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유치한 질문이겠으나 순수한 호기심에 질문드립니다.
절대 본인이 미친 속도로 과속하겠다는 뜻이 아니니 신고같은거 하지는 말아주세요.
우리나라에서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300킬로를 찍을 수 있는 차는 무엇인지 궁금하네요.
300킬로 항속은 저한텐 너무 무리고 그냥 찍을 수 있는 정도면 만족합니다.
물론 비용에는 5년간 유지, 관리비까지 포함입니다.
수입차, 국산차, 중고, 신차, 튜닝여부, 차종 다 상관없습니다. 다만 어느정도 데일리카로
쓸 수 있을 만한 차여야 합니다.
더이상 나이들기전에 제 어릴 적 로망이자 꿈을 한 번 이루고 싶네요.
몇가지 후보로는
1. R32 + VF Supercharger 2nd stage
(마스터님 시승기에 따르면 305킬로를 찍으셨다고..)
2. E46 M3 + 과급튠
(상태좋은 차 찾기가 힘들고, 유지보수에 돈 많이 들 듯함)
3. 포르쉐 911 (996) 순정 (혹은 ECU tuned)
(300킬로 찍을 수 있겠죠?)
4. 엄청난 튜닝이 된 일본 90년대 스포츠카들- supra, GTR 등등
거의 올드카 복원 수준의 노력이 들어가지 않을지 걱정
5. 기타....
회원님들의 추천차량은 무엇인지요???

1. 중고 사브 9-5 에어로 (230마력 짜리) - 현재 1천만원 초반에서도 구입 하실수 있습니다. + 각종 스테이지 업 튠 (터보 차저+ECU+캠샤프트등)- 약 1천만~1천 5백만원이면 속도와 내구성을 지원하는 스테이지 급으로 업그레이드 가능 => 스테이지 등의 꾸밈에 따라 다르겠지만, 원래 260~270찍고 다니는 차량인데, 제가 비공식적으로 2백 마일 밑에 까지 찍어본 차량중에서는 가장 싸게 꾸밀수 있는 차량이 아닐까 하는...
2. 크라이슬러 300C SRT-8 (중고 약 5천만원대 후반); 기본적으로 리미터 없이 180마일 (약 300km)까지 후련하게 나가 주시는 편이고, 슈퍼 차저 (약1천만원) 올려 주시면 간단하게 220마일 (약 350킬로)까지 가능합니다.
3.닷지 바이퍼 (중고 약 7천 후반); 역시 기본적으로 리미터 없이 200마일(약 320Km)까지 나가주시죠, 뭐 말이 더 필요 할까요?
일단 저렴하게 찍으실수 있는 방법이라고 해서 몇개 적어 봤습니다.

