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오늘도 민희에 익숙해지기위해 고군분투중인... 회원입니다.
한국에서 면허 따고서 더블클러치에 빠졌?다가...
그렇게 몇 년 지나니 클러치 한 번 밟으면서 동시에 레브 매칭 해주는게 더 편하다는걸 알게되고,,
그걸 브레이킹 하면서 하는게 힐앤토라는 걸 알게됐죠..
안타깝게도 테.드의 많은 분들처럼, 그런 "기술"을 배우는 데 있어 전문적인 드라이빙 스쿨이나 1:1 인스트럭터 교습의 기회가 없었고..
그냥 이렇게 저렇게 해보면서 익히는 수준으로 여기까지 왔는데요,
그러다보니 다른 분들은 어떻게 하고계시는 것인지 궁금한 상황이 오네요.^^;;
작년 말, 수동에 대한 미련을 못버리고 결국 미니를 데려왔는데요,,
오옷.. 페달은 눈꼽만 한데도 힐앤토 하기에 무척 편한 페달 위치와 높이...
근데 전에 탔던 다른 차들과는 다르게 브레이크와 악셀 페달 간격이 가깝더라구요..
안그래도 시내 주행에서 감속이 어중간한 정도로 필요한 경우에 힐앤토를 하다보면
브레이크 답력과 누르는 양을 부드럽게 유지시키기가 어려웠는데,,
페달이 가까우니 듣기만 하던 토 앤 토가 되겠더군요..
그래서 해보니까 풀브레이킹이 아닌 상황에선 토앤토가 힐앤토보다 더 유용하다는걸 깨닫게됩니다..
헌데 지금껏 힐앤토 할 때 발 뒷꿈치를 공중에 띄우는 게 당연시되다보니,,
토앤토 할 때도 발 뒷꿈치를 허공에 띄워놓은채 발 엄지 쪽으론 브레이크, 새끼 쪽으론 악셀 페달을 누르며 연습하곤 했는데요, 그렇게 허공에서 발을 비트는(꺾는) 동작을 하다가.... 어느 날인가 구두 신고 그 짓을 하다 발이 브레이크 페달에서 미끄러져 악셀을 밟게되는 식겁한 경험을 했습니다. 휴..;;;
토앤토를 포기하긴 싫었기 때문에 혼자 고민해보다가 결국..
발 뒷꿈치를 바닥 매트에 고정한 채로도 토앤토가 가능하겠다는 걸 알게됐고,
엄지 쪽으로 브레이크 패달의 2/3 정도를 밟은 상태에서 발의 오른쪽 날 부분으로 악셀레이터를 누르는데, 그것도
하다보니,,
발 뒤꿈치를 악셀레이터에 가깝게 둘 수록 악셀 누르는 데 미스가 없고 그 양을 조절하기도 편하다는걸 알게됐습니다.
(참고로 미니의 악셀 페달은 BMW와 같은 오르간식입니다.)
(이런 식으로 사용하고있습니다. 페달의 고무 양각 재질과 세로무늬 디자인 덕분에 신발 바닥이 가죽이건 생고무건 잘 잡아줘서 다행입니다..)
지금껏 수동이건 자동이건 오른발 뒤꿈치는 ABC중 B페달 정면 아래에 두고 운전해왔는데,,
그걸 조금은 수정하게 된것이죠.. A페달에 더 붙이는 쪽으로요.
하지만 이것도 단점이 있는 것이, 만일 급박한 상황에 풀브레이킹을 하게되었을 때 발 각도나 힘을 잘못 주면 악셀도 같이 밟게 될 가능성이 있더라구요.
테.드 회원 분들은 어떻게들 하시는지... 여쭤봅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깊게 밟지 않는 이상 토앤토가 더 편하긴 합니다만
저도 깊게 밟을 때는 엑셀까지 밟게 되더군요.
힐앤토하면 발목이 이제는 힘들어서 토앤토를 해봤는데 위와 같은 문제점으로 사용을 안 합니다
혹시나 좋은 방법이 있다면 저도 알고 싶습니다.
날이 갈수록 발목이 힘듭니다 ^^;
현재 저는 그냥 시내 운전할 경우에는 필요할 때만 힐앤토
아닐 땐 그냥 느긋하게 더블클러치로 시프트다운합니다.
그리고 힐앤토도 연습 하시다보면 브레이크를 깊게 밟지 않아도 답력 유지하면서 사용가능하실 겁니다.
대신 발목이 더 힘들긴 하더군요^^;

'풀브레이킹이 아닌 상황에선 토앤토가 힐앤토보다 더 유용' 에 공감~~~
근데 저는 토앤토는 신발마다 편차가 커서 제 감각이 저질이라서
그냥 힐앤토 위주이고 안 바쁘면 rev 매칭만 합니다.
평상시에 운전할땐 좌회전 막신호랑 u턴 막신호에서만 힐앤토 쓰다보니...^^

윗분들과 마찬가지고 보통은 토앤토를 사용합니다. 제차량(국산차 튠했슴돠) 브레이크,액셀레이터 간격은 민희보다는 더 가깝네욤. 약간 빠른 주행시에만 힐앤토 사용합니다. 느긋할때는 더블클러치만 사용하구요.
사진처럼 드레스슈즈나. 구두 착용시에는 더욱 쉽더라구요.(레이싱슈즈만 못하긴 합니다..^^

저도 풀브레이킹시의 오작동이나 충분히 강하게 밟지못하는 경우가 생겨서 뒷꿈치는 그냥 브레이크 밑에 두고 힐앤토를 사용하되 시내주행시엔 발목을 꺽는각도를 극도로 작게 해서 힐앤토를 칩니다. 각도를 정말 살짝만 꺾어도 사실 어느정도는 밟히더라구요.
근데 시내주행시엔 80% 이상은 힐앤토 안쓰고 브레이킹없이 미리 레브매칭한후에 브레이크만 밟습니다. 급코너로 진입하지않는 이상 저속에서는 이 방법이 젤 편하더라구요..
토앤토는 브레이킹 조작 실수 한방에 큰일 나는 확률도 생깁니다.

저도.. 예전에 인테그라 타면서 신발을 항상 드라이빙슈즈로 하고 날마다의 출퇴근에 익숙해지다보니 일상 주행에도 약한 브레이크 답력을 유지하면서 힐앤토가 가능했었었었지만.. 지금의 미니는 제 실력에 부드럽게 다루기가 쉽지 않아서.. ㅠㅠ
어떻게든 날마다의 모든 상황에 완벽한 토앤토로 커버할려는 건 어쩌면 지나친 욕심 내지는 자만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일정하지않고 불안한 토앤토보단 부드러운 레브매칭후 풋브레이크를 가져가는 것이 여러모로 현실적이런 생각이 드네요.
문득.. 프로페셔널 레이서나 인스트럭터들은 어떻게 하는지 궁금해지는군요!!!^^
시내에서는 토앤토, 트랙에서는 힐앤토를 쓰고,
토앤토는 제 경우 사진 올려주신 것보다 힐이 브레이크쪽으로 더 넘어갑니다.
그렇게 해서 진짜 새끼발가락쪽으로 액셀페달을 쳐요.
아무래도 액셀 페달이 오르간식이 아니라 좀 다르게 하게 된듯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