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88


안녕하세요 양상규입니다.
TG 3.3 출시후 1년 5만키로 주행후 엔진을 내리고 포팅을 했습니다.
작업 내용은 해드포팅 및 밸브가공 그리고 이번에 인매니 3.8용으로
교환 하면서 역시 포팅을 해줬습니다. 3.3은 인매니가 플라스틱이고
3.8의 경우는 알미늄입니다. 구경은 3.8이 더 크고 윤명근군의 TG의 경우
해드포팅을 했기 때문에 인매니흡기와 해드포팅한 구경과의 매칭은
잘 맞았습니다. 형상 및 포트의 경이 일치했습니다.
현재 되어있는 쎄팅은 흡기순정(BMC 쓰다가 귀차니즘 및 소음으로 탈거)
배기매니폴드 수제작 장착 소음및 중고속토크 하락으로 탈거
중통과 앤드는 다나베 하이퍼메달리온 듀얼 장착입니다.
그로서 소음은 거의 순정틱 하고 TG 의 원래 컨셉을 거의 해치지 않으면서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오랜 기다림 끝에 TG 의 맵핑 프로그램이 나왔고
그동안의 작업을 완성짓는 결과물이 되었습니다.
동일샵에서 순정시 출력은 190마력이었습니다. 토크는 26.8 이었구요
이번 작업을 통해서 마력은 238.62 토크는 30.88 로 상승했습니다.
순정대비 마력은 휠마력으로 48마력 상승 토크는 4 가 올라갔죠
물론 흡기를 쎄팅하고 배기매니폴드를 해서 흡배기 풀로 간다면 대략
20~25마력 정도 더 올라갈 수 있을듯 하지만 그로인한 소음의 증가는
기본 태생이 럭셔리 패밀리카인 본래의 성향에서 벗어나므로 일단
흡기는 순정을 유지하고 배기매니폴드는 주물순정을 포팅 가공으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완벽한 퀄리티의 배기매니폴드가 출시된다면
그땐 재고의 여지가 있겠습니다만 아직은 미정입니다.
해드포팅+써지탱크포팅+ 중통앤드 장착의 결과물로 휠마력 48마력에
토크4 라면 그다지 나쁜 수치는 아닌것 같습니다.
추후 업그레이드의 여지가 있고 계획중인것이 있으니 작업후
다시 다이노 올린 후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아 빠진 내용이 있어서 보충합니다. 흔히들 옥탄부스터의 효용성이나
효과에 대해서 회의적입니다. 그래서 이번 다이노는 일반유를 가지고
시행했습니다. 나름대로 어떤 테스트를 해보고 싶어서였습니다.
사용된 제품은 리퀴몰리 옥탄부스터 이고 넣기전과 후에서 5마력 정도의
편차를 보였습니다. 또한 그래프가 우글쭈글한 부분이 쫘악 펴지더군요
비상용으로 트렁크에 넣고 다니던 제품을 테스트 했습니다.
다음번에 (2주호) 모종의 나머지 작업을 진행한 후 고급유로 테스트 하면서
이번엔 다른 제품의 옥탄부스터로 시험을 진행해 볼 생각입니다.
비상용으로 트렁크에 넣고 다니는 옥탄부스트가 효용성이 있는가?
라고 물으신다면 이렇게 대답할 수 있을듯합니다.
고급휘발유 만큼은 안되지만 고급을 주유할 사정이 안되서 일반유를
넣을 경우에 응급조치용으론 훌륭하다 라고 말씀 드릴 수 있습니다.
또한 분명 옥탄가를 올려주는 효과는 있다라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고압축 혹은 터보 혹은 수입차를 타시는 분들께서 트렁크에 하나정도
비상용으로 비치하는것도 좋을듯합니다.
혹은 극한의 주행을 위해서 안전을 위한 예방용 차원으로 사용함도
좋을듯 싶습니다. 2주후에 다시 자료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2008.03.03 17:25:31 (*.192.173.182)