갑자기 테드분들을 비롯해서 왜 CL600에 대한 이야기들이 많이 나오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워낙, 희귀한 차량에, 희귀한 엔진이라....... 도대체 언제부터 우리나라에 12기통 차량들이 그렇게 흔해진걸까요??
대배기량 엔진과 고급차 들이 판치는 이곳 미국에서도 12기통 엔진 차들은 그닥 흔한차가 아닙니다. 한 예로.. 1년에 총 2천 5백대 정도의 벤츠를 파는 미국 딜러쉽에서 S/SL/CL을 다합해도 400대가 안되는데, 그중에서도 12기통 엔진차량은 다합해서 20대가 안될정도 밖에 못팔거든요..
물론 2006~2007년에는 BMW 의 760LI생산량의 약 1/3이 중국으로 팔렸고, 미국 전체가 중국 판매량을 못따라 갔습니다만, 그래도 한국이 거기서 순위에 올라갔던 나라도 아닌데.....
참..갑자기 궁금해 집니다..
윤성준님 오랜만입니다... 너무오래 잠수를 하셔서 언제 부상 하시나 했는데...^^
헉... 760... ㅡㅡ;;;
전 옆에서 760 시동소리 듣고 뭐... 뭐냐... 제트엔진인가...? 했었는데...
위이이이~~~ 하면서 rpm이 부드럽게 올라가더니 어느순간 조용히 웅~~~ 하더군요...
예전에 750이나 850 상태안좋은 12기통 시동소리 듣고는 실망하고 있다가 갑자기 다른 소리를 들으니까 충격적이더군요... 괜히 동전 모로 세워놓고 시동거는게 아닌거 같았다는...
매일 12기통 시동거는 분들은 시동걸때부터 기분이 틀리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사실 CL600은 거의 못보지만, (신형은 정식 수입이 되질 않죠.), S600은 한국에서(특히 서울) 꽤나 자주 보입니다.
가끔 엠블렘 튠인가 하고 자세히 보기도 하는데, 뭐 브레이크를 보거나 옆에서 엔진음을 들어보면 진짜 S600인 경우가 훨씬 더 많은 것 같고요.
궁금한 마음에 기사를 찾아보니, 07년도에 203대, 08년도에 156대의 S600이 팔렸다고 나와있군요.
꼭 V12 바이터보의 엄청난 성능보다 S클래스 젤 좋은걸로 뽑아야지!
옆집 김사장은 S500 뽑았다니 난 S600은 뽑아야지! ㅎㅎ 하는 분들도 계신 것 같고요.
사실 저희 아버지께서 몇년 전 S600을 고민하시길래,
(스페셜 오더를 안받던 당시, 정식수입은 S500과 S600의 옵션 차이가 좀 있었습니다. 그당시 S350은 파노나마 썬루프도 없고, 뒷자리 모니터는 S600에만 달려있고, 다이내믹 시트도 S600에만.... 등등)
그냥 편하게 S500 직수입으로 뒷자리 모니터 옵션과 이것저것 옵션 빠방하게 넣은 걸로 정식보다 싸게 구입했던 기억이 있네요.
그런데, 가끔 제가 운전할 때가 있다보니, 그냥 S600을 권해드릴걸 하는 후회도 있고요. ㅎ
아 V12 바이터보 경험해보고 싶네요...
대배기량차는 연비가 너무 안좋고 관리비가 많이 들것 같은 예감에 망설여지네요.
근데 전륜카로 300찍는 경우가 있었나요? 가능하더라도 굉장히 불안하지 않을까 걱정이네요.

제가 대략 하이웨이 배틀쪽이었기땜에 전륜의 300km 는 대략 잘 압니다..
경험상 29? 정도까지는 투스카니로 세팅만 잘 되어있으면 어렵잖게 찍습니다.
제 세팅의 경우는 기어비 상, 300오버를 하려면 6단으로 8000RPM 퓨얼컷 까지 돌려야해서,
막상 GPS로는 300을 오버해보진 못했습니다.(297까지 가봄...물론 VSD로는 넘겼지만요)
1.9바 풀부스트 상태로 퓨얼컷을 치는 건 웬만해선 시도조차 하고 싶지 않아서요..
전륜구동이라 300이 불안하다..라는건,
적절한 카나드로 전륜을 눌러주면 별로 불안하지 않습니다. 트랙션도 잘 살구요..
거기다가 하부에 언더패널 정도면 불안감은 거의 없어집니다 ^^
(현재 타는 S2000 의 200km 의 느낌이 이전 아수라(투스카니)의 300km 느낌과 비슷하달까요)

젠쿱오토 3.8에 하이캠넣으시고 배기하시면 바로 300킬로 찍습니다....아주 싸죠......
대신 고속 안정감을 위해 서스펜션 타이어는 좋은넘으로 교체를 추천합니다...
1~4번 모두 최소비요으로 잡아도 차값포함 6000쯤은 들것 같은데 조금 더 보태서 걍 콜벳 z06 사세요...
요새 7000만원 정도 되는것 같던데요...?
튜닝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비싼 부품가격, 비싼 차량가격 등등이 싫으시다면 콜벳 z06가 답입니다.
뭐 배기량이 커서 세금이 좀 많기야 하겠지만요...
p.s m3 SC 라면 얼마전에 스타일 사장님차가 있었는데... 분해해서 판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타이밍 아쉽네요...
또 수프라 700마력 사양이 저렴한(물론 차 스펙대비) 가격에 나왔었었는데.. 이역시 타이밍;;

