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어제 마지막날인 부산국제 모터쑈에 다녀왔습니다.
사람붐비는곳, 주차하기 힘든곳을 싫어 하는지라 갈 생각이 별로 없었는데,
집사람의 성화에 못이겨 결국 핸들은 해운대를 향하더군요.
솔직히 말씀드려 레이싱걸들은 보배드림이나 하이튜닝에서 보는 사진만으로도 만족해 하는데
모터쑈에 오면 언제나 휠타이어와 브레이크를 보고 싶어하는 저와..
모델들을 찍기위해 대포카메라를 들고 다니는 사진가분들과 싸워야 하는지라
별로 였는데..
사실 현대에서 곧 출시할 제네시스쿠페(이하 쿠페) 의 실물이 보고 싶어
메인전시장에 도착하자마자 현대 부스로 내달렸습니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라임그린(제가 가와사키 바이크를 좋아합니다^^) 이지만...
차와 색상이 썩 매치가 잘된다는 느낌은 없었습니다.
눈에 띈건 역시나.. 가장 관심이 가는 부분인 브레이크..
프론트와 리어에 떡하니 브렘보제 4피스톤 캘리퍼가 자리잡고 있네요^^
전체적인 차의 크기는 인피니티의 G37S 보다도 크게 보였습니다.
프론트 부분의 디자인이 약간 별로라는 생각도 들었지만,
뭐 어차피 양산형이라고 해도..
투스카니(GK)의 후속 BK 라면..
신차가 나오기가 무섭게 또다시 무궁무진한 에어로 파츠들이 출시될것이기에
크게 신경쓰지 않습니다.
라인업은 크게 두가지..
2.0 쎄타 터보 엔진과 ..
3.8 람다 엔진이 올라갑니다.
물론.. 투스카니가 그랬고 선대 티뷰론이 그랬듯...
엘리사와 티뷰론도 2.0 이 1.8 에 비해 상대적으로
세금체계덕분에
판매량이 부진했듯 3.8의 판매량은 부진 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러기에 보나마나 무궁무진한 튜닝파츠가 기다리고 있을 2.0 보다는..
제 개인적인 생각에는 대배기량NA 가 낳을것 같네요..
거기다가 브렘보패키지+19인치휠+LSD 정도 포함될 패키지가 최소 천만원이
넘어갈 껄 생각하면.. 3.8 6단 수동에 이렇게 갖추려면 최소 4500 은 깨질것 같습니다 -_-;;
비록 FF 엔진이긴 하지만 흡배기 맵핑을 마친 상대적으로 무거운 그랜저 TG380 도..
고속도로에서 몰아보고 겁나게 나간다고 생각했는데, BK 의 경우 거기다가 기어비가 짧은
수동미션까지 올라간다면? 이제 국산차 순정으로도 E46 M3 와 일본차 형제들
(G37, IS350)들을 제압할수 있는날도 머지 않았습니다.
i30 만 몰아봐도 차가 참 탄탄해졌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bk는???
물론 이전보다는 더욱 업그레이드 되었겠죠?
몰아본 수입차라고는 모데나 와 gti, e46 m3 ,g35 가 전부인지라..
수입차의 느낌과 견주어볼때 g37과 비슷할것 같은데...
현대측에서 이야기 하는거나 여러가지 상황을 놓고 볼때
어쩌면 g37만큼의 강성이 나올수도 있을것 같은 희망을 가져봅니다.
물론 그돈이면 그래도 차라리 G37 을 사겠네... 라고도 하시겠죠.
하지만.. 어디까지나 외제차는 외제차...
직장생활 하시는 분들중.. 문 두짝짜리만 타도 눈치 보이시는 분들이 많을텐데..
아무리 수입차가 싸더라도..
상사가 국산차 타는데 감히(?) 수입차 타실수 있는 분들은 많지 않습니다.
하긴 저만 해도 어쩔수없이 2리터 엔진의 쎄라토를 타면서 1.6 엠블럼을 붙이고 다니니 ...
거기다가 국산차에 비해서 아무곳에서나 받을수도 없고 상대적으로 많이 들어가는 메인터넌
스 비용까지 생각한다면... 더이상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가 아닌 셈이겠죠..
물론 g37보다는 국내에서도 쌀거라 믿습니다만...