윤명근님 블록은 압축비를 올리는 가공이 된 것으로 들었는데 아닌가요? 테스트드라이브란의 윤명근님 글에서 참조하면요. 순정대비 압축비+포팅+배기의 결과라고 보아야 정확하겠지요?
2008.03.03 17:38:52 (*.229.76.98)

앗~! 그건 윤명근군이 착각한듯 하네요 그 당시 맵핑이 안돼서
제가 작업하면서 압축비 안올렸습니다. 지금으로서는 조금 후회되지만
당시로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습니다. 순정 압축비입니다.
제가 작업하면서 압축비 안올렸습니다. 지금으로서는 조금 후회되지만
당시로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습니다. 순정 압축비입니다.
2008.03.03 18:01:08 (*.155.138.171)

멋집니다. 어지간한 380도 명함 못내밀겠는걸요. 고알피엠 부근의 출력,토크유지도 아주 멋지구요. 부럽습니다. 궁극의 대배기량 na ...
2008.03.03 18:46:50 (*.179.231.24)

가로배치 V엔진의 경우 1번 다운파이프가 상당히 중요하더군요..
stock의 경우 그 형상이 출력과는 동떨어진 형상이라 ^^;
stock의 경우 그 형상이 출력과는 동떨어진 형상이라 ^^;
2008.03.03 18:57:29 (*.229.76.98)

네 최석님 의견에 공감합니다. 문제는 현재 나오고 있는 다운파이프중
TG 용으로 그러한 요구조건에 충족되는 제품이 없어서 순정을 쓰고
있습니다. 제대로된 제품만 나와 준다면 좋겠는데요 문득 유청호님의
비엠에 들어간 하르트게의 유려하고 매끈한 삼차원 밴딩의 매니폴드가
그리워지는군요 ^^;;
TG 용으로 그러한 요구조건에 충족되는 제품이 없어서 순정을 쓰고
있습니다. 제대로된 제품만 나와 준다면 좋겠는데요 문득 유청호님의
비엠에 들어간 하르트게의 유려하고 매끈한 삼차원 밴딩의 매니폴드가
그리워지는군요 ^^;;
2008.03.03 19:06:30 (*.229.76.98)

네 권선오님 그건 3.8용 인매니를 장착 하면서 VIS 엑츄에이터를 새로장착해서
나오는 현상입니다. 어느정도 사용 하면서 길들이기를 하면 없어지죠
3.3과 3.8이 달라서 새걸 넣다보니 인매니를 3.8용으로 장착한 차들
초반에 나타나는 현상이므로 그다지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
나오는 현상입니다. 어느정도 사용 하면서 길들이기를 하면 없어지죠
3.3과 3.8이 달라서 새걸 넣다보니 인매니를 3.8용으로 장착한 차들
초반에 나타나는 현상이므로 그다지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
2008.03.03 20:07:51 (*.74.143.98)

고알피엠까지 쭉 이어지는 토크곡선이 아주 인상적이네요. 람다 토크곡선이 본래 그런지 아님 인매니의 효과가 컸나요?
요즘 2.7 델타들도 써지탱크를 개조하여 후반을 살리는 작업을 많이들 하던데요.. 후반 토크 하락을 막는데 가장 중요한게 무엇인지 요즘 고민하고 있습니다.
요즘 2.7 델타들도 써지탱크를 개조하여 후반을 살리는 작업을 많이들 하던데요.. 후반 토크 하락을 막는데 가장 중요한게 무엇인지 요즘 고민하고 있습니다.
2008.03.03 21:42:36 (*.125.38.183)

