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폭스바겐이 페이톤을 유럽에서 출시한 것은 2002년입니다. 제가 당시 폭스바겐, 아우디의 수입원에서 일을 시작하던때였는데, 페이톤과 투아렉을 만들어 폭스바겐이 럭셔리 세그먼트를 갖춘 브랜드가 된 것은 큰 뉴스거리였습니다.
한국에는 2005년 폭스바겐 코리아가 출범하면서 페이톤이 가을부터 출시되었는데, 저는 이보다 1년 먼저 대만에서 처음으로 페이톤을 시승했던 적이 있습니다.
2005년 초창기에는 가솔린 V6 3.2 240마력 노말 휠베이스와 롱 휠베이스 그리고 W12 6.0 420마력 사양이 출시되었고, 조금 후 V6 3.0 TDI 225마력사양이 출시되었지요.
이때부터 전모델을 아주 찐하게 경험했고, 극한의 테스트는 물론 태백 서킷에서 모든 모델을 각각 30랩 이상 돌았고, TDI는 50랩이상 W12도 40랩 가까이 달렸습니다.
그래서 페이톤에 대해서는 그 누구보다 많은 경험을 했고, 다양한 비교테스트는 물론 연식이 업그레이드되고 바뀐 모델들에 대한 디테일에 대해서도 아주 잘 안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W12는 2006년식부터 450마력으로 업그레이드가 되었고, V6 TDI는 231마력과 240마력으로 두번 업그레이드 되었습니다.
V6 3.0 TDI로 250km/h를 달린 것이 디젤엔진을 탑재한 차량으로 250km/h를 경험한 첫번째였습니다.
그정도 속도를 달려봐야 페이톤의 진가를 알 수 있을 정도로 고속으로 속도를 올리면 올릴 수록 그 가치는 점점 더 커진다고 봅니다.
노말 휠 베이스 모델이 2.2톤 정도 되는데, 태백 서킷에서 4명 탑승하고 30랩을 달려도 브레이크 페이드가 생기지 않을 정도로 페이톤이 가진 기계적인 기본기는 현재에도 마스터피스라는 타이틀로 손색이 없는 차입니다.
V6 TDI모델이 주력이 되면서 가솔린 3.2모델은 찬밥 신세가 되었습니다만 240마력의 VR6엔진을 탑재한 페이톤 3.2도 고속도로에서는 매우 강한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롱휠베이스 모델로도 240km/h를 어렵지 않게 마크하고 제법 빨리 달려도 연비가 아주 좋았던 기억입니다.
무겁기 때문에 초반 스타트가 굼뜨고 시가지 주행에서 순발력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고속주행을 많이 하는 주행 패턴이라면 디젤보다 스포티한 엔진 특성 때문에 만족도가 큽니다.
V8 4.2 340마력 사양이 가장 나중에 투입되었는데, 위의 사진은 출시 이전에 1호로 번호판을 단 시승차를 PDI에서 내리자마자 테스트했을 때의 사진입니다.
8기통 4.2의 사운드는 정말 좋아서 뒷좌석에서 배기음이 정말 기분좋게 들어왔는데 한국 소비자들이 싫어할거라는 지적으로 뒷선반 부근에 방음작업을 하는 안타까움이 있었습니다.
작업을 했던 분들 말로는 트렁크에서 뒷선반을 통해 일부러 배기음이 유입되도록 설계된 것 같다고 하는데, 이런 통로를 막는 작업은 참으로 아쉬운 작업이었습니다.
이 작업을 하기 전의 차는 정말 기함이지만 사운드로는 최고였었습니다.
엔진룸의 깔끔함과 차를 설계할 때 완성도만을 놓고 보면 BMW나 벤츠보다 확실히 페이톤이 한수 위입니다.
이는 차를 정비하는 정비사들처럼 차를 수시로 분해하는 분들이 이구동성으로 하는 말이기도 합니다.
그 완벽한 만듦새 때문에 정비가 엄청나게 까다롭고, 정비효율이 떨어지는 차라는 악평도 감수해야 했습니다.
지금 기준으로 보면 상당히 클래식하지만 버튼하나하나의 품질감과 질감은 정말 감성적으로 최고급차가 갖춰야할 디테일이 아주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W12 6.0은 12기통 엔진의 또다른 기준을 제시했는데 바로 엄청난 내구성입니다.
벤츠나 BMW의 V12보다 확실히 누유나 기타 문제점들이 작은 장점이 있습니다.
420마력 사양 리미트 푼 경우 계기판 상 290km/h를 쉽게 넘을 정도로 450마력으로 업그레이드된 차들이 300km/h를 넘긴다는 증언이 많고 제레미 클락슨도 323km/h를 달렸다고 말한 적(2003년 7월 420마력 사양으로)이 있을 정도로 엔진의 수치적인 성능보다 실제 고속주행성능이 아주 좋은 엔진입니다.
이런 엔진룸을 보면 숨이 막히지만 그래도 명품 엔진인 것은 분명합니다.
벤틀리의 트윈터보 W12엔진도 결국은 폭스바겐이 만들어준 것이니 이 엔진이 가진 잠재력도 상당합니다.
피에히 회장이 50도의 외부기온에서 실내 온도 22도를 유지한체 4명이 타고 300km/h를 달려도 문제가 없는 차를 만들라고 해서 탄생한 페이톤인데, 여러가지 장점 중 잘 알려지지 않은 기능중 에어컨의 성능이 정말 좋습니다.
25개의 송풍 플랩 컨트롤모터를 가졌고, 뒷좌석에서도 온도 조절을 해 놓으면 매우 정확한 온도가 유지되는데, 앞좌석에서는 햇빛의 방향과 강도에 따라 대시보드 위쪽에서 냉기를 미세하게 뿜어주는 기능이 있어 한여름 아무리 더워도 열기가 빨리 없어지고 큰 건물의 냉방을 경험하는 것처럼 쾌적합니다.
벤츠 V12를 4대 가지고 있지만 페이톤 W12를 소유하게 된 것은 저에게 상당한 의미를 부여합니다.
그만큼 그 가치를 잘 알고, 기계쟁이들이 아주 깊게 공부해야할 차종이라는 확신 때문입니다.
분명 가지기도 어렵고, 유지하기도 어렵지만 이런차를 만들면서 배우는 부분과 모든 것을 완벽하게 해놓았을 때 느껴지는 희열도 훨씬 큽니다.
앞으로 시간날 때마다 W12의 복원기를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testkwon-
- 1.jpg (360.4KB)(24)
- 2.jpg (270.5KB)(3)
- 3.jpg (221.4KB)(1)
- 3-1.jpg (411.3KB)(0)
- 4.jpg (310.1KB)(3)
- 5.jpg (303.5KB)(0)
- 6.jpg (351.3KB)(1)
- 7.jpg (362.2KB)(2)
- 8.jpg (386.0KB)(1)
- 9.jpg (210.3KB)(3)
- 10.jpg (290.1KB)(1)
- 11.jpg (227.4KB)(0)
- 12.jpg (250.3KB)(1)
- IMG_0838.jpg (273.0KB)(0)
- IMG_0839.jpg (267.3KB)(1)

