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오늘 부산 금정체육공원 내 카트장에서 일어난 일입니다. 제가 당사자는 아니구요. 누나가 친구들과 카트장을 찾았을 때 일어난 사건으로, 저는 듣고 옮기는 입장입니다.
레저카트를 타는 분들은 보통 카트를 처음 접하는 분, 한번 타볼까 해서 유원지에 온 기분으로 타는 분, 여친과 데이트하러 오신 분, 어린아이를 옆에 태우고 아버지가 기분 좋게 살랑살랑 타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티어링이 생각보다 꽤 무겁다는 것도, 왼발로 브레이크를 밟아야 하는지도, 엔진이 자기 등뒤에 있는지도 잘 모릅니다. 개인마다 편차는 있겠지만, 생소한 조작감에 익숙해질 때까지 시간이 필요합니다. 천천히 타본다는데 의의를 두는 분도 많구요.
본론부터 말하자면, 3번과 8번 카트를 타고 휘젓고 다닌 두 분이 있었다 합니다. 두 사람 사이는 친구로 보였다고 하네요. 그 3번과 8번은 확실히 '빨라보였다'고 합니다. 당연히 천천히 가는 다른 카트를 추월하는 상황이 나옵니다만, 문제는 뒤에서 쿵~, 옆에서 쿵~, 추월할 때마다 1대씩 거의 매번 들이받아서 스핀시키고 다녔다고 합니다. 타이어 배리어에 부딪히고 진행요원이 뛰어나와서 수습하고, 진행요원의 자제하라는 손짓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쓸고 다니면서 아수라장을 만들었다고 하네요.
당연히 같은 시간에 트랙에 들어간 이용자들의 기분이 좋을리 없겠지요. 누나가 다음 타임에 탈까 했다가 '들이대는 그 2명'을 보고 기분이 나빠져서 그냥 돌아왔다고 증언합니다.
오늘 친구와 콤비를 이루어 3번과 8번 카트를 탄 저질주행자가 혹시 이 글을 볼지 모르겠습니다만, 혹시 다른 회원님께서 카트장을 찾으시더라도 남에게 폐 끼치는 주행은 삼가해 주시길 당부드립니다.
올해로 6년째 레이싱 카트를 취미로 즐기고 있습니다만, 특히 레이싱 카트를 빌려타는 사람 중에 '나 좀 탄다고 믿고 있는 자만심 팽배의 부류'들이 괴팍스럽게 주행하다가 사고를 내는 경우를 많이 봐왔습니다. 달리는 모양새를 보면, 이 사람은 사고낼 수 있겠다는 느낌이 오지요. 정중하게 타다가도 운이 나빠서, 카트가 뒤집어져 피를 흘리고 뼈가 부러지고 신음하다가 119 구급차에 실려가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카트는 절대 뒤집어지지 않는다'는 말이 상식으로 받아들여지지만, 어디까지나 정중하게 조작해서 달릴 때의 이야깁니다.
레저카트는 바퀴를 감싸는 쇠막대도 있고 바퀴를 타고 올라 이륙(?)한다든가 하는 위험성이 적어 훨씬 안전하지만, 헬멧을 쓰는 등 최소한의 보호장구를 착용해야 하기에 위험을 배제할 수 없는 레저스포츠입니다. 카트는 범퍼카가 아닙니다. 범퍼카로 착각하고 타는 분, 카트라이더 게임의 실사판으로 생각하는 분, 남에게 폐를 끼칠 정도로 들이대는 분이 제발 없어야 하겠습니다. 아차 하는 순간이 극단적으로 치닫게 되면 119 구급차 출동하게 되니까요.
2008.03.02 23:01:40 (*.53.80.81)

네.. 맞습니다. 사실 저도 1월에 친구들 2명을 데리고 카트장에 갔는데, 앞에있는 친구가 오버스피드로 진입하는 바람에 코너에서 스핀을 해서 뒤따라가던 제가 연쇄로 추돌을 한 적이 있었습니다. -_-; (코너를 이미진입했는데 브레이크가 밀려서..) 레져카트여서 그나마 다행이었지, 레이싱카트였으면 다쳤을수도 있겠더군요. 좌,우,뒷시야도 확보가 안되기 때문에 남을 배려하는 차원에서 주의해서 주행해야 되는것 같습니다.
2008.03.02 23:42:10 (*.135.228.60)

무슨 일이던지 "초심을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하죠...
운전도 그렇고, 다른 일들도 그렇고...
초보자땐 조심스럽습니다만, 좀 익숙해져서 속된말로 "까불다가" 문제가 일어나는 것 같습니다. 초심을 잃지 않는 것이 말은 쉽지만, "개구리 올챙이적 생각 못하고" 까불다가 저도 몇번 혼나봤습니다~ㅋㅋ
운전도 그렇고, 다른 일들도 그렇고...
초보자땐 조심스럽습니다만, 좀 익숙해져서 속된말로 "까불다가" 문제가 일어나는 것 같습니다. 초심을 잃지 않는 것이 말은 쉽지만, "개구리 올챙이적 생각 못하고" 까불다가 저도 몇번 혼나봤습니다~ㅋㅋ
2008.03.02 23:45:59 (*.43.98.25)
제가 아는 사람이 레이싱카트 경기에 첫참가하던 날, 첫랩 첫코너에서 사고에 말려서 발목이 부러졌죠. 그냥 부딪힌건 괜찮았는데 다른 차가 날라와서 박았을때 페달을 밟고있던 발이 부러졌다더군요;
2008.03.03 00:52:34 (*.119.172.30)