V6 계열의 1번 파이프는 따로 파이빙해서 라인을 짜는게 낫지 않을까요..?
기존의 엘리사 과급의 데이터를 참고하면 될거같은데..^^;;;
ps 어지간한 3.8도 울고가겠군요 ㅡㅡ;;;
엠블럼은 2.4 튜닝하시면.. 3.8 정말 울고 가겠다는..^^;;;;;
기존의 엘리사 과급의 데이터를 참고하면 될거같은데..^^;;;
ps 어지간한 3.8도 울고가겠군요 ㅡㅡ;;;
엠블럼은 2.4 튜닝하시면.. 3.8 정말 울고 가겠다는..^^;;;;;
2008.03.04 09:54:58 (*.20.192.169)

멋집니다. 저걸보니 집에 있는 순정 차량도 튜닝을 하고 싶은 욕구가. ^^ 아버지가 싫어하시겠죠? ^^ 근데 정말 요즘들어 플라스틱 재질 인테이크 매니폴드들이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도요타 코롤라 2003년식에 플라스틱 있는거 보고는 황당하지만 저가형 차량에 적용되는 것 같아서 그러려니 했는데 람다 3.3리터도 커버 뜯어보니 플라스틱이더군요. -_- 이런 경우는 인테이크 세척제 사용이 과연 가능할지 의문입니다. 그리고 다나베에서 TG용 머플러가 나오는 건가요? 다나베 머플러가 보면 모양도 순정과 비슷하면서 소리도 조용하고 참 마음에 듭니다. 출시가 조금 늦어져서 제차에는 Apex-i 것을 했습니다만, 기회가 되면 다나베 하이퍼 메달리언 투어링 써보고 싶네요~
2008.03.04 10:47:34 (*.140.37.153)

그간 엔진작업 끝내고 매핑을 못해서 차가 잘 안나간다고 수시로 불평이더니..후후.
수치에 욜로리 연연해하는 명근님의 귀가 입을 살짜쿵 잡아댕기겠군여..ㅋ
암튼, 다이노라는게 상대적인 결과이긴 하지만 축하드립니다.. 근데, 어차피 매핑 전에도 동급 독일차량들보다는 많이 빨랐잖오..(^^*)
그나저나 이제 내 썩음썩음한 애마로 명근님과의 승부처는 다운힐뿐일듯..쩝.
수치에 욜로리 연연해하는 명근님의 귀가 입을 살짜쿵 잡아댕기겠군여..ㅋ
암튼, 다이노라는게 상대적인 결과이긴 하지만 축하드립니다.. 근데, 어차피 매핑 전에도 동급 독일차량들보다는 많이 빨랐잖오..(^^*)
그나저나 이제 내 썩음썩음한 애마로 명근님과의 승부처는 다운힐뿐일듯..쩝.
2008.03.04 13:30:44 (*.193.141.132)

순정 인매니 재질이 플라스틱이면, 장점이 더 많지 않나요?
주물보다는 표면이 매끄럽고, 형상도 잘 나오고, 무엇보다 경량이니까요.
물론 튜너가 포팅한 주물보다는 성능이 떨어지겠지만,
단순히 코스트 절감을 위해서 선택했다고는 생각이 안드네요^^
주물보다는 표면이 매끄럽고, 형상도 잘 나오고, 무엇보다 경량이니까요.
물론 튜너가 포팅한 주물보다는 성능이 떨어지겠지만,
단순히 코스트 절감을 위해서 선택했다고는 생각이 안드네요^^
2008.03.04 13:36:59 (*.133.138.117)

