼마나 깨끗하던지;; 그런데 두번째부터 단자가 다 녹아있더군요. 4번까지... 그래서 아무튼 ^^ 적당한 가격대의 플러그로 교환했습니다. 노킹도 사라지고 엔진이 더 많이 부드러워 졌습니다 ^^
공구사면서 보니까 토크렌치가 15~30불이면 사더군요. 조만간 마련해야겠습니다 ㅎㅎ. 하루이틀 일당 만 올인하면 되겠네요 ㅠㅠ
2007.09.24 12:29:53 (*.37.15.184)

주영님, 공구 지름신이 슬슬 나타나는듯 합니다. ^-^
나중에 'DIY의 제왕' 되시는건 아닌지...
저는 DIY 하다가 DIE 될뻔한뒤로 잘안하고 있습니다. ㅎㅎ
나중에 'DIY의 제왕' 되시는건 아닌지...
저는 DIY 하다가 DIE 될뻔한뒤로 잘안하고 있습니다. ㅎㅎ
2007.09.24 12:39:31 (*.136.194.241)

토크렌치는 일정간격으로 영점조정(?) 해줘야 한다고 알고있는데요..
틀어진 토크렌치로 조이는 것도 불안해서 말이죠. ^^;
자주 쓰지 않더라도 공구를 하나둘 사모으는건 왠지 뿌듯한거 같애요 ㅎㅎ
틀어진 토크렌치로 조이는 것도 불안해서 말이죠. ^^;
자주 쓰지 않더라도 공구를 하나둘 사모으는건 왠지 뿌듯한거 같애요 ㅎㅎ
2007.09.24 13:42:16 (*.247.91.179)

휠볼트 조이는 수준의 작업(10kgm 이상)은 대만제 싸구려도 쓸만합니다. 정밀도가 그리 중요하지 않으니까요.
하지만, 플러그 조립같은 작업은 꼭 좋은거 쓰세요.
하지만, 플러그 조립같은 작업은 꼭 좋은거 쓰세요.
2007.09.24 15:05:03 (*.192.244.159)

가끔 아버지께서 출장다녀 오시면 어린 저에게 사주신 선물은 다름 아닌 미니 몽키스패너(8센티쯤), 롱노즈 바이스플라이어 같은 공구 였습니다 ㅎㅎ. 아직도 집에 있는 제 공구함에 잘 있지요. 특히 바이스플라이어는 아주 쓸모가 많더군요^^
플러그는 일단 풀때 들었던 만큼 힘으로 조여놓긴 했습니다. 평생 토크렌치를 써도 점화플러그or드레인볼트 정도만 쓸것 같아 비싼 제품을 섯불리 구입하기 꺼려집니다. 보통 10~20만원대의 제품을 추천하시더군요^^ 혹시 가격대비 저렴하지만 쓸만한 제품(혹은 브렌드)이 있을까요?
플러그는 일단 풀때 들었던 만큼 힘으로 조여놓긴 했습니다. 평생 토크렌치를 써도 점화플러그or드레인볼트 정도만 쓸것 같아 비싼 제품을 섯불리 구입하기 꺼려집니다. 보통 10~20만원대의 제품을 추천하시더군요^^ 혹시 가격대비 저렴하지만 쓸만한 제품(혹은 브렌드)이 있을까요?
2007.09.24 15:58:14 (*.107.217.83)
토크렌치가 15~30불이면 <- 이가격이면 정크품이라고 봐야 겠지요.
일제로 20 ~ 30 만원 정도면 살수 있습니다.
미제나 독일산은 그거의 2 ~ 3배는 줘야 하고요.
점화플러그 조이실 용도면 , 순정품으로 딸려나오는 T 자 모양을 그냥 쓰시면 됩니다.
어짜피 어느정도 힘이상 못 사용하게 만든 디자인이기 때문에 일반인이 그 공구로 작업하면 딱 적당하게 조여집니다.
일제로 20 ~ 30 만원 정도면 살수 있습니다.
미제나 독일산은 그거의 2 ~ 3배는 줘야 하고요.
점화플러그 조이실 용도면 , 순정품으로 딸려나오는 T 자 모양을 그냥 쓰시면 됩니다.
어짜피 어느정도 힘이상 못 사용하게 만든 디자인이기 때문에 일반인이 그 공구로 작업하면 딱 적당하게 조여집니다.
2007.09.24 19:09:05 (*.133.138.117)

저도 공구욕심이 있어서 snap-on 토크랜치 구입하려고
가격을 알아봤더니 작은(?)게 50정도 하더군요.. ㅎㄷㄷ
중고로 알아봐야 겠습니다.. T^T
가격을 알아봤더니 작은(?)게 50정도 하더군요.. ㅎㄷㄷ
중고로 알아봐야 겠습니다.. T^T
2007.09.24 22:40:59 (*.130.122.154)

민경찬님 말씀대로, 핸들의 길이에 의해서 줄 수 있는 토크의 한계가 어느 정도는 결정됩니다. 플러그 포장상자에도 나오지만, 신품의 경우 가스킷이 변형되는 것에 의하여 적당한 토크가 가해지는데, 일단 살살 돌려서 걸린 다음 90도 더 돌리는 식으로 체결할 수도 있습니다. 사용품은 15도 더 돌리라고 나오죠. 그것도 헤드 상태에 따라서는 다 못 돌릴 수도 있습니다만, 그럴 경우에 무리하지만 않으면 큰 무리는 없습니다. 그런 식으로도 10년 넘도록 플러그 갈다가 헤드 망가뜨린 적은 없습니다.
2007.09.24 23:10:52 (*.34.119.180)