페이톤은 저도 3.2 lwb 와 3,0tdi만 두번을 소유한 경험이 있습니다.
위 말씀처럼 3.2는 시내주행은 정말 굼뜨지만 고속도로에선 날카로운 움직임을 보였던 기억이 있습니다.
3.0tdi는 제 머리속에 디젤 차량에 관한 고정관념을 버릴수 있도록 만들어 준 차량이라고 기억 됩니다.
부드럽고 힘 좋도 연비까지 좋았습니다.
한번은 경기 남양주서 거제도 까지 새벽시간에 풀 탱크로 출발해서 거제도에서 2박을 하고 여행 하는동안 한번도
주유를 하지 않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제 기준엔 벤츠나 bmw의 동급 모델에 비해 실내도 정말 고급지고 특히 LWB모델의 뒷자리는 보자마자 갖고 싶다는
마음을 먹게 만들었습니다.
좋은 기억을 남게 해준 차량임은 틀림없지만 보유했던 3대의 차량중 두대의 차량에 온보드 모니터가 망가진건
안비밀 입니다 ㅠㅠ


풀사이즈세단에 대한 동경이 없는 분도 아마 드물것 같습니다.
여유로움과 안전에 대한 믿음, 타고 내릴때의 흐뭇함과 편안함

페이톤은 아직 접해보지 못한 애마네요.
영주님의 글에서 뽐뿌를 엄청나게 받고 있습니다. 12기통은 저의 마음을 사로 잡네요.
기변 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재미날글 많이 올려 주세요. 잘 읽었습니다.
일본에는 페이톤을 출시 안했던거 같은데 혹시 무슨이유가 있을까요?
폭바도 그렇고 타브랜드도 그렇지만 상당히 다양한 라인업이 있음에도 페이톤은 없길래 궁금합니다

제가 독일 폭스바겐 본사에 있을 무렵인 2007년도 독일에서 일본에 페이톤 상륙에 대한 상당한 압박이 있었습니다.
결론적으로 일본이 거부해서 페이톤 상륙은 실현되지 못했는데, 일본은 전통적으로 폭스바겐 입장에서는 해치백과 웨건이 강한 시장이라 세단이 자리 잡기 어려운 환경, 즉 CC나 제타등의 판매가 폴로 골프, 파사트 바리안트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는 점
두번째는 페이톤과 같은 차가 자리잡은 세그먼트는 차만 좋다고 판매되기 어렵다는 점, 즉 페이톤은 일본에서의 벤츠나 BMW위상에 도전해 봤자 처참히 패배할 것이 분명했기 때문입니다.
일본은 고급차 시장이 상당히 보수적인 시장이라 아우디마저 전혀 벤츠에 비해 힘을 못쓰고, 그냥 차가 좋다고 판매되는 시장이 아닙니다.
이러한 이유로 몇년동안의 폭스바겐 본사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페이톤은 일본에서 외면된 것입니다.