포팅을 예술로 승화시킨 상규형께 먼저 감사말씀 드립니다
그 뻔떡(?)임이란.. +_+
매핑을 담당해주신 팀 X쉰 이재성 전무님도 감사해용.. ^^;;
/준수군
240과 S는 폰트크기가 안 맞는다는.. T^T
/조인성님
저희 어머니께서 가끔 슈퍼 가실때 타고 나가시는데 모르시던데요..
출발할때 가끔 휠스핀을 내긴 하시지만.. ㅎㅎ
/민욱님
평범한 패밀리세단이랑 민욱님의 무시무시한 아방이랑 어케 비교를.. T_T
귀가 입을 마니 잡아 당기긴 하네요.. ^_____^
그 뻔떡(?)임이란.. +_+
매핑을 담당해주신 팀 X쉰 이재성 전무님도 감사해용.. ^^;;
/준수군
240과 S는 폰트크기가 안 맞는다는.. T^T
/조인성님
저희 어머니께서 가끔 슈퍼 가실때 타고 나가시는데 모르시던데요..
출발할때 가끔 휠스핀을 내긴 하시지만.. ㅎㅎ
/민욱님
평범한 패밀리세단이랑 민욱님의 무시무시한 아방이랑 어케 비교를.. T_T
귀가 입을 마니 잡아 당기긴 하네요.. ^_____^
2008.03.04 14:11:58 (*.20.192.169)

휠스핀 내면서 장보러 가면 장보러 너무 자주 가고 싶을 것 같네요. ^^ 그나저나 흡기 매니폴드 포팅해서 달면 흡기음은 많이 안나나요? 당연히 3.8리터 순정이라 안나겠지만서두요. 저도 예술적으로 포팅한 제품을 한번 써보고 싶네요. 미국 동호회 친구들은 보니깐 자기가 중고로 순정사서 심심할때마다 연마기로 깎고있던데 말이죠. ^^ 근데 그것도 장인이 하셔야지 초보가 하면 구멍나거나 사이즈 매치가 안되서 오히려 출력이 떨어질 것 같습니다.
2008.03.04 19:28:58 (*.64.78.163)

드뎌 첫 바램을 이루셨군요..^^;; 축하드립니다.
이제부터 시작일테니 앞으로도 더욱 목표하신바 빨라질 TG의 모습들이 무척 기대됩니다.. 크크..
민욱님의 '말로만 썩금썩금한' 아반떼로 중미산을 내달리던 그때가 너무나 그립네요..^^
이제부터 시작일테니 앞으로도 더욱 목표하신바 빨라질 TG의 모습들이 무척 기대됩니다.. 크크..
민욱님의 '말로만 썩금썩금한' 아반떼로 중미산을 내달리던 그때가 너무나 그립네요..^^
2008.03.04 21:26:01 (*.251.76.82)

조인성님 신도림서 뵙고 처음이네요 실상 흡기소음은 플라스틱보다
알미늄이 더 조용합니다. 과거 엑쎈트12밸브 인매니가 플라스틱
이었는데 스쿱의 알미늄으로 교체하면 소음이 많이 줄었습니다.
차정민님/ 3.3의 경우 인매니포트의 경이 매우 좁습니다. 엔진작업으로
출력이 올라간 윤명근군의 차에서는 3.8용 정도의 내경을 가진 인매니가
이모저모 매칭이 좋았습니다. 물론 포팅해서 경 맞춰보기도 했구요
김영덕군/ G35S 순정이 315마력이라죠? 니산계열이 발표마력과
휠마력의 차이가 좀 났던걸 감안하면 다이노상에서 260~270마력 정도
나올듯 한데 곧 TG 로 격차를 줄여보겠습니다.
3.8 같으면 고압축 스포츠버젼 피스톤을 소유중이니 말그대로
장착만 하면 그리고 부수적인 작업을 하면 휠마력 300은 넘기지
않을까 생각하지만서도 애석하게도 3.3 이라서 적용을 못하지만
곧 영덕군 애마의 출력에 근접하게 만들어 보겠습니다.
알미늄이 더 조용합니다. 과거 엑쎈트12밸브 인매니가 플라스틱
이었는데 스쿱의 알미늄으로 교체하면 소음이 많이 줄었습니다.
차정민님/ 3.3의 경우 인매니포트의 경이 매우 좁습니다. 엔진작업으로
출력이 올라간 윤명근군의 차에서는 3.8용 정도의 내경을 가진 인매니가
이모저모 매칭이 좋았습니다. 물론 포팅해서 경 맞춰보기도 했구요
김영덕군/ G35S 순정이 315마력이라죠? 니산계열이 발표마력과
휠마력의 차이가 좀 났던걸 감안하면 다이노상에서 260~270마력 정도
나올듯 한데 곧 TG 로 격차를 줄여보겠습니다.
3.8 같으면 고압축 스포츠버젼 피스톤을 소유중이니 말그대로
장착만 하면 그리고 부수적인 작업을 하면 휠마력 300은 넘기지
않을까 생각하지만서도 애석하게도 3.3 이라서 적용을 못하지만
곧 영덕군 애마의 출력에 근접하게 만들어 보겠습니다.
2008.03.05 00:27:35 (*.172.222.119)

