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에 대비해서 여쭤 봅니다..

 

그냥 앉아서 이론적으로 생각해본건데 맞는지 좀 봐주시겠어요..

 

-일단 RR특성

 

0.RR의 특성이 앞이 가벼우니 어설프게 진입해서 제동 제대로 못해서 앞에 하중 못옮기면 앞에 접지가 부족해서 언더가 나고(근데 이상하게 다들 911은 오버만 난다고 생각하시더군요) 막상 차를 돌렸는데 악셀링이 적당하지 않으면(예를 들어 과한경우) 뒤가 무겁다 보니 코너중에 과한 악셀링시 뒤를 밀고가는 오버가 상대적으로 잘생길것 같고요.. 

 

0.심지어는 코너링시 악셀량이 과한게 아니라 반대로 이븐스로틀로 가다가(좀 큰코너 특히) 악셀링이 급하게 줄어들어도 뒤가 들리면서 뒤 접지가 약해지면서  옆으로 날라가면서도 오버가 날텐데 뒤가 무거우니 그 속도가 빠를거고 또 뒤가 무거우니 잡기도 어렵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0.즉 어떤 조건이 충족되면 아주 효율적이나 그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아주 불리한 레이아웃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추상적이나마 생각해보면서 궁금하다고 생각한게

 

0.MR에 비해 진입속도를 더 높혀서 진입하고 브레이킹을 강하게 가져가는게 초기 스티어링에 유리할까?(상대적으로 앞에 가벼우니 풀브레이킹시에는 오히려 MR이나 FR보다 유리하다고 생각되었습니다.. 즉 더 가속하고 더 제동을 늦게 ,그리고 쎄게하는거죠) 

 

0.또한 트레일적인 요소를 적게 가저가서 가능한한 직선에서 모든걸 끝내고 가는게 무조건 MR에 비해 유리할까?(아무래도 MR에 비해 불안정한 레이아웃이므로 코너중에 야기될수 있는 불안정한 요소를 최대한 배제하기 위해)

 

0.스티어링 후에는 오버의 위험이 크니 재가속 시점을 늦게 잡아야 하나 MR에 비해?

 

0.위에 글이 어느정도 맞다면 그럼RR의 장점은 초기에 직진구간에서 풀브레이킹이 유리하므로 진입속도를 좀 빨리 할수 있는거 말고는 없는 것인가?(코너중에 너무 예민하고 재가속 시점이 오버위험때문에 다른 차들에 비해 늦을거라는 막연한 추측입니다)

 

0.마지막으로 사람 스킬 나름이겠지만 위의 글이 어느정도 맞다면 코너중 R이 바뀌는 경우에 턱인 같은 기술로 차를 한번 더 돌려서 탈출하는 기술은 가능한한  RR에서 자제해야하는 기술 같은데 맞는 것인지?

 

궁금한거 두서없이 적어봤습니다.. 많은 고견 부탁드려요

 

미리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