그리고 G37의 운동성능이나 스타일은 탁월하지만 BK에 비해 떨어지는 브레이크 스펙과..
g37에는 없는(국내에만 수입이 안되는건가요?) 수동미션까지 생각해보면
분명 BK도 장점 이 많은것 같습니다.
제 가슴을 설레이게 했던 BK(누군가가 그러더군요 투스카니의 개발명 GK 는 Girl killer
제네시스쿠페의 개발명 BK 는 Boy killer 라고..)때문에...
어제는 행복한 하루였습니다..
아마도 빠르면 올7월.. 늦어도 연말안에는 출시할 BK가 나오면 Car for sale에 제 쎄라토가
등록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FF차량이라 스쿠프부터 시작해서 투스카니까지..
스포츠루킹카라고 괄시받던 현대의 쿠페는
이제 뒷다리로 박차고 세계를 질주 할 시기가 온것 같습니다. ^^
PS)사진은 제네시스 쿠페 동호회에서 퍼왔습니다.
2008.05.13 17:18:03 (*.157.7.108)

만약 차체 강성이 G37s 보다 약하다 하더라도 용인에 있는 모~ 업체에서 바로~ 차체보강킷을 제작해줄 겁니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그나저나 BK 를 그림의 떡으로만 보고 있는 저에게는 이종수님께서 모빌 체인지하실때 매물로 나올 세라토2.0이 은근히 기다려집니다. ^^*
2008.05.13 18:13:27 (*.80.69.194)
서스 흡배기 LSD 휠타이어 브레이크 업글정도 생각하고 가격대가 5~6천이 될듯한데..... 가격대비 그닦 매력있는 차는 아닌듯 하네요....
2008.05.13 18:47:30 (*.80.69.194)
""" 서스 흡배기 LSD 휠타이어 브레이크 업글정도 생각하고 """ 요것만 해도 천만원정도 들겠죠...? 차값 + 위 튜닝비 1000정도 더한 결과입니당........
2008.05.13 18:58:32 (*.80.69.194)
근데 " 쟤네 실수 " 3.8이 dis빼고도 5800만원 정도 되던데, 같은엔진에 같은베이스 바디에 쿱이라는 이유로 많이 싸게 팔지는 않을거 같은데요?
2008.05.13 19:03:46 (*.192.187.141)

흠...많은 분들이 상당히 후한 가격대를 보시네요.. 역시 제네시스=비싼차 인식이 심어져서인지...
FR쿱을 처음 만드는 메이커의 차량인데... 단지 발표되는 스펙과 파츠만으로도 그 가격대가 가능할꺼라고들 생각하시다니...
만약 유럽차를 합작생산하는 어느정도 완성도가 있는 중국메이커에서 BK를 자체개발로 만들었다면 그 가격대가 나올런지.....
일본의 초창기 모터스포츠에서부터 지금은 폴쉐와 맞짱을 뜬다는 신형 GTR까지 만들어낸 닛산이라는 메이커의 쿱과 현대의 첫번째 후륜쿱과의 격차가 브렘보 빼고 천만원정도..가치일까요? 뭐.. 닛산의 브랜드파워가 유럽차들처럼 강력한것은 아니더라도 그래도 모터스포츠는 무시못하자나요.. 실제로 G37은 출시부터 BMW의 335와 비교대상의 차량이였고...
한가지 더 걱정되는 부분중 하나가 BK, 제네시스를 기점으로 모비스의 부품값도 그다지 싸게 책정되거나 하진 않을듯한데...(월드프리미엄카니까..;;)
3.8이 그만큼 비싸지면 2.0을 사서 엔진, 브렘보,LSD 를 스왑하는것이 더 싸지지않을까요? 그렇다고 2.0을 3500 까지 올리긴 그럴테고... ^^;;
FR쿱을 처음 만드는 메이커의 차량인데... 단지 발표되는 스펙과 파츠만으로도 그 가격대가 가능할꺼라고들 생각하시다니...
만약 유럽차를 합작생산하는 어느정도 완성도가 있는 중국메이커에서 BK를 자체개발로 만들었다면 그 가격대가 나올런지.....