튜닝 좋아하시는 분들에게 "공구 지름신"까지 강림하면
그거 약도 없는데요....^^
저는 지름신 까지는 아니지만, 어설픈 인부들이 대강 하는 것이 싫어서
제가 직접 한답시고 10여년째 하나 둘 모으다 보니,
이제 제방 옆 베란다가 공구 전용 룸이 되어버렸네요.
간단한 것은 대만제, 중간것은 일제, 조금 좋은 것은 독일제와 미제로....
저도 토크렌치 정말 사고 싶었는데...가격이 영~~~ ^^
제가 그 가격대비 효용가치를 누릴만큼 그것을 사용할 일이 있을까 싶어서
아직 못사고 있지만, 나름의 상징성때문에 꼭 하나는 구비하고 싶더군요.
시골 한적 한 곳에 창고 구비된 전원주택 하나 구입해서
본격적으로 리프트와 컴프레샤 구입을 "질러"(?) 보는게 소원인데....
마눌님 눈치가,,,영~~~
그거 약도 없는데요....^^
저는 지름신 까지는 아니지만, 어설픈 인부들이 대강 하는 것이 싫어서
제가 직접 한답시고 10여년째 하나 둘 모으다 보니,
이제 제방 옆 베란다가 공구 전용 룸이 되어버렸네요.
간단한 것은 대만제, 중간것은 일제, 조금 좋은 것은 독일제와 미제로....
저도 토크렌치 정말 사고 싶었는데...가격이 영~~~ ^^
제가 그 가격대비 효용가치를 누릴만큼 그것을 사용할 일이 있을까 싶어서
아직 못사고 있지만, 나름의 상징성때문에 꼭 하나는 구비하고 싶더군요.
시골 한적 한 곳에 창고 구비된 전원주택 하나 구입해서
본격적으로 리프트와 컴프레샤 구입을 "질러"(?) 보는게 소원인데....
마눌님 눈치가,,,영~~~
2007.09.25 00:18:41 (*.74.165.168)

저도 공구지름신에 토크렌치 구입했었죠....국내에선 일반인 대상으로 판매하는 쇼핑몰은 거의 없더군요. 무슨 공장용만 있고..가격도 어마어마하고.. 그래서 영국 쇼핑몰에서 저렴한걸로 질러 배달된걸 보니 마데인차이나 --; 뭐 그래도 갖고는 있습니다 ㅎㅎ
2007.09.25 02:40:09 (*.121.187.229)

개인이 행하는 점화플러그 교환정도 수준의 DIY라면 토크렌치 구입은 솔직히 좀 오바 아닌가? 합니다.. 토크렌치의 가격이 장난이 아니던데요..(저가형은 솔직히 안쓰는게 낫다는 생각 - 가끔씩 샵에서 토크렌치를 빌려서 규정토크로 조여보면 뭔가 좀 덜조여진듯한 께림칙한 느낌이 올때가 있고 실제로 덜조여진적도 있었습니다 -> 매뉴얼에 적혀진 토크를 무조건 지킨다는 의미 보다는 각그룹의 볼트들을 균등히 조이는데 의의를 두어야 할듯..) 실제로 나사산의 상태 및 볼트의 상태에 따라서 적정 조임토크도 변하는 것이니까요.. 사람의 손으로 느끼는 감각이 의외로 상당히 중요하더군요.. 그리고 토크렌치 하나 살돈으로 기본공구를 구입하면 의외로 상당히 많은 종류의 공구류를 구입할 수 있는데 다양한 공구로 행하는 DIY가 더 즐겁지 않을까? 합니다..
몇년전에 40만원 정도의 비용으로 공구를 구입했는데 잭키와 스탠드잭키 및 라쳇렌치, 기타 스패너, 플라이어류를 구입해서 집에서 직접 엔진오버홀이 가능했습니다.. 물론 헤드볼트 체결시에는 신품 볼트류를 사용함과 동시에 라쳇렌치로 먼저 조인 후 연결대를 사용하여 추가로 적정 각도로 조이는 방식으로 균일하게 조이기 위해서 노력을 하였고 사고로 폐차할때까지 5만Km 정도를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며 잘 탈수 있었습니다... 그뒤로 차가 바뀔때 마다 3번정도 집에서 오버홀을 하였고 지금도 그때 공구들을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국산공구 너무 좋더군요.. ^^) 지금은 좀 무거운차로 바뀌면서 차에 깔릴까봐 무서워서 무리한 DIY는 피하고 있지만요... 사실 저도 현재 제일 갖고 싶은게 다양한 규격의 토크렌치 셋트이지만.. 굳이 개인이 그런 고가의 전문공구를 갖출 필요까지는 있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몇년전에 40만원 정도의 비용으로 공구를 구입했는데 잭키와 스탠드잭키 및 라쳇렌치, 기타 스패너, 플라이어류를 구입해서 집에서 직접 엔진오버홀이 가능했습니다.. 물론 헤드볼트 체결시에는 신품 볼트류를 사용함과 동시에 라쳇렌치로 먼저 조인 후 연결대를 사용하여 추가로 적정 각도로 조이는 방식으로 균일하게 조이기 위해서 노력을 하였고 사고로 폐차할때까지 5만Km 정도를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며 잘 탈수 있었습니다... 그뒤로 차가 바뀔때 마다 3번정도 집에서 오버홀을 하였고 지금도 그때 공구들을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국산공구 너무 좋더군요.. ^^) 지금은 좀 무거운차로 바뀌면서 차에 깔릴까봐 무서워서 무리한 DIY는 피하고 있지만요... 사실 저도 현재 제일 갖고 싶은게 다양한 규격의 토크렌치 셋트이지만.. 굳이 개인이 그런 고가의 전문공구를 갖출 필요까지는 있을까? 하는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