저는 일본차 타는 입장으로 4번 추천드리고 싶네요.
90년대 초반 일본 버블 경제시기에 나온 280 마력짜리 일본 스포츠카들중 nsx나 기타 컴펙트카 제외한 차량들은 엔진과 밋션의 내구성이 비현실적인 마진을 갖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5년정도 유지하실때 비교적 중고 부품거래도 성한 편이니 저는 일본차량을 추천드리고 싶네요.
수프라에 싱글 빅터빈이 가장 편하지 않을까 합니다. 기어비가 안된다면 파이널 기어비 하나 구입해서 교체하시면 되구요.
제 차량의 경우(fairlady z32) 일단 차값이 가장 저렴해서 좋습니다. 대신 터빈은 두발을 해야하고 작업자가 짜증을 낼 가능성이 큽니다. 대신 블럭과 피스톤 컨로드와 밋션 디퍼런셜 그리고 각종 베어링등은 순정을 쓰셔도 700마력까지는 별탈 없이 쓰실 수 있습니다. 항간에 들리는 유리밋션 소리는 듣기 힘듭니다. 수프라 gtr 등 다 비슷하지 않을까 합니다.
그런데 글을 읽어보면 미친듯이 과속하겠다는건 아니라고 하셨지만 그속도를 내실건 기정 사실인듯 합니다. ^^
300을 나름 간단하게 내기위한 출력은 400~500마력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말씀하신 일본차중 수프라를 예로 들자면, 상태 괜찮은 터보 시세가 2000정도 합니다.
여기에 400~500마력 (어차피 이 이상은 인터널 보강이 필요하기에..)을 낼려면 대략 터빈은
최소한 가렛 3560은 들어가야 합니다... 작업전 오버홀은 필수이므로(안했다가 엔진 해먹음
돈이 더들어가죠 ㅎㅎ) 사전 오버홀과 터빈이나 인젝터 인터쿨러 등 싸게 잡아도 이래저래
공임등 다 포함하면 1500~2000은 들어 갑니다. 여기에 클러치라던지 디프, 서스 등을 하려면
500~1000은 그냥 들어갑니다.... 대략 차값까지 5천만원 정도 들어간다는 계산이죠... 물론 실제로 해보면
이보다 더들어가면 더들어갔지 절대 위 계산(차값포함 약 5000만원)보다 적게 들어가지 않습니다.
그리고 700마력이라뇨;; 물론 한두번 조지면 어느 엔진도 다 버팁니다. 하지만 매일같이 맘놓고
조지려면 그 튼튼하다는 수프라 엔진도 순정 파츠로는 450~500마력이 끝이라고 봐야 합니다.
페어든 gtr이든 수프라든 600마력 이상 넘길려면(300을 아주아주 가볍게 내려면 이정도 출력은 필요)
엔진과 밋션은 소모품 까지는 아니더라도 털리면 "아.. 털렸구나... 다시 올리자" 정도 마음가짐으로
차를 타야 합니다.
모 차량은 700마력을 별탈없이 쓴다는 얘기는 말그대로 얘기일 뿐입니다. 예를들어 풀부스트가 2바에
700마력인 차가 있다고 치고, 평상시 0.8~1바 정도의 부스트만 쓴다면 당연히 고출력으로 인한 문제가
생기지 않겠지요.
여튼 450~500마력을 내는 정도의 튜닝을 하게되면 일단 차 만드는데만 5~6000이 들어가고 기타 부품들
교체비용 생각하면 머리아파지죠... 일본차도 이정도인데 유럽차는 더합니다...
p.s 페어 32는 엔진룸 더럽게 좁기로 유명한 엔진입니다.... 더불어 열이 많기로 유명한 엔진이기도 하고
또 진공호스 많기로 유명한 엔진입니다. 터빈 교체하는데 엔진 들었다 놔야 하는 차이기도 하구요.
고출력 튜닝으로 쓰기에는 엔진이나 밋션 내구성과 관계없이 정비성 만으로도 아주 더러운 엔진입니다...;;

