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사진은 자작 고속도로 - -);;;
저는 하이패스를 아직 안쓰다보니까 그 시스템에 익숙치 못합니다.
아주 늦은 시간에 작은 규모의 톨게이트에서 실수로 하이패스 들어갔다가 부저가 울리길래 차를 옆에 대고 사무실에 문의하여 서류처리를 한 적도 한번 이상 있었죠.
테드에도 하이패스 화두가 하나 지나가네요 ^^;;
근데, 하이패스 톨게이트 중에서 완전 살벌하게도 차단봉이 내려오는 곳도 있나봅니다?
솔직히 표현하자면, 이거 상당히 마음에 안드는 국면입니다 ( ㅡ"-)++
제가 알기로 하이패스가 아직 제한속도 30인 이유는 기계적인 제한선이 아니라 문화적인 제한선인 것으로 알거든요. 기계상으로는 100 넘게까지도 무난히 커버되는데, 아직 하이패스 적용 초기단계이고, 다른 톨게이트 차선은 저속에서 시작하니 운전자들의 적응 기간을 가지고 있는거죠. 기간을 거쳐 60으로 올릴거라고 알고 있습니다. (60 이상으로도 올릴지는 의문입니다만)
하이패스에는 차단바가 내려와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구현된 하이패스 네트웍 피쳐는 분명... 차단바를 설치하지 않고도, 미계산 통과차량에 대해 모두 과금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하이패스에는 차량번호자동식별 카메라가 모두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모든 하이패스 충전 카드는 무기명 카드가 아닌 기명 카드입니다. 구입시 해당 카드(기기)의 일련번호와 사용자의 인적사항이 매치되어 작동합니다.
따라서, 카드 구입자의 단말기가 오작동해서 체크가 안되고 통과한 경우에도 이를 기록해두었다가 추후 계산되어 청구서를 날리고 있는 것으로 압니다. 그리고, 구입자가 아닌 사람이 무단 통과시에도 경고 안내와 함께 청구서가 날아오지 않던가요?
굳이 차단바를 설치했다고 하면 그 의도는 둘중에 하나겠지요.
1. 미체크 통과 차량에 대한 사후처리를 하기가 꺼려진다. (추후 통지시 미수율이 높거나, 해당 사무의 시간과 비용을 들이기 싫다)
2. 번호판 인식불능 상태로 고의 통과하는 몰염치 차량을 용서해주기가 싫다.
제가 생각하기엔 두가지 모두 견문발검이거나 한국의 수준을 낮게 보는 것이 아닐지?
애초에 하이패스 결제 구조가 "기명" 방식이 되었던 것에도 전문가 그룹에서는 이견이 많이 있었습니다. 인권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얘기였죠. 조금 더 부연하자면... 하이패스가 기명방식으로 돌아간다는 이야기는 : 어느 번호판의 차량이 어느 일시에 어디 톨게이트를 지나갔다는 정보가 모두 전산기록된다는 얘기이고, 이 정보는 모두 하나의 서버에 모여 오랜 기간 쌓여있다는 얘기입니다.
이런 구조의 장점은... 차량도난시 추적이 쉽고, 공익을 위해 어떤 차량을 추적해야한다면 유용할 수 있다는 점일 것이고..
단점은... 하이패스 사용자 그 누구든 언제 어디에 갔는지의 데이타를 공권력이 모두 확보하고 있게 된다는 인권침해의 문제이지요. 그런데 이것은 여기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유능한 해커를 고용하여 해당 서버를 해킹하면 정보를 다 캐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즉, 고급 흥신소를 이용하면 모두 알게 되는 "상황적 공공 데이타화"되는 점이죠.
영화나 미드, 일드 보시다보면 그룹 맴버 중에 해커가 있어서 랜트카 위치 같은거 추적하는 장면 보신적 있죠 ^^? 저도 소시적 해킹 좀 했습니다만, 그런것들 불가능한 얘기가 아니랍니다.
글쓰다보니 또 주화입마해서 막 삼천포 키보딩 했는데...
암튼 하이패스에 차단바가 있다는거... 반감이 심하게 드는 대목이로군요 - -... 맘에 안듭니다.
2008.04.27 21:42:35 (*.152.207.117)

저도 비슷한 생각입니다.
뭐..싼 경비로 운영하는 주차장에서 도망치는 것도 아니고..
카메라 기본적으로 다 갖춰진 곳에서,
뭐 때문에 설치 했는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뭐..싼 경비로 운영하는 주차장에서 도망치는 것도 아니고..
카메라 기본적으로 다 갖춰진 곳에서,
뭐 때문에 설치 했는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2008.04.27 21:49:02 (*.126.209.86)

