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친구들과 만난 자리에서 제가 차를 바꿀 계획을 가지고 있다가 개인적인 사정으로 주행거리가 늘어나 그냥 타고 있다는 이야기가 시작되었습니다.
제가 예전에는 일주일에 기껏(?) 500km 내외를 타기 때문에 년간 주행거리가 20,000km 정도라 대배기량 가솔린 차량을 교체 차량으로 고려했고 테드에도 질문을 한번 드렸습니다.
고민 중에 사정이 생겨서 일주일에 최소 700km는 무조건 타야 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대략 지금까지 운행거리를 보니 1년에 40,000km는 무난하게 탈 것으로 보입니다.
제 계산으로는 지금타는 차량이 12~13km/l(Full to full 기준) 정도의 연비를 보여주는데, 거의 두 배 이상의 연비가 나오는 차량을 사야 새로 구입하는 차량의 교체 시기 전에 교체 비용을 회수 할 수 있는 것으로 계산되어 그냥 포기하고 지금 차를 타고 있습니다.
이야기의 시작은 여기서 부터 인데, 몇몇 친구들은 최근 소형+디젤+수동 차량이라면 3년내에 유류비로 차량 가격을 상쇄할 수 있다는 주장을 했고, 저를 비롯한 몇몇 친구들은 디젤 차량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동급 디젤 차량으로 구입한다면 차량 가격을 3년 따라잡기 힘들 뿐 아니라 실제 2배 이상의 연비(26km/l)는 거의 허구에 가깝다라는 논지로 이야기가 진행되었습니다.
이렇게 이야기 하다보니 이제 1년 정도 더 타다가 차량을 바꿀 때 디젤을 염두해 두었는데 과연 의미가 있나 싶은 생각이 들어 테드 분들의 의견을 들어보고 싶어 글을 남겨봅니다.
40,000km 정도 되는 주행거리가 된다 하더라도 2000cc급 디젤 SUV와 자연흡기 중형 가솔린 차량을 비교해 본다면 가솔린 차량의 저렴한 가격으로 3~4년 정도의 주행거리 동안은 전체 비용이 크게 차이가 없을 것 같고, 어차피 그 이후에는 차량 교체를 고려해 볼 것 같으면 정말 경제성이라는 부분에서 디젤이 답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혹시 제가 놓치고 있는 부분이 있을까요? (토크라던지 진동 등의 차량 특성은 배제한 경제성 측면만 고려해 볼 때입니다.)

저도 전국으로 출장을 다니기 때문에 1년에 4만km씩 꼬박꼬박 다닙니다.
제 경우... 어디가서 말하긴 뭐하지만 일단 운전대를 잡으면 거의 풀악셀상태이기에 휘발유차를 타면 연비는 2~4km/l를 찍더군요.
지금은 R엔진을 운행하고 있습니다.
평소연비 6.7~7.1을 기록합니다.
맵핑이나 흡배기되지 않은 순정상태입니다.
제가 디젤차량을 선호하는 가장 큰 이유는 주유소를 상대적으로 덜 들러도 된다는 점입니다.
덕분에 주유에 걸리는 시간이 빠져 목적지에 도달하는 시간은 휘발유차량이란 비슷하거나 더 빠를거라고 봅니다.
고속도로에서 최하위차선으로 빠져 덤프트럭과 버스사이에서 끼어 연비주행을 해보니 22~23을 기록하긴 합니다만
2시간반동안 그러고 있으니 좀이 쑤셔서...
요약하자면 고속주행이 주된다면 디젤이 확실히 경제적이실테고
그렇지 않다면 본인이 선호하는 방향이 좋지 않을까 합니다.
지금 타시는 차도 큰 차 같지는 않은데, 연비로 뽕(?) 뽑으시려면 두 단계 이상 차급을 내리고, 연비까지 좋아야 절약이 되더랍니다. 대형 -> 준중형, 중형 -> 소형또는 경차.

디젤이 무조건 낫습니다.
비교하는 가솔린 차량이 최신식 휘발류 터보차량이라면 토크가 좋아서
정속주행시 어느정도 원하는 연비가 나오겠지만
급가속 자주쓰고 고속에서 스트레스 없이 달리는 스타일이라면 무조건 디젤입니다.
제차 공인연비가 15.9인데 출고 후 총 누적연비가 17km내외입니다.
급가속, 풀스로틀, 최고속찍기등등 급제동만 빼고 연비에 안좋은 운전은 다합니다만..
저도 예전에 계산해봤지만 년5만킬로가 넘어가면 확실히 디젤이 이득이기는하더라구요..
3-4만대가 애매하구요..
제가 한때 한달에 한번씩 엔진오일교환하다가 차바꾸고싶다는생각을 심각하게 했었거든요...;;
근데 몇일간 i30디젤을 장거리 뛰어보니 생각보다 연비가 엄청 뛰어나지 않아서 의외였던 기억이 납니다.
제 계산대로라면 고속주행시 항시 기본20은 찍어야되는데 이게참 쉽지않더라구요
그대신 평상시 어느정도 밟고다니시는 분이라면 디젤이 훨씬 유리하죠
그정도 주행거리면 저같으면 프리우스를 고려해 보겠읍니다.
저 아는형님이 자동화설비as 하시는데
전국 안가는데가 없죠 그분 차가 엑센트디젤수동인데 연비 좋터라구요 ...