그렇군요. 저도 안타깝지만 터빈 리빌드할떄 엔진 내렸습니다. 저의 경우는 단조 피스톤 컨로드가 들어가있지만 현재 출력은 휠에서 380 정도 밖에 안나오는 순정 터빈 세팅입니다. 오일펌프 연료펌프 클럿치 드라이브샤프트 인터쿨러 오일쿨러 기타 등등해서 2천만원 좀 넘긴것 같습니다. 차값은 천만원 이하구요. 터빈만 업그레이드 한다면 여기에 터빈값만 추가하면 될 것 같습니다. 물론 차에대해서 공부를 어느정도 빠삭하게 했을경우 얘기입니다. 뭐 하나 잘못해놨다가 다시 엔진내리면 자꾸 공임 들어가죠. 저도 냉각이 안좋다는건 느끼고 있지만 고속만 생각한다면 쿨런트 + 대용량라지에터+본넷 정도면 고속의 공기 유입으로 300 잠깐 찍기엔 별 무리 없다고 봅니다.
순정 피스톤 컨로드로는 매일 조지려면 말씀하신대로 500 정도면 어느정도 한계가 있을 것도 같습니다.
말씀하신 골치 아픈 부분들은 물론 공부를 빠삭하게 해야한다는 가정하에 입니다. 가장 속편한건 말씀하신대로 z06 일건 저도 공감합니다.

벤틀리 콘티넨탈 GT나 CL65AMG요...
물론 차량값은 3장을 넘지만, 고속 안정성이 가장 나은 차들이지요.(안전하다 못해 허무하게 올라간다고 할 정도로)
내 목숨을 담보로 삼는다면, 안전보다 더 저렴한 튜닝은 없을듯 합니다.^^

300킬로를 찍으면서도 데일리로 타고 다닐수 있다면 금상첨화겠죠,. 1,2,번 다 6000정도 예산은 잡아야겠네요
3번은 상태좋으면 6천은 힘들것 같고.
1번,+ SRT가 가장 현실감 있어 보입니다.
저렴하다는 전제로 보면... 김광삼님과 같은 맥락인데...
제가 가끔 반 농담으로 하는 소리기도 합니다만...
1천에 엘리사 사서...1천들여 트윈텁오 올리고... 1천정도 바디보강이나 에어로에 신경 써준다면 300 오버 간단히 합니다. 항속도 아니고 찍는데 의의를 둔다면... 마지막 바디보강과 에어로에 좀더 돈이 덜 들수도 있겠네요. ^^
왠만하시면 과한 튜닝으로 300을 넘기려 하시지 마시구 순정상태에서 고성능을 내는 차량으로 가세요~ E55AMG정도면 ECU+흡배기정도 하시면 300은 쉽게 넘어갑니다...매물이 많아서 중고 시세도 구입하기 괜찮고 데일리카로 사용하기도 딱이죠~
순정 55나 63은 "따위" 로 만들어 버리는 성능과 더불어 엄청나게 좋은 연비(12km/L)를 내주는 차가 있으니 문제죠.
그리고 고성능엔 기름도 많이 먹는거야 라고 생각했다고 해도 막상 주유소 들락거리다 보면 그런 생각은 말그대로 생각 만으로 끝납니다.
그리고 약간 잘못 알고 계시는게, 조질때 3K가 아니라 시내연비가 3~4정도 나옵니다. 조지면 2도 채 안되는 연비죠. 물론 조질때 연비는 논외로 해야 하지만요. 55나 63 솔직히 63은 잘 모르겠으나 55와 E60 M5는 고속도로 크루징해도 7를 거진 못넘깁니다. 뭐 63은 연비가 조금 좋아졌다고는 합니다만...
잘못 알고 있는게 아니고요 제가 E55 탔었습니다. 그리고 고속도로 크루징할때 리터당 9~10km넘게도 나왔고요. M5는 어떤지 모르겠지만... 말씀하신 AMG들을 따위로 만들고 연비 12km/L 나오는 차는 어떤 차인가요? 그리고 위에 쓰신글 분위기상 그 12km/L란 연비는 당연히 시내주행 기준이시겠죠?
아, 그리고 위에 말씀하신 "고성능이 기름 많이 먹는게 당연해"란 생각은 그냥 생각뿐이란 말씀은 맞는 말씀입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는 그런 차들은 쎄컨이나 써드로 두고 데일리카를 따로 쓰죠. 저 또한 업무용 NF LPG, 디젤 스포티지나 제 뉴XD를 데일리카로 씁니다. 그렇지만 사정상 고성능차 한대로 끝내야 한다면 많은 유류비 지출은 당연히 각오해야죠.