들은바로는 판교에서의 시범운영중에
하이패스 사용자가 아닌자가 통과하는 경우가 워낙 많이 발생했고,
과금통지를 해도 무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차단봉 설치한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리고 굳이 하이패스가 아니더라도 어느차량이 언제 어느 톨게이트를 통과했는지는
알수 있을텐데요??? 지나갈때 열심히 사진 찍자나요.. ^^ 기록하는지는 모르겠지만..
하이패스 사용자가 아닌자가 통과하는 경우가 워낙 많이 발생했고,
과금통지를 해도 무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차단봉 설치한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리고 굳이 하이패스가 아니더라도 어느차량이 언제 어느 톨게이트를 통과했는지는
알수 있을텐데요??? 지나갈때 열심히 사진 찍자나요.. ^^ 기록하는지는 모르겠지만..
2008.04.27 22:19:04 (*.212.116.78)
서울외곽순환도로의 하이패스는 차단봉이 없구요... 고속도로 하이패스 구간은 대부분있는것으로 아는데요???
고속도로면.. 차단봉이 있겠거니 하고 그냥 별로 생각없이 다닙다.. ^^
하이패스만 기명식으로 한다고 굳이 사생활 침해라고는 저는 보지 않습니다... 지금 가지고 다니는 교통카드와 신용카드사용만 조회하더라도 충분히 다니것과 지출 내역등을 파악할수 있으니까요....
고속도로 차단봉은 사실 대포차 같은것의 무단 통행을 방지하는 목적도 있지만.. 실수로 집입하는 차량들에 대해서도 경각심(?)을 일으키고 또한 일부 거리에서도 차단봉이 있는것을 파악하고 하이패스가 아니면 일반통행으로 가라고 작은 의미도 있겠지요....
그리고 하이패스 불법 차량의 추후 과금에 대해서 정상적인 차에 대해서는 상관없지만 무적차량들이 주변에 생각외로 많답니다.. 현재 거두어 드리지 못한 통행료가 엄청나게 많다는 통계를 본적이 있습니다.
고속도로면.. 차단봉이 있겠거니 하고 그냥 별로 생각없이 다닙다.. ^^
하이패스만 기명식으로 한다고 굳이 사생활 침해라고는 저는 보지 않습니다... 지금 가지고 다니는 교통카드와 신용카드사용만 조회하더라도 충분히 다니것과 지출 내역등을 파악할수 있으니까요....
고속도로 차단봉은 사실 대포차 같은것의 무단 통행을 방지하는 목적도 있지만.. 실수로 집입하는 차량들에 대해서도 경각심(?)을 일으키고 또한 일부 거리에서도 차단봉이 있는것을 파악하고 하이패스가 아니면 일반통행으로 가라고 작은 의미도 있겠지요....
그리고 하이패스 불법 차량의 추후 과금에 대해서 정상적인 차에 대해서는 상관없지만 무적차량들이 주변에 생각외로 많답니다.. 현재 거두어 드리지 못한 통행료가 엄청나게 많다는 통계를 본적이 있습니다.
2008.04.27 22:21:41 (*.212.116.78)
아~~ 추가로 전에 현*카드 광고였는데.... 고객이 사용하는 패턴을 분석해서 카드를 제시한다고 하는것 같은데..... 역으로 생각하면 사생활침해를 하고 있다는 광고로 받아드릴수도 있지요..
2008.04.27 22:41:58 (*.47.128.42)

아, 글을 써놓고 보니 좀 반골문서가 되었네요 ^^;
저는 하이패스 초기 구현 당시... 무기명 카드 구조로 만들수도 있는 것을 굳이 기명 카드 구조로 고집해서 만드는 부분에서 이미 좀 선입관이랄까.. 감정이 있었나봅니다.
장지호님// 맞습니다. 톨게이트에서 사진 다 찍고 있지요. 작년초에 들었던 얘기로 "사진만 찍을 뿐 아직 번호 자동인식 및 전국 네트워크화는 이뤄지지 않았다. 이부분도 2년 이내에 완성될 예정이다"라고 들었습니다. 2009년에 전국 톨게이트 기준 과속단속이 예정되어 있던가요 ^^;
저는 하이패스 초기 구현 당시... 무기명 카드 구조로 만들수도 있는 것을 굳이 기명 카드 구조로 고집해서 만드는 부분에서 이미 좀 선입관이랄까.. 감정이 있었나봅니다.
장지호님// 맞습니다. 톨게이트에서 사진 다 찍고 있지요. 작년초에 들었던 얘기로 "사진만 찍을 뿐 아직 번호 자동인식 및 전국 네트워크화는 이뤄지지 않았다. 이부분도 2년 이내에 완성될 예정이다"라고 들었습니다. 2009년에 전국 톨게이트 기준 과속단속이 예정되어 있던가요 ^^;
2008.04.27 23:16:17 (*.192.0.229)

기명으로 하는 이유는 아마도...
차종에 따라서... 요금이 달라지는 구조에 있다고 생각이듭니다.
그리고 요금 같은 경우는.... 사실 대포차나 이런 차량은 요금 수납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이런 시스템을 도입하지 않았나 싶습니다만....
그건 대포차 자체에 대한 구조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이지
일반적인 저희같은 운전자들이 불편해지면 안되겠지요...
차종에 따라서... 요금이 달라지는 구조에 있다고 생각이듭니다.
그리고 요금 같은 경우는.... 사실 대포차나 이런 차량은 요금 수납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이런 시스템을 도입하지 않았나 싶습니다만....
그건 대포차 자체에 대한 구조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이지
일반적인 저희같은 운전자들이 불편해지면 안되겠지요...
2008.04.28 00:31:48 (*.149.168.97)