일본의 초창기 모터스포츠에서부터 지금은 폴쉐와 맞짱을 뜬다는 신형 GTR까지 만들어낸 닛산이라는 메이커의 쿱과 현대의 첫번째 후륜쿱과의 격차가 브렘보 빼고 천만원정도..가치일까요? 뭐.. 닛산의 브랜드파워가 유럽차들처럼 강력한것은 아니더라도 그래도 모터스포츠는 무시못하자나요.. 실제로 G37은 출시부터 BMW의 335와 비교대상의 차량이였고...
한가지 더 걱정되는 부분중 하나가 BK, 제네시스를 기점으로 모비스의 부품값도 그다지 싸게 책정되거나 하진 않을듯한데...(월드프리미엄카니까..;;)
3.8이 그만큼 비싸지면 2.0을 사서 엔진, 브렘보,LSD 를 스왑하는것이 더 싸지지않을까요? 그렇다고 2.0을 3500 까지 올리긴 그럴테고... ^^;;
2008.05.13 20:11:03 (*.133.223.158)

유럽포드와 일본 미쓰비시의 기술지원으로 만든 후륜구동차인 스텔라나 포니 이후 독자기술로 처음 나오는 후륜구동차량이 제네시스 세단과 쿠페인데 솔직히 아직은 좀 기술적인 완성도에 의문이 듭니다. 국산 후륜구동은 포텐샤나 프린스도 사실상 모두 외국차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순수 국산 후륜차는 현대 제네시스 시리즈가 최초인데 가격차이도 그 비싼 수입차와 큰 차이 안난다면 굳이 성숙도에 의문이 드는 국산차를 사야될지 말입니다.
국산 후륜구동은 포텐샤나 프린스도 사실상 모두 외국차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순수 국산 후륜차는 현대 제네시스 시리즈가 최초인데
국산 후륜구동은 포텐샤나 프린스도 사실상 모두 외국차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순수 국산 후륜차는 현대 제네시스 시리즈가 최초인데
2008.05.13 20:23:54 (*.229.115.101)

제 생각은 조금 다른게.. 요즘 새로운 차들은, 제작과정에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과거 전통브랜드들의 노하우로 접근이 불가능했던 강성,운동성,출력성능등 많은 부분이 평준화 되어간다는 생각입니다. 레이스나 테스트드라이빙을 통한 퍼포먼스 피드백의 영역이 점점 축소된다는 생각이고요.. 결국은 디자인과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마케팅을 좌우하는 열쇠가 되겠죠.
단지 국산차의 출고가격 차이뿐 아니라, AS나 메인트넌스에 들어가는 비용.. 중고시장에서의 인프라를 통한 잔존가치등을 고려하면, 천만원 차이가 아니라 2천~3천의 가치차이로 확대되는것이죠. 제 시각에선.. BK에 대한 기대는 크지도 않고, 작지도 않습니다. 예전 티뷰론 스페셜의 경우도 부분 알미늄바디 한정판매를 채택하면서, 실제 차값보다 훨씬큰 투자비용을 감수했었죠. 플래그쉽 모델로서의 가치를 생각하면..글쎄요. 제 생각엔 풀옵션 4천중반대라면 그리 나쁘지 않다는 느낌인데요..
단지 국산차의 출고가격 차이뿐 아니라, AS나 메인트넌스에 들어가는 비용.. 중고시장에서의 인프라를 통한 잔존가치등을 고려하면, 천만원 차이가 아니라 2천~3천의 가치차이로 확대되는것이죠. 제 시각에선.. BK에 대한 기대는 크지도 않고, 작지도 않습니다. 예전 티뷰론 스페셜의 경우도 부분 알미늄바디 한정판매를 채택하면서, 실제 차값보다 훨씬큰 투자비용을 감수했었죠. 플래그쉽 모델로서의 가치를 생각하면..글쎄요. 제 생각엔 풀옵션 4천중반대라면 그리 나쁘지 않다는 느낌인데요..
2008.05.13 20:54:04 (*.148.252.161)

익렬님 의견에 공감이 갑니다.. 중국산 자동차가 생각보다 빠른속도로 성장가능한 이유가 되기도 하겠네요. 브렌드네이밍에서 프리미엄을 쌓지 못한 국내업체가 앞으로 풀어야할 과제일테고..