모든 모터스포츠는 항상 위험을 인지하고 안전하게 즐겨야 한다고 생각해요 카트나 차나 바이크나 전부 말이죠 120km 크래쉬나 300km 크래쉬나 둘다 위험하니까요
(그러고보니 태백에서 한 260km정도의 속력으로 추정되는데[직선가속 구간이었으니])
한분은 별로 안다쳤는데 한분은 3번 척추인가가 나가고 무섭더군요
[사고의 제일 기본적이었던 원인은 선수클래스 참가에 일반인이 끼어들었다는 아주 어처구니
없는 일이었습니다만말이죠]
(그러고보니 태백에서 한 260km정도의 속력으로 추정되는데[직선가속 구간이었으니])
한분은 별로 안다쳤는데 한분은 3번 척추인가가 나가고 무섭더군요
[사고의 제일 기본적이었던 원인은 선수클래스 참가에 일반인이 끼어들었다는 아주 어처구니
없는 일이었습니다만말이죠]
2008.03.03 09:57:24 (*.152.221.147)
어제도 아들놈들 태오고 두번 돌고았는데...브레이크 조작없이 전코너를 돌수있는 정도의 난이도긴 하던데 솔직히 천천히 가기도 어렵더군요... 하지만 앞차와의 접촉없이 저두 제법 랩이빨랐지만 웃기는 분들도 계셨군요...초보분들과 코스레코드가 달라서 피하고 다녀도 충분히 즐길수있었는데...근데 부산쪽에서두 레이싱카트 타볼수있는곳도 있나요?
2008.03.03 11:04:58 (*.147.51.1)

레이싱 카트 뒤집어지는것 직접 보면 정말 소름이 쫙 끼칠 정도로 무섭습니다.
레져 카트는 상대적으로 속도가 낮고 방호물을 설치해 놓아서 안전해 보이지만 무게가 훨씬 무거워서 관성이 크기 때문에 작은 접촉으로도 큰 충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 레져 카트는 개개인에게 딱 맞는 사이즈로 시트를 맞출 수 없기 때문에 튕겨져 나갈 수 있고 작년에 그런 사고 장면을 본 적도 있습니다.
즐겁자고 하는 취미 생활에서 사고를 당하면 속상하고 후회되고...
무엇보다 안전이 가장 우선이라는 기본적인 마인드가 정착되어야 합니다.
레져 카트는 상대적으로 속도가 낮고 방호물을 설치해 놓아서 안전해 보이지만 무게가 훨씬 무거워서 관성이 크기 때문에 작은 접촉으로도 큰 충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 레져 카트는 개개인에게 딱 맞는 사이즈로 시트를 맞출 수 없기 때문에 튕겨져 나갈 수 있고 작년에 그런 사고 장면을 본 적도 있습니다.
즐겁자고 하는 취미 생활에서 사고를 당하면 속상하고 후회되고...
무엇보다 안전이 가장 우선이라는 기본적인 마인드가 정착되어야 합니다.
2008.03.03 11:45:22 (*.137.131.147)

그 사람들도 개념이 없지만....그 카트장도...새로 생긴 곳이라 그런지 진행요원이 상황을 제대로 통재 못하는거 같습니다.
2008.03.03 14:16:20 (*.146.246.54)

저도 어제 오후에 갔었는데 괜히 뜨끔 하네요.
3번과 8번 카트는 타지 않았고
(타보시면 아시겠지만 금정의 경우 카트번호별로 출력이
틀리고 2,4,7,9 번이 빠르고 나머지 카트는 출력이 떨어진다
는 군요)
2인승 타시는 분들에 비해서
속도가 빠르기에 진행요원에게 이야기 해서
1인승만 따로 탔었습니다.
본의 아니게 뒤의 후배가 푸싱을 해서 당황한 적은 있는데,
글쎄요..
일부러 범퍼카랑 착각하다면
다른 사람의 안전까지 위협하는 잘못된 행동이겠지만,
고의가 아니라 라인이 엉켜서 그런거라면
좀 애매한 상황인것 같습니다.
3번과 8번 카트는 타지 않았고
(타보시면 아시겠지만 금정의 경우 카트번호별로 출력이
틀리고 2,4,7,9 번이 빠르고 나머지 카트는 출력이 떨어진다
는 군요)
2인승 타시는 분들에 비해서
속도가 빠르기에 진행요원에게 이야기 해서
1인승만 따로 탔었습니다.
본의 아니게 뒤의 후배가 푸싱을 해서 당황한 적은 있는데,
글쎄요..
일부러 범퍼카랑 착각하다면
다른 사람의 안전까지 위협하는 잘못된 행동이겠지만,
고의가 아니라 라인이 엉켜서 그런거라면
좀 애매한 상황인것 같습니다.
2008.03.03 15:17:34 (*.146.246.54)

물론 무리한 속도로 진입해서 추돌을 반복 한다면
고의가 되겠죠.
날씨 화창한 주말에
카트를 즐기는건 그 사람들뿐만이 아니기 때문이죠^^
고의가 되겠죠.
날씨 화창한 주말에
카트를 즐기는건 그 사람들뿐만이 아니기 때문이죠^^
2008.03.03 18:11:44 (*.100.233.1)
적당히 부딪히면서 타도 된다며 일종의 범퍼카 정도로 간주한다면, '잘못임을 알면서도 해버린다'는 고의성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지도 모릅니다. 진행요원의 제지에도 불응했다 하니, 과실을 범하고 있다는 것 자체를 알지 못하는 무지한 콤비가 아녔나 싶습니다. (고의범과 과실범은 다른 개념이죠)
모터스포츠에 대한 의식이 어린아이 수준이므로 면책권을 부여해야 하는지...
모터스포츠에 대한 의식이 어린아이 수준이므로 면책권을 부여해야 하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