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저녁에 성환님이 친 중미산 번개에 잠시 다녀왔습니다.
오늘은 운이 좋게..
학교 종강 파티가 있는 날이라서,
와이프에게 종강파티 관계로 늦게 들어간다고 말해놓은 터라,
다소 변명거리가 있다 싶어서 회식끝나고 중미산으로 향했습니다.
(직장이 기독교 계열 대학이라.. 회식중 술자리같은 건 없거든요)
중미산에 가본지도 벌써 상당히 오래되어.. 1년이상 된 듯 하고..
성환님의 새 터보세팅의 실지 와인딩시의 전투력이 느껴보고 싶기도 해서..
어찌어찌 중미산에 도착했습니다..
(역시나 길을 몰라서 처음 올라갈때부터 이거 맞나? 하면서 헤맸습니다.)
만나자마자 다짜고차 차부터 타라는 성환님 -_-
예전부터 성환님이 모는 악명높은(..)드라이빙을 경험해본적은 있지만,
터보 세팅 이후의 와인딩은 처음이라 다소 두려워하며 시승했습니다..
(간단한 시승은 처음 세팅하고 났을때 해봤습니다만, 제대로 와인딩은 아니니)
..결론은..
드라이버를 패고 싶었습니다 -_-
안그래도 차 무섭게 타이어를 한계까지 쓰며 와인딩 하는 드라이버가,
이제 충분한 파워를 손에 넣으니까 그야말로 굉장하더군요..
암튼.. 차 세팅도 제 예상보다 잘 되어 느낌도 좋고..
여러모로 드라이버와 차량의 진화가 기대되더군요..
중미산은 사실상 초행길에 가까워서(1년반쯤 전에 한두번 살살 달려본게 전부)
성환님을 옆에 태우고 길 알려달라고 하면서 살살 한번 내려갔다 올라와봤습니다.
역시 고속도로용 차에겐 와인딩은 좀 부담스럽구나..라는게 첫번째 소감..
고속도로용의 약간 느슨하고 탄력있는 차체는, 와인딩에는 좀 무른 느낌이고,
고속도로용으로 세팅된 여유가 있는 서스펜션은 와인딩에선 10% 부족한 느낌..
통풍을 통해 냉각효율을 올리는 방법으로 세팅된 고속용 냉각계는,
와인딩의 속도에선 충분한 효율을 내지 못해서,
유온은 최고 110도까지도 떠버리더군요..
(물론 최근 점도가 좀 낮은 오일을 넣은 탓도 있고,
초행길이 자신없어서 3단으로 RPM을 높게쓰며 계속 달린 탓도 있습니다만..)
그리고 고속도로의 고속 코너링에 맞춰진 제 드라이빙 스타일은..
와인딩에선 어딘가 요령이 좀 다르다는 느낌도 조금 들었습니다.
(특히나 코너에서 부스트 걸며 돌아나가는 성환님의 주행을 보고나니..)
역시나 종목이 다르면.. 스킬의 방향도 다르구나..라고 새삼 실감했습니다.
암튼, 그럭저럭 한번 길의 설명을 들으며 왕복후.. 더 달려보고 싶었지만..
더 놀면서 늦었다가 와이프에게 걸리면 난리 날까봐.. 중간에 돌아왔습니다.
내려오는 길에 살살 50%선 정도로 안전하게 다운힐을 내려오면서..
몇번 더 연습하면 좀더 재미있게 탈수 있을듯도 싶은데.. 했지만..
어쩌겠습니까 ^^
만약 새벽에 와이프가 일어나서 제가 없다는걸 발견하면 난리가 날테니..
그리고 오늘 뵈었던 분들 반갑습니다.
모두들 무사히 잘 들어가셨는지요?
오늘은 운이 좋게..
학교 종강 파티가 있는 날이라서,
와이프에게 종강파티 관계로 늦게 들어간다고 말해놓은 터라,
다소 변명거리가 있다 싶어서 회식끝나고 중미산으로 향했습니다.
(직장이 기독교 계열 대학이라.. 회식중 술자리같은 건 없거든요)
중미산에 가본지도 벌써 상당히 오래되어.. 1년이상 된 듯 하고..
성환님의 새 터보세팅의 실지 와인딩시의 전투력이 느껴보고 싶기도 해서..
어찌어찌 중미산에 도착했습니다..
(역시나 길을 몰라서 처음 올라갈때부터 이거 맞나? 하면서 헤맸습니다.)
만나자마자 다짜고차 차부터 타라는 성환님 -_-
예전부터 성환님이 모는 악명높은(..)드라이빙을 경험해본적은 있지만,
터보 세팅 이후의 와인딩은 처음이라 다소 두려워하며 시승했습니다..
(간단한 시승은 처음 세팅하고 났을때 해봤습니다만, 제대로 와인딩은 아니니)
..결론은..
드라이버를 패고 싶었습니다 -_-
안그래도 차 무섭게 타이어를 한계까지 쓰며 와인딩 하는 드라이버가,
이제 충분한 파워를 손에 넣으니까 그야말로 굉장하더군요..
암튼.. 차 세팅도 제 예상보다 잘 되어 느낌도 좋고..
여러모로 드라이버와 차량의 진화가 기대되더군요..
중미산은 사실상 초행길에 가까워서(1년반쯤 전에 한두번 살살 달려본게 전부)
성환님을 옆에 태우고 길 알려달라고 하면서 살살 한번 내려갔다 올라와봤습니다.
역시 고속도로용 차에겐 와인딩은 좀 부담스럽구나..라는게 첫번째 소감..
고속도로용의 약간 느슨하고 탄력있는 차체는, 와인딩에는 좀 무른 느낌이고,
고속도로용으로 세팅된 여유가 있는 서스펜션은 와인딩에선 10% 부족한 느낌..
통풍을 통해 냉각효율을 올리는 방법으로 세팅된 고속용 냉각계는,
와인딩의 속도에선 충분한 효율을 내지 못해서,
유온은 최고 110도까지도 떠버리더군요..
(물론 최근 점도가 좀 낮은 오일을 넣은 탓도 있고,
초행길이 자신없어서 3단으로 RPM을 높게쓰며 계속 달린 탓도 있습니다만..)
그리고 고속도로의 고속 코너링에 맞춰진 제 드라이빙 스타일은..
와인딩에선 어딘가 요령이 좀 다르다는 느낌도 조금 들었습니다.
(특히나 코너에서 부스트 걸며 돌아나가는 성환님의 주행을 보고나니..)
역시나 종목이 다르면.. 스킬의 방향도 다르구나..라고 새삼 실감했습니다.
암튼, 그럭저럭 한번 길의 설명을 들으며 왕복후.. 더 달려보고 싶었지만..
더 놀면서 늦었다가 와이프에게 걸리면 난리 날까봐.. 중간에 돌아왔습니다.
내려오는 길에 살살 50%선 정도로 안전하게 다운힐을 내려오면서..
몇번 더 연습하면 좀더 재미있게 탈수 있을듯도 싶은데.. 했지만..
어쩌겠습니까 ^^
만약 새벽에 와이프가 일어나서 제가 없다는걸 발견하면 난리가 날테니..
그리고 오늘 뵈었던 분들 반갑습니다.
모두들 무사히 잘 들어가셨는지요?
2008.06.21 04:30:11 (*.123.35.121)