저역시 개인적으로 평범한 페밀리 컨셉이라면 굳이 외산차에 관심이 가지는 않더군요.. 예를 든다면 어코드가 좋은차이긴 하지만 동급국산차와 1:1 가격이 된다 하더라도 고민이 되더군요..^^
저역시 개인적으로 평범한 페밀리 컨셉이라면 굳이 외산차에 관심이 가지는 않더군요.. 예를 든다면 어코드가 좋은차이긴 하지만 동급국산차와 1:1 가격이 된다 하더라도 고민이 되더군요..^^
2008.05.13 22:57:46 (*.137.53.137)

저는 2.0터보 깡통모델이 2천 초반으로 나올걸로 예상하고 옵션 몇가지 추가하면 2천 중후반이면 되겠다고 생각했었는데 흘러가는 분위기가 2.0터보도 옵션 몇가지 넣으면 3천 초반은 될 것 같은데요. 3.8N/A의 경우 ZF사 6단 오토 풀옵션이 4천 중반 쯤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2008.05.14 00:07:41 (*.88.63.179)

뭐랄까.. 저같은 '막장'튜너 계열은..
어차피 어떤 차건 베이스만 잘 만들어주면 감사하다..라는 쪽이라서..
초고속을 견뎌줄수 있는 차대와 공기역학, 그리고 내구성 있는 엔진이라면,
어떻게건 괴물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생각하는 쪽입니다..
실지로 제가 지금의 '아수라'의 후계기종으로 생각하는게..
2년쯤 후에 BK 4.8를 구입해서 '아수라광명왕'을 만들생각입니다만..
2년이라는 텀을 주는 이유중 하나가 충분한 애프터마켓 노하우가 쌓이고,
선택할 수 있는 파츠가 어느정도 있는 시점에 손을 대볼까 하는겁니다..
뭐 대략 4.8L엔진에 트윈터보+노스의 조합으로,
Non-NOS로 1000마력/최고속 350오버에 도전하는게 목표긴 합니다만...
(뭐 말하자면, 고속도로 배틀용 몬스터 머신을 만들고싶은겁니다)
애프터마켓과 시행착오가 선행된다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봅니다.
투스카니의 애매한 밸런스와 애매한 부품 FF의 특성으로도,
이미 지금의 몇몇 완성도 높은 차량들이 등장하는걸 봐도..
베이스만 충분히 잘 깔아주면 이후는 저희들의 몫이라 생각합니다 ^^
..물론 베타엔진처럼.. '쓸데없이 튼튼한' 엔진은 아닐거라 생각하긴 합니다만..
(베타엔진은.. 현대가 엔진 설계에 자기확신이 부족해서,
쓸데없이 안전 마진을 많이 주다보니 만들어진,
말하자면 본의아닌 '명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어차피 어떤 차건 베이스만 잘 만들어주면 감사하다..라는 쪽이라서..
초고속을 견뎌줄수 있는 차대와 공기역학, 그리고 내구성 있는 엔진이라면,
어떻게건 괴물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생각하는 쪽입니다..
실지로 제가 지금의 '아수라'의 후계기종으로 생각하는게..
2년쯤 후에 BK 4.8를 구입해서 '아수라광명왕'을 만들생각입니다만..
2년이라는 텀을 주는 이유중 하나가 충분한 애프터마켓 노하우가 쌓이고,
선택할 수 있는 파츠가 어느정도 있는 시점에 손을 대볼까 하는겁니다..
뭐 대략 4.8L엔진에 트윈터보+노스의 조합으로,
Non-NOS로 1000마력/최고속 350오버에 도전하는게 목표긴 합니다만...
(뭐 말하자면, 고속도로 배틀용 몬스터 머신을 만들고싶은겁니다)
애프터마켓과 시행착오가 선행된다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봅니다.
투스카니의 애매한 밸런스와 애매한 부품 FF의 특성으로도,
이미 지금의 몇몇 완성도 높은 차량들이 등장하는걸 봐도..
베이스만 충분히 잘 깔아주면 이후는 저희들의 몫이라 생각합니다 ^^
..물론 베타엔진처럼.. '쓸데없이 튼튼한' 엔진은 아닐거라 생각하긴 합니다만..