양상규님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내경이 늘어나면 당연히 흡기소음이 증가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었습니다만, 설명을 듣고 보니 그럴 염려는 없겠네요. 순정 3.3에 헤드 포팅 없이 그냥 3.8 인테이크 매니폴드만 얹어도 괜찮을까요? 그 정도면 제가 혼자서 DIY 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한데 말이죠. ^^ 그리고 죄송하지만 아마도 동명이인인 다른 조인성님을 뵌 것 같습니다. 제가 아직 신도림 미팅에 나가보지를 못해서요. ^^ 양상규님을 꼭 한번 뵙고 좋은 말씀 듣고 싶은 마음은 많습니다만, 아직 모임을 못나가보고 있습니다. ^^
2008.03.05 01:30:13 (*.38.8.49)

국내에서 맵핑를 할수 없는 차량을 갖고 있는 관계로 마음껏 맵핑이 가능한 차량들을 보면 부럽기만합니다.... ^^
국내에 맵핑을 하는 곳이 여러군데 있는 것으로 아는데 이번에 작업을 하신 머쉰과 국스나 프라임, 프로스 등 다른 곳의 맵핑이 어떤것이 다른지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6기통 엔진의 헤드를 포팅하면서 연소실까지 가공할 경우 얻을 수 있는 마력과 토크의 상승폭이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헤드 포팅과 연소실 가공으로 잃을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국내에 맵핑을 하는 곳이 여러군데 있는 것으로 아는데 이번에 작업을 하신 머쉰과 국스나 프라임, 프로스 등 다른 곳의 맵핑이 어떤것이 다른지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6기통 엔진의 헤드를 포팅하면서 연소실까지 가공할 경우 얻을 수 있는 마력과 토크의 상승폭이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헤드 포팅과 연소실 가공으로 잃을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08.03.05 17:39:21 (*.80.143.207)

신수철님 맵핑하는 각 업체들을 평가해 달라는 얘기로 들리는데요
그건 아주 위험하지요 저를 공공의적으로 변모시킬 수 있는
사안입니다. 언급을 회피 하겠습니다. 직접 다른 루트로 비교를 하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해드를 포팅 하면서 얻는 출력의 상승폭은
이미 자료를 올린듯 합니다. 참고 하시면 될듯 하구요
잃을 수 있는 부분은 금전이겠지요 그 외에는 제대로만 작업해
준다면 (그야말로 정형화된 데이터에 의한 작업이 아닌 흉내내기
혹은 어께너머 신공등)별다른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조립과정에서
튜너의 숙련도와 성의등이 문제가 될순 있겠죠
그건 아주 위험하지요 저를 공공의적으로 변모시킬 수 있는
사안입니다. 언급을 회피 하겠습니다. 직접 다른 루트로 비교를 하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해드를 포팅 하면서 얻는 출력의 상승폭은
이미 자료를 올린듯 합니다. 참고 하시면 될듯 하구요
잃을 수 있는 부분은 금전이겠지요 그 외에는 제대로만 작업해
준다면 (그야말로 정형화된 데이터에 의한 작업이 아닌 흉내내기
혹은 어께너머 신공등)별다른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조립과정에서
튜너의 숙련도와 성의등이 문제가 될순 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