저도 잘 들어왔습니다.^^;;
먼저 자리를 뜨게 되어서 죄송했습니다...
만나서 반가웠구요...
성환님 옆자리에서는 절대 손잡이를 잘 잡아야 합니다...ㅎㅎ...
또 기회가 되면 뵐께요...
먼저 자리를 뜨게 되어서 죄송했습니다...
만나서 반가웠구요...
성환님 옆자리에서는 절대 손잡이를 잘 잡아야 합니다...ㅎㅎ...
또 기회가 되면 뵐께요...
2008.06.21 04:42:55 (*.206.228.59)
즐거우셨겠습니다^^
그나저나 좋은 직장이십니다.....보통은 부어라마셔라.....T_T
(저도 기독교계열 대학 출신인데...혹시 SS대?)
그나저나 좋은 직장이십니다.....보통은 부어라마셔라.....T_T
(저도 기독교계열 대학 출신인데...혹시 SS대?)
2008.06.21 07:46:42 (*.13.72.177)
광삼님 질문 있습니다.
부스트를 걸면서 돈다는 말씀이 이해가 안됩니다.
CP 찍기 전에 부스트가 걸려 있단 말씀이신지요. 아니면 중립으로 부스트만 띄워놓는 것인지요? 잘 몰라서 여쭙습니다. -_-;;
부스트를 걸면서 돈다는 말씀이 이해가 안됩니다.
CP 찍기 전에 부스트가 걸려 있단 말씀이신지요. 아니면 중립으로 부스트만 띄워놓는 것인지요? 잘 몰라서 여쭙습니다. -_-;;
2008.06.21 08:17:39 (*.215.1.169)

직선주로에서 충분한 감속을 하고 속도유지정도의 악셀온 상태로 코너링을 하면서 cp를 지나면서 그대로 재가속에 돌입하는 과정을 말씀하시는듯.. 저압터보인 만큼 cp를 지날때쯤엔 이미 부스트가 충분히 걸려있겠죠..
2008.06.21 11:50:48 (*.140.148.249)