일단 지금 타시는 차로 최대한 연비운전을 실천해서 연비 데이타를 새로 뽑아보는게 우선인것 같습니다. 자동차의 운동성능이란게 결국은 단위시간당 연소시키는 연료의 양으로 결정되는거 아니겠습니까? 디젤차로 바꾼 뒤에도 이전처럼 꾹꾹 밟고 다니신다면 연료비를 아끼기 위해 차를 바꾼다는 명분이 퇴색되지 않나 싶습니다. 요즘 자연흡기 3.0~3.5L급 가솔린 차들도 제대로 연비운전하면 13km/L 이상 나와줍니다. 저라면 일단 현재 상황에서 연비개선이 얼마나 가능한지 확인한 후에 차량 교체는 천천히 검토하겠습니다. 그리고 연비보다는 총비용 측면에서 접근하셔야 할것 같습니다. 새차로 바꾸고 나면 등록비, 공채 등등에 자동차세, 자차보험료 등등 다소 올라가겠죠.

쏘울 u2 수동 깡통으로 고속도로에서 20 이상 뽑고자하면
흐름보다 약간 느리게 다닙니다...
감가상각비나 유류비로 차량가격 상쇄하시려면
생각보다 기간이 오래걸릴겁니다.
단. 당장 주유금액이 줄어드니 즐거움은 생기죠...
시내 온리 풀악셀로 단거리단거리단거리
이러고 타도 11은 찍고 다녔습니다.
시내 살살 17
시내 대충 15
시내 묻지마 11
타시다보면 운전습관도 버려요...
막타도 그럭저럭이니...
제가 운전습관 되돌리는데 2년 걸렸습니다 ㅡㅡ;

현재 차량의 연비와 주행거리가 조금 애매한 경우에는
그냥 운행하시다가 나중에 차량 교체시기가 왔을 때
연비 좋은 차량으로 가시는게 맞는 것 같스빈다.

연비로 뽕을 뽑으려면 무조건 정속 주행 해야하는데...사실 정속주행하면 휘발유차량도 연비는 잘 나오져.. ㅋ
단순히 유류비로 합리화 시키기엔 아직은 좀 무리인듯하고... 주유소를 자주 안가도 된다는 귀차니즘으로 접근하시면 -ㅇ-;;
단, 윗분들 말씀처럼 연비도 연비지만 고속도로 올라가면 일단 좀 밟아야 직성이 풀린다면 디젤이 훨씬 좋습니다..

국산디젤차량으로 리터당 12~13km 주행거리의 두배를 원하신다면 사실상 욕심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현재의 주행패턴등을 고려해봤을땐 어느정도는 스트레스 없는
주행을 하면서 연비를 고려하신다는 의미시죠? ^^
전 현재 2009년식 i30 Diesel 수동을 운행중입니다. 현재 9만 천킬로 주행중입니다.
평소 100% 시내주행만 했을때는 평균 15~16km 연비를 보여줍니다.
앞전에 96년식 마르샤 수동을 타다 디젤을 타게되는 높은 토크덕에 운전도 편해지고
여유출력이라는 표현이 적당한지 모르겠지만 적은 악셀링에도 언덕이든 평지든 치고
나가다보니 운전 패턴이 변해버렸습니다. ㅠㅠ
하계휴가기간때는 에어컨틀고 주행하지만 말그대로 휴가를 즐기는 목적이다보니 일부러
연비운전을 하는데(현재 터빈 업글, 맵핑) 19~23km는 보여줍니다. 동호회 회원중에 관리를
잘하시는 분들의 경우 20km 후반대 주행하시는 분들도 계셨습니다.
메인터넌스의 경우 현대/기아 가솔린 차량과 비교해보면 디젤이 다소 더 들어가긴 합니다만
이 모든 부분은 연비로 다 상쇄됩니다. 현재 2만원 주유해서 연비주행하면 210km 정도 타고
적당히 밟으면서 주행하면 2만원에 160km 정도 탑니다. ^^
혹은 오직 출퇴근 용이라면 저 같으면 마티즈2 수동? 정도 구입 후 1년 뒤 저렴히 매각 또는 폐차하고 기변할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LPG차량을 별로 좋아하지 않거든요^^;;(충전소가 늘어났다지만 항상 풀로 채워놔야 하는 강박관념이 싫습니다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