일본의 ETC시스템엗 차단봉은 설치되어있죠. 근데 이것이 워낙 순발력이 뛰어나 감속없이 통과해도 기가막히게 딱딱 열림니다. 아는 운전자는 아무 걱정없이 통과하지만 연에 앉은 사람은 안그래도 운전석이 반대에 길도 반대라 자꾸 허공에 브레이크질을 해대는데 ETC를 통과할 때는 아주급브레리크를 밟아 버립니다. 근데 안전바라고 생각하면 크게 문제 없을것 같습니다. 차량이줄줄이 붙어서 지나가면 안전바는 작동을 하지 않습니다. 기차가 오지 않는 건널목에서 무조건 서고 암튼 정지선만 있으면 무조건 서는 일본에서 운전하면 천천히 가는것이 전혀 이상하지 않습니다. 안전운전 하세요~~~~~
2008.04.28 04:23:32 (*.63.125.80)

제가 사는 동네(미국)에도 두어가지 회사에서 서비스를 하고 있지요. 워낙에 스케일 자체가 크니까, 톨게이트도 엄청 넓습니다. Tall tag라고 부르는데, 이걸 붙이면 자유롭게 통과가 가능하고, 없으면 사진 판독으로 요금이 고지됩니다. 하이패스같은 기계는 없고 RFID 같은 좀 큰 카드를 유리창 쪽에다 붙여 놓으면 통과하면서 요금이 과금됩니다. 자체 구좌가 있어 따로 홈페이지에서 자동충전도 할 수 있습니다.
직원이 상주하는 톨게이트도 있고, 아예 없고 무인 톨도 있습니다. 차단바는 없고, 격벽도 없어 차선을 바꾸면서 통과도 할 수 있습니다.
요즘 이곳 지역사회의 이슈중의 하나가 사용료가 안 걷힌다는 단점입니다. 벌써 수천만달러가 체납되어 골치라고 하더군요. 저도 몇번 통과해서 납부를 했는데, 기껏해야 75센트, 25센트 안내서 날라오는 것들입니다. 그것에 발생하는 요금도 만만치 않습니다. 그런 과정에 드는 비용도 사용자에게 청구하는데, (톨비 + 서류비용 1불씩 추가해서 과금) 문제는 암만 해도 안 낸다는 것이지요. 수천불 넘게 체납, 고소되어 뉴스에 나오기도 합니다 ㅎㅎ.
참 애매한 문제입니다. 전 차량에 의무장착을 하게 되면 조금 편할지도 모르지만 사생활 침해라는 소리가 나올 수도 있겠지요. 앞서 말씀해주신 것 처럼, OK캐쉬백 카드가 무서운게 딴게 아닙니다. 뭘 사먹고 어디서 뭘 햇는지 모든게 전산상으로 관리됩니다. 이 사람이 어딜 다녔는지, 뭘 언제 어떻게 먹었는지도 다 추적이 가능하지요. 어떤 상품이 잘 팔리고 안 팔리는지.. 0_0;; (도토리 충전때문에 어쩔 수 없이 쓰지만서도ㅋㅋ)
직원이 상주하는 톨게이트도 있고, 아예 없고 무인 톨도 있습니다. 차단바는 없고, 격벽도 없어 차선을 바꾸면서 통과도 할 수 있습니다.
요즘 이곳 지역사회의 이슈중의 하나가 사용료가 안 걷힌다는 단점입니다. 벌써 수천만달러가 체납되어 골치라고 하더군요. 저도 몇번 통과해서 납부를 했는데, 기껏해야 75센트, 25센트 안내서 날라오는 것들입니다. 그것에 발생하는 요금도 만만치 않습니다. 그런 과정에 드는 비용도 사용자에게 청구하는데, (톨비 + 서류비용 1불씩 추가해서 과금) 문제는 암만 해도 안 낸다는 것이지요. 수천불 넘게 체납, 고소되어 뉴스에 나오기도 합니다 ㅎㅎ.
참 애매한 문제입니다. 전 차량에 의무장착을 하게 되면 조금 편할지도 모르지만 사생활 침해라는 소리가 나올 수도 있겠지요. 앞서 말씀해주신 것 처럼, OK캐쉬백 카드가 무서운게 딴게 아닙니다. 뭘 사먹고 어디서 뭘 햇는지 모든게 전산상으로 관리됩니다. 이 사람이 어딜 다녔는지, 뭘 언제 어떻게 먹었는지도 다 추적이 가능하지요. 어떤 상품이 잘 팔리고 안 팔리는지.. 0_0;; (도토리 충전때문에 어쩔 수 없이 쓰지만서도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