성환이의 코너링은 굉장히 독특합니다..
코너 진입 직전에 강한 브레이킹으로 진입속도를 아슬아슬하게,
코너 진입시부터 거의 풀부스트가 걸린채 악셀링 상태로,
차를 슬라이드 상태를 유지하면서 코너를 돌아나갑니다 -_-
(그래서 성환님의 주행은 멀리서 소리만 들어도 알수 있습니다.
엄청난 타이어의 슬라이드 사운드를 코너마다 내지릅니다.)
원래 NA시절부터.. FF슬라이드 주행으로 유명하던 친구라서,
터보차로도 힘으로 슬라이드 시키며 코너를 도는 주법을 쓰더군요.
뭐랄까.. 굉장히 독특합니다..
(성환님이 차 옆에 빨대 붙여놓고 슬라이드시의 가드레일과 거리조절 연습하던게 벌써 2년이 넘은 듯)
코너 진입 직전에 강한 브레이킹으로 진입속도를 아슬아슬하게,
코너 진입시부터 거의 풀부스트가 걸린채 악셀링 상태로,
차를 슬라이드 상태를 유지하면서 코너를 돌아나갑니다 -_-
(그래서 성환님의 주행은 멀리서 소리만 들어도 알수 있습니다.
엄청난 타이어의 슬라이드 사운드를 코너마다 내지릅니다.)
원래 NA시절부터.. FF슬라이드 주행으로 유명하던 친구라서,
터보차로도 힘으로 슬라이드 시키며 코너를 도는 주법을 쓰더군요.
뭐랄까.. 굉장히 독특합니다..
(성환님이 차 옆에 빨대 붙여놓고 슬라이드시의 가드레일과 거리조절 연습하던게 벌써 2년이 넘은 듯)
2008.06.21 12:12:10 (*.229.103.85)

얘긴들었지만, 성환님 공력이 장난아닌가 보군요.
담주쯤에 함께 다운힐타러 함 가봐야겠습니다. 어제밤 두시반까지 차도길들일겸 남산서 놀았는데.. 중미산 갈껄 그랬네요. 광삼님도 함 뵙고싶었는뎅.. 덕분에, 최재훈님 마실나오셨길래 올만에 뵙고, 996 뒤 앞으로 번갈아 달림서 멋진 배기사운드 잘들었습니다. 어찌 튠을 하셨길래 최재훈님 폴쉐 배기음이 꼭 공랭993 사운드처럼 박진감이 넘치는지..
담주쯤에 함께 다운힐타러 함 가봐야겠습니다. 어제밤 두시반까지 차도길들일겸 남산서 놀았는데.. 중미산 갈껄 그랬네요. 광삼님도 함 뵙고싶었는뎅.. 덕분에, 최재훈님 마실나오셨길래 올만에 뵙고, 996 뒤 앞으로 번갈아 달림서 멋진 배기사운드 잘들었습니다. 어찌 튠을 하셨길래 최재훈님 폴쉐 배기음이 꼭 공랭993 사운드처럼 박진감이 넘치는지..
2008.06.21 22:05:12 (*.140.151.183)

성환님과 익렬님의 모빌 옆자리 동승해보고 싶습니다. ㅎㅎ..예전 천리안 차사랑때도 생각나고..ㅎㅎ 생각나서 말씀드리는건데 중미산 노면 외우는 방도가 있더군요. 저도 한 때 늦은 밤 중미산 클라임힐을 즐겼었는데 도무지 노면은 커녕 길 자체를 외우기 어렵더군요. 허나 바이크를 탄 후 한 두번만 다니면 노면 정보까지 낱낱이 기억되더군요. 혹시라도 중미산 노면 못 외우겠다는 분은 제가 뒤에 태워드릴 의향있습니다. (넘 천천히 간다고 구박만 안하신다면..쿨럭~!)
2008.06.22 01:00:44 (*.13.72.177)
음.. 답변 감사드립니다. 저같은 하수는 상상도 하기 쉽지 않습니다. -_-;; 다만 확실한 것은 타이어 소모는 장난 아니겠네요. -_-;;
2008.06.22 19:39:43 (*.32.164.36)