(베타엔진은.. 현대가 엔진 설계에 자기확신이 부족해서,
쓸데없이 안전 마진을 많이 주다보니 만들어진,
말하자면 본의아닌 '명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2008.05.14 06:04:23 (*.165.127.77)
베타라........글쎄요.... "쓸데없이" 튼튼하다 라는 평가까지는 아닌것 같은데요? 아는분의 미친 3S-GTE를 보면 2.0의 최강은 야마하제 3S-GTE가 아닌가 싶습니다... 국내 투스카니들중 55, 63 AMG급 또는 그보다 살짝 윗급 차량들을 동등 미만으로 만들어버리는 괴력........ 정말로 "쓸데없이 튼튼한 2.0 엔진"은 3S-GTE인듯......... 늘상 고rpm에 늘상 Rev 치고다니면서 6만k를 주행했지만 겨우 해드개스킷에서 오일이 살짝 비치는 수준의 놀라운 내구성을 보여주는...
2008.05.14 06:09:43 (*.165.127.77)
요즘 새로운 차들은, 제작과정에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과거 전통브랜드들의 노하우로 접근이 불가능했던 강성,운동성,출력성능등 많은 부분이 평준화 되어간다고 치기도 힘든것이, F1에서의 혼다와 도요타를 보면 알수 있지 않을까요? 혼다야 그렇다쳐도, 도요타의 경우 분명 어마어마한 가상 모의실험과 실차 실험을 했을것임에 분명한데도(평소 도요타의 행동 양식들을 보면요) 막상 들어가니 그 수많은 뻘짓들을 하던데 말이죠.... 아무리 시뮬레이션이 발달해도 현장과, 실제 차량에서 쌓인 노하우 없이는 이뤄질수도 없고 시뮬레이션 자체가 실제 경험을 토대로 만든 것인만큼 실제 경험이 부족한 현대의 시뮬레이션은 신뢰도가 좀 많이 떨어질듯(최소한 스포츠카에서)한데 말이죠...
2008.05.14 06:11:21 (*.165.127.77)
닛산의 모터스포츠에서의 경험은 결코 적지 않습니다만, 일본내 레이스가 아닌 해외 레이스에선 성적이 신통치 못하더군요.... 물론 레귤레이션 등이 달라져서 그런것도 잇겠지요...
2008.05.14 11:26:04 (*.248.205.35)

"강한자가 살아남는게 아니라 살아남은 자가 강한 것이다"라는 말은
자동차 산업에서는 필수 조건입니다.
제 아무리 모터스포츠에서 우수한 성적을 내고 뛰어난 머신을 만들어 낼지라도
소비자가 외면하는 차만 만들어서 결국 회사가 도산한 후에는
더 좋은 차, 더 빠른차를 만들고 싶어도 더 이상 할 수 없게 됩니다.
랠리에서 놀라운 성적으로 세계를 놀라게했던 미쯔비시는
크라이슬러에게 찬밥신세를 받으며 사랑방손님 취급을 당하죠.
궁극의 랠리 머신을 자랑하던 란치아는 어떤가요? 재규어는요? 랜드로버는요?
닛산은 르노에 의해 대거 인원감축등 난도질을 당하고도 아무말 못하고 있는데 말이죠...
비록 시간이 걸릴 지언정 더 좋은 차를 만들려는 의지가 있다는 것만으로도
박수는 못치더라도 조용히 지켜보기라도 했으면 좋겠습니다.
자동차 산업에서는 필수 조건입니다.
제 아무리 모터스포츠에서 우수한 성적을 내고 뛰어난 머신을 만들어 낼지라도
소비자가 외면하는 차만 만들어서 결국 회사가 도산한 후에는
더 좋은 차, 더 빠른차를 만들고 싶어도 더 이상 할 수 없게 됩니다.
랠리에서 놀라운 성적으로 세계를 놀라게했던 미쯔비시는
크라이슬러에게 찬밥신세를 받으며 사랑방손님 취급을 당하죠.
궁극의 랠리 머신을 자랑하던 란치아는 어떤가요? 재규어는요? 랜드로버는요?
닛산은 르노에 의해 대거 인원감축등 난도질을 당하고도 아무말 못하고 있는데 말이죠...
비록 시간이 걸릴 지언정 더 좋은 차를 만들려는 의지가 있다는 것만으로도
박수는 못치더라도 조용히 지켜보기라도 했으면 좋겠습니다.
괜찮던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