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묻고 답하기 란에 올라온 글을 보고
문득 생각이 나서 출근길에 더블 클러치를 사용 해 보았습니다.
평상시에 회전수는 늘 맞추는 편이지만 더블 클러치는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요즘 차들은 싱크로가 좋아서 필요 없다는 이야기가 많아서요..)
생각했던 것 보다는 번거롭지 않더군요
기어를 빼거나 넣을 때 마다 클러치를 밟았다 뗀다...는 기분으로 하니까
대충 감이 옵니다.
그리고 확실히 그냥 회전수만 맞출 때보다 기어가 부드럽게 잘 들어갑니다.
문제는 브레이킹을 하면서 회전수를 맞추려고 하니까
스탭이 꼬여서 클러치 밟을 타이밍에 엑셀을 밟고 막 그렇게 되네요 ㅎㅎㅎ
계속 연습하다 보면 될 것 같기는 한데...
한가지 걱정되는 것은
기존에 제가 연습삼아 브레이크를 거의 쓰지 않고 습관적으로 저단 변속을 해 왔었는데
위급상황에서도 저단변속을 한 경험이 있었거든요 (몸에 익어서)
더블클러치를 계속 연습하다 보면 급브레이클 밟아야 할 상황에서 버벅이다 실수를 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들기는 합니다.
i30에서 YF로 차량이 변경되었는데요
YF로 바꾼 후에 변속이 많아진듯한 느낌이 들어서
YF가 기어비가 짧은가 보다 생각 했었는데
검색 해 보니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네요
YF가 1단이 좀 더 넓고 2단이 좁고 그 이후는 대략 비슷
생각 해 보니 i30을 탈 때는 rpm을 많이 쓰다 보니 각 단수별로 커버하는 범위가 넓어서 그랬나보다
하는 생각이 듭니다.
YF로 바꾼 후에는 얌전한 운전을 하다보니 손발이 바빠요...
더블클러치 쓰려면 더 바빠질 듯
어떻게 생각하면 당연한 건데
rpm이 높을 수록 기어 내릴 때 rpm을 더 띄워줘야 하네요
또한가지 문제는
더블클러치를 쓰니까 회전수 맞추려고 엑셀을 밟아도 rpm이 잘 안올라갑니다.
이게 전자식 스로틀 특성이려나요?

저도 올 초에 더블클러치란 걸 알게 되어서 조금씩 연습 중인데...
확실히 변속이 부드럽더군요.
근데 아무래도 싱글로 밟을 때보다 시간이 더 걸린다는 단점때문에...
요즘엔 고민 중입니다. ( 물론 제 발이 느린 이유도 있지만요;; )
특히나 언급하셨던 것 처럼... 브레이킹하면서 ( 즉, 힐앤토 하면서 ) 하는 건...
엄청 어렵고 햇갈리더군요. 운전하다가 여유 있을 때 아주 천천히 연습해 보긴 하는데...
이건 숙달될려면 어마어마하게 연습해야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또, 전자식도 전자식 마다 다르지 않을까 싶습니다.
전에 타던 차량(rx-8)도 전자식 쓰로틀이었지만, 지연이라던지 밟아도 안올라가는 그런 느낌은 받아본 적이 없었습니다.
지금은 뭐 케이블방식이라 그런 걱정 안해도 되지만요.
저는 99년식 수동을 타고 있는데 그냥 적당히 막히는 직선도로에서는 엔진브레이크 사용하면서 더블클러치 사용해줍니다. 원클러치나 힐엔토를 자주 사용하는데 더블클러치 사용할 때 가끔 기어가 들어간지도 모를정도로 쏙 들어가서 깜짝깜짝 놀랄때가 많습니다..하다보면 힐엔토만큼 빨리 할 수 있게 되는데 코너 진입전에 미리 다운해서 엔진브레이크로 돌아나가면 되실 것 같네요.
더블 클러치 무용론에 대해선 수십년전부터 논쟁이 많습니다.
사실 더블클러치라는 것이 싱크로나이져가 없던 수동 변속기 시절에 원활한 변속을 하기위해 나온 기술입니다.
스포츠 주행이건 일상 주행이건
클러치 밟고 있고, 기어 넣은 다음 알피엠 맞추고 클러치 놓는 것이 낫다는 것이 제 입장입니다.

젠쿱 고질병인 고RPM에서 5단 변속 시 갈림현상이 제차에서도 역시 나타났는데,
더블클러치로 변속하면 갈림현상이 나타나지 않아 5단 넣을 때는 무조건 더블클러치를 사용합니다 ^^
역시 젠쿱은 드라이버를 키우는 차

더블클러치는 할줄 알면 당연히 기계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문제는 정확히 구사하는 것인데 아주 정교한 rev matching이 구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아무런 효과가 없습니다.
즉 싱글클러치로도 변속충격 전혀없이 매끄럽고 부드러우면서도 빠른 다운시프트가 안되는 경우 더블클러치를 시도하는것 자체가 무의미합니다.
더블클러치를 너무많이 연습(?)해서 싱글클러치가 습관적으로 잘 안됩니다.ㅠㅠ
저도젠쿱타지만 힐엔토를 좀더 정확히 더빠르게 구사하려면 더블클러치는 비추입니다.ㅠㅠ
쉬프트다운역시마찬가지이고요.
포터2는 그러던데 스포티지r은 안그러고..
안전을 위한 세팅인건 알겠는데 적용대상의 기준을 잘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