FF터보 차량은 특히나 L.S.D가 없으면 코너탈출시에 부스팅을 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내륜이 제법 헛돌게 되거든요... 이번에 Cusco사의 type-rs 다판클러치 타입의 L.S.D.를 작업한 이후에 확연히 느끼고 있습니다. 이전의 코너탈출시 탈출은 탈출이 아니다... 라는. -_-;
성환님 L.S.D.는 있으신거죠?
내륜이 제법 헛돌게 되거든요... 이번에 Cusco사의 type-rs 다판클러치 타입의 L.S.D.를 작업한 이후에 확연히 느끼고 있습니다. 이전의 코너탈출시 탈출은 탈출이 아니다... 라는. -_-;
성환님 L.S.D.는 있으신거죠?
2008.06.23 08:42:57 (*.143.5.57)

동준..LSD없습니다. 아직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구요.
그렇게 한계까지 차를몰지는않습니다.
그냥 재미있고, 언더가 나던,...오버가 나던...컨트롤 가능한상태에서만..
운전하기에...그다지 부족한건 못느낍니다.
현재로서 느끼는건 강한 바디를 타이어가 못받혀준다는 느낌밖에는....
현재 타이어는 K104입니다...쓸만한 녀석이지만..
타이트하고..단단한 바디에는 한계를 금방 들어내게되네요...
그렇게 한계까지 차를몰지는않습니다.
그냥 재미있고, 언더가 나던,...오버가 나던...컨트롤 가능한상태에서만..
운전하기에...그다지 부족한건 못느낍니다.
현재로서 느끼는건 강한 바디를 타이어가 못받혀준다는 느낌밖에는....
현재 타이어는 K104입니다...쓸만한 녀석이지만..
타이트하고..단단한 바디에는 한계를 금방 들어내게되네요...
2008.06.23 12:49:47 (*.77.33.105)

아직 터보작업 이후의 적응이 다 되지 않으셔서 그럴거에요 ^^;
저도 그렇게 못느끼다가 어느순간... 확~~~ 와 닿더라구요. 코너링중 트랙션에 대한 갈증을 느끼고 나서...
개인적으로 와인딩.서킷주행에는 정말 필수 인 것 같습니다. 추천 드리구요. 이번 출력상승으로 인한 타이어의 업그레이드도 필요하실 것 같아서요. 항상 즐거운 주행과 함께하시길 ^_^
저도 그렇게 못느끼다가 어느순간... 확~~~ 와 닿더라구요. 코너링중 트랙션에 대한 갈증을 느끼고 나서...
개인적으로 와인딩.서킷주행에는 정말 필수 인 것 같습니다. 추천 드리구요. 이번 출력상승으로 인한 타이어의 업그레이드도 필요하실 것 같아서요. 항상 즐거운 주행과 함께하시길 ^_^
2008.06.23 15:51:39 (*.176.70.15)

서킷은 안타봐서 모르겠고요..
와인딩에 있어서 LSD나..혹은 하이 그립 타이어의 필요성은 그때 그때 상황과
주행노면과 스타일에 따라 그 필요성에 차이가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LSD...생각은 하고있지만,..아직은 전혀 생각없습니다.
와인딩에 있어서 LSD나..혹은 하이 그립 타이어의 필요성은 그때 그때 상황과
주행노면과 스타일에 따라 그 필요성에 차이가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LSD...생각은 하고있지만,..아직은 전혀 생각없습니다.
2008.06.23 17:55:25 (*.13.72.177)
음.. 제 경험에 따르면 RS2나 MX 정도도 출구 트랙션에는 부족합니다. 제가 타던 차는 300마력 중반 터보였슴다. 타던 코스가 2단 5천대에서 가속이 많은 코스여서 더욱 심하게 느꼈었지요. 중미산보단 훨씬 타이트합니다.
전 LSD는 카즈 사용했었습니다만. 빠르긴 하지만 산만해서 개인적으로 별로 안 좋아하는 세팅이였습니다. -_-;;
전 LSD는 카즈 사용했었습니다만. 빠르긴 하지만 산만해서 개인적으로 별로 안 좋아하는 세팅이였습니다. -_-;;
2008.06.24 07:48:33 (*.105.6.21)

동준님과....기태님은 고수이신듯..
전 그냥...아무타이어나...큰 상관 없는데(느려서요..)
물론, 접지 좋은 타이어 가지고 싶긴한데.
개발의 편자같은 느낌이라...
조만간 타이어 교환하지만...그냥 중그립정도의 타이어로 갈생각입니다.
요코하마 S-drive or 브릿지스톤 아드레날린 정도로.....
전 그냥...아무타이어나...큰 상관 없는데(느려서요..)
물론, 접지 좋은 타이어 가지고 싶긴한데.
개발의 편자같은 느낌이라...
조만간 타이어 교환하지만...그냥 중그립정도의 타이어로 갈생각입니다.
요코하마 S-drive or 브릿지스톤 아드레날린 정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