제차...
SRT-6도 있습니다^^
ECU+ 풀리.
게다가 오픈도되고 현재 제가 데일리카로 쓰고 있습니다...
다이노상에서는 Z10을 어렵지; 않게 넘기고 같은 튠한분이 Z00을 넘기고 크루징하신다니까...찍는건 어려운일은 아닌듯 싶습니다.
저는 아직 Y70이상은 경험이 없습니다...
제가 겁이 많아서 ㅠ.ㅠ

실속기준이 아니라 계기판기준이라면.. 2번에 과급 안하시고 ECU + 흡,배기만으로도 300 은 꺽습니다. GPS 로는 285 정도 나오더군요. R32 에 슈퍼챠저올린 차량은 G37 7A/T에 리밋푼 차량과 가속력에 큰 차이가 없을 듯 하네요.
암튼, 400마력대 차량이 아니라면 300km/h 찍으려면 악셀에서 왠만해선 발을 떼지않고 계속 밟아야만..

젠쿱 3.8에 터보던 슈퍼차저든 올리면 그나마 안정적이면서 저렴하게(?) 되지 않을까요..
외제차가 고속 크루징을 계속 할때 안정적이긴 하겠지만..
그냥 한번 300을 찍어보겠다는 생각으로는 저정도 선택이 가장 저렴하지 않을까 싶네요;
지난 번개때 3.8 터보 차량이 왔는데... 약 500마력에 토크가 70이 넘는다더군요. -_-;
1번 추천 드립니다 독일버젼이었던 제 4세대 볼텍수퍼차져 스테이지3 R32가 계기판 295정도에 지피에스로는 288 정도를 찍었었습니다 미국 버전 기어비라면 300이 가능할수도 있다고 봅니다만 경험을 해보진 못했던 터라 100% 확신을 드리기는 좀 어렵습니다 가격대비 성능이나 특히 내구성에 관해서는 신뢰를 보내셔도 될만큼 메인터넌스는 문제가 없었습니다 다만 완성도에 경우는 볼텍에 경우 스테이지 3보단 2가 더 우월한 안정성을 보인다는 다에는 100%에 확신을 드릴수 있습니다 제가 파워를 좀더 포기 하면서 3에서 2로 가는 것을 고려했을 정도로 트러블이 없었습니다 문제라고 해봐야 간단한 센서 문제 였습니다만 관리가 좀더 수월했던 비교 데이터가 있습니다 제 차량은 소유 했었을 당시 테드분들은 다 아시는 100% 컨디션이었던 993터보 수동과 고속과 와인딩에서 달려본적이 있었습니다(직업은 의사선생님입니다 ㅋㅋㅋ) 계기판 280에서 추월을 당했었습니다만 그 전에 보여 주었던 고속 순항 능력은 엔진이나 밋션에 관한 내용이 아닌 바디에서 오는 불리함에 있었습니다(공기저항) 유명산 달리기에서는 정말이지 더 재미난 달리기 였는데 993포르쉐가 다소 불리한 조건임에도 추월에는 성공을 하지 못했지만 피터지게 서로 달리는 것이 가능했었습니다 993도 튜닝이 되어 있었기에 서로 비슷한 조건이었지만 가격으로 따지면 R32 쪽이 훨씬 메이터넌스 비용이 저렴 했었습니다 무엇보다 그 가격에 그 정도 고속영역에서 그 만한 신뢰를 주는 하체는 없다고 봅니다(하체는 순정이었습니다) 여담으로 외곽순환 도로에서 E39 M5와 배틀을 한적이 있었는데 계기판 280정도에서도 차선변경 했었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차량들은 유승민님 의견에 공감 한표를 던집니다 중고 SRT가격은 참 좋더군요 무엇보다 중요부품 7년에 115000km AS는 정말이지 큰 메리트가 아닐수 없습니다


(쉬어가는 리플~)
젠쿱이란 답은 이미 많이 나와있으니 논외로 하고...
데일리카 말고 300을 경험하는 가장 싼 개인탈것으로 하야부사가 있죠. 출고상태 그대로 4km 가속하면 300...
99년 사양이라면 계기판 340의 감동이... 중고가는 700 미만도 많지요.
처음 타봤을때 Tunnul Effect를 경험해보고, 너무나 쉽게 300의 영역이 되기에 허무함만 남았던 경험도...
자동차로 over 300km/h는 참 어렵고 돈이 많이 드는 일입니다만, 호선형님 말씀대로 두바퀴의 바이크로는 over 300이 너무나도 '쉽고 저렴하게' 되버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