저희 집에 3.0 TDI한대가 있습니다.
누가 산다고 한다면 말리고 싶은 차종입니다.
마스터님의 경험은 장시간 소유가 아닌 단시간 테스트이기에 저런 찬사가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부분은 말씀대로 좋은 면이 많이 있으나, 여러 부분에서 커다란 이슈들이 있습니다.
1.도장.
폭바의 "수준과 한계"라고 감히 말하고 싶습니다.
저희 집에서 운용중인 페이톤은 단 한번의 사고가 없었음에도 차량의 여러 부분에서 도장이 부풀어 오르듯 까집니다.
이 부위가 철이 아닌 알루미늄임에도 불구하고 일어나는 현상으로 이는 차량의 도색 자체가 불량인 것으로 사료됩니다.
문제는 폭스바겐의 대응입니다. 과거 도장 5년 관통 10년인가 광고하며 팔 때의 차량인 것이 무색하게 절대 인정도없고, 보상하겠다는 얘기도 말도 안되는 수준입니다.
2. 트렁크 부분의 배선 절단.
3. 네비게이션의 현지화문제
4. 냉각계통의 고장
상기 문제들로 수리하며 타고는 있지만, 다른 회사 특히나 언급하신 벤츠의 기함에서는 상상도 못할 오류들이었기에 그냥 폭스바겐의 성장과정 중에 실패한 모델...정도로 기억하시는걸 권합니다.

윤중님께서 벤츠나 BMW의 기함들에 대한 장시간 소유나 다양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 경험이 부족하시기 때문에 페이톤에 비해 S클래스나 7시리즈는 뭔가 페이톤 이상의 그 무엇이 있다는 환상을 가지실 수는 있습니다.
도장이 부풀어 오르는 문제는 저도 보았습니다만 벤츠나 BMW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문제는 아닙니다. 도장의 품질의 경우 어느 브랜드가 일방적으로 더 좋다고 말하기 힘들 정도로 모든 메이져 브랜드의 그것들은 거기서 거기입니다.
기타 나열하신 문제점 정도의 문제도 없는 차들이 있을까요?
벤츠 S600 바이터보 엔진의 코일팩 문제, V뱅크 사이에 있는 냉각 쿨러를 빼기 위해서 실린더 헤드를 들어내야하는 그런 설계상의 말도 안되는 문제 30만원짜리 쿨러 교체하기 위해 엔진 오버홀에 가까운 500만원의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BMW F02 750의 V8 4.4, 760의 V12 6.0엔진들 6만킬로도 안되서 가이드 고무 문제로 1000km가는데 오일 1~2리터 먹습니다. 이뿐 아니라 제너레이터가 간헐적으로 충전하여 배터리의 80%만 충전되게 하여 충전저항을 줄여 연비를 높인다는 이런 기능 덕분에 배터리 수명이 절반도 안나와 센터가 50만원짜리 배터리를 매년 교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절약한 연료비의 수백배의 값을 배터리 교체에 써야하지요.
7시리즈의 실내등 스위치와 디자인을 한번 보세요. 폭스바겐 골프까지 안가도 국산 아반테 수준도 안됩니다.
벤츠나 BMW에 얼마나 상상도 못할 말도 안되는 문제점과 설계상 결함 등이 있는지 직접 소유하시고 고쳐보시면 아마 이해하실 수 있는 부분이라 이 자리에서 길게 나열은 안하겠습니다만 모든 브랜드가 차량을 설계하면서 이해 안될 정도의 품질 문제들을 모두 가지고 있고, 그런 품질 문제 몇 가지를 나열해 놓고 그 차의 본질에 대한 좋은 점까지 찬사가 아깝다고 말하는 것은 무리가 있습니다.

글쎄요.
다른 것은 몰라도 도장은 벤츠나 BMW같은 프리미엄 브랜드까지 가지 않더라도 당장 현대 기아차에서도 일어나지 않을 문제이지요. 그리고 그 문제 뿐 아니라 서비스 센터의 대응도 굉장히 실망적이었습니다.
보증기간 내에 차량 한대의 문 네개 중 세개 그리고 앞휀더에서 그런 문제가 발생했다면 당연히 사과와 함께 재도색또는 다른 해결방법을 제시하는게 당연지사인데, 기다리라 기다리라 하며 보증기간 지나기를 기다리는...
여튼 제 경험은 그랬습니다.
뽑기 운인지 벤츠 S클래스에서는 그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고, 볼보 S80도 그랬고, XC90도 그랬고, BMW(사실 미니죠...) 액티브투어러, C클 컨버, 벨로스터, 스타렉스 등 집에서 현재 운용하고 있는 차량중에 비슷한 문제가 발생한 차량이 없어더더욱 강경한 발언을 한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