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그...대우든 현대든 저상버스가 대부분 오토인걸로 알고있는데요(또한 오토만 탑승해봄)
저같은경우 45-35-25-12 인승등 모든 종류의 승합차류를 다 몰아봤습니다.
그렇다 보니 버스나 트럭류에 올라가는 오토미션이 갑자기 궁금해지더군요.(왜냐면 전 수동만 몰아봤으니..;;)
자동변속기는 전부 토크컨버터가 들어가는걸로 알고 있는데요. (DCT같은거 제외)
보통 승용차량의 오토미션의 경우 정지감속할시 아예 엔진동력을 끊어버리잖아요 미션 보호를 위해...
허나 버스의 경우 정지감속할때 한단한단 쉬프트 다운을 하는데(그로인해 충격이 쫌 있죠 ㅎㅎ) 이거야 뭐...버스를
몰아본 경험으론 배기브렠-엔진브레이크 가 절실히 필요하기때문에 이런걸로 알고 있기도 하구요.
그럼 토크컨버터이나 버스에 들어가는 토크컨버터는 일반 승용차용과는 틀린 건가요??
락업클러치도 저단에서 않걸리는 이유야 역시나 미션보호를 위해서라고 알고 있는데
제가 경험한 승용차중 5 06년식은 3단 5000rpm부터 락업이 걸리다가 변속때 락업이 풀렷다 4단 변속후 다시 락업이 걸리
는 순으로 진행이 되더군요.
Sm5 3-4단 과 같이 이런 과정들을 일일이 다 하면서 쉬프트 다운을 하는지...아니면 다른구조의 토크컨버터인지...
이것도 궁금하고 버스/트럭 미션은 수명도 많이 짧은지 이게 궁금하네요

고로 대형오토미션이라고 무조건 쉬프트다운이 적극적으로 일어나는 건 아니었다는 말이죠

처음 출발할때 모터소리 비슷하다가 갑자기 그그그극 소리가 난다던가...
분명 엔진음 비슷한 소리가 나면서 감속할때 rpm이 올라가는것같은데 타코메타를 가만히보면 거의 움직이지도않고.....
아 그리고 제가 사는 동네에 저상 대우버스인데 수동차량이있습니다....저상이 다 오토는 아니더군요...
저상 수동이 있다곤 들었는데...제가 자주타는 경산/대구 버스는 없었거든요 ㅎㅎ 저상버스 첨탈때 이상한 모터소리가 나길레 하이브리드인줄 알았습니다 ㅋㅋ 근데 오늘 타보니 토크컨버터 터빈음과 미션의 기어우는 소리가 동시에 나서 이상한 화음을 만드는거 같더군요 정차시 N에선 차량이 무척 조용했는데 이번에탄 버스기사분은 정차시 D에다가 계속 두시더군요 이때 모터소리가 굉장히 많이 났습니다. 물론 콤푸레셔 돌아가는 소리는 아니구요^^ 운전석이 높아 타코메터는 못봣지만... RPM이 유지되는게 락업이 수시적으로 그런거라고 추측이 되네요. 충격이 무척 심했으니깐요ㅎㅎ 답변 고마워요~~

D놓고 신호대기시 마치 아이들링스탑앤고비슷하게 N단으로 변속되는 로직이 있는 듯 하고
토크컨버터의 소리가 마지 터빈도는 소리..? 락업클러치 물리는 순간 휘이잉하고 부스트걸리듯한..? 굉장히 특수한 토크컨버터와 변속로직인듯 합니다. 그걸 더 개선한다면서 일부버스엔 차량 개선용 자료수집 중이란 푯말이 붙어있기도 했구요..
내구성이야 두말하면 잔소리겠죠.. 트럭이나 버스들은 폐차해도 엔진만 따로 떼어와 유압모터물려서 건설장비에 얹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내 메이져 고속버스(8대고속)들의 뒤를 따르실때에 고속도로에서 브레이크등이 들어온다면 제이크만으로 감속이 불가능한 상황에 어쩔 수 없이 밟는것이기 때문에 같이 제동 준비를 하시는게 안전합니다. 참고해주세요^^
저도 교육받았었습니다. 45-35 인승은 거의 맛보기 수준으로만 몰아보고... 본격적으로는 25를 몰개됬는데... 무거운 차체에 비해 브레이크 시스템이 너무너무 빈약하다보니 여름에 큰일나겟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정식교육으로는 아니었지만 군대에 있을때 6급 정비군무원분이 말씀해 주시더군요. 그때 저희 부대에 있던 카운티중 앞브레이크가 드럼식인 차량이 많았습니다...장축만 디스크브레이크였죠 ㅎㅎ 저를 좋아하셔서 이것저것 이야기 해주셨는데 대형이든 고속이든 중형이든 고속에선 브레이크 밟는거 아니라고 하셨어요 ㅎㅎ 배기로만 속도조절하라고요. 고속버스 뒤따라가다가 브레이크등에 불이 수시로 들어오는 차 뒤는 따라가지 말라고 하더라구요 ㅎㅎ그런사람은 시내버스몰다가 고속 처음 모는사람들이라고 그럴때는 그냥 추월하거나 하는게 안전하다고 했었어요. 그분도 고속 잠시 하셨더라구요 ㅎㅎ
실제로 무더운 여름에 시내주행을 계속 하다가 어느순간 브레이킹 능력이 갑자기 떨어져 버리더군요....많이 놀랐습니다;;이걸 군무원분에게 물어보니 카운티는 조심해야 된다라고 거듭 말하시더군요 ㅎㅎ
여튼 전역후 장거리 주행할때 좋은 버릇이 생긴거 같아서 좋습니다^^원랜 브레이크 자주밟는 버릇이 있었는데...군대에서 많이 변했죠(가장큰건 영관급-장군급 간부를 카운티로 모셨다는게 잴컷는듯 하네요...)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제가타본버스들은 모두 현대버스였구요... 듀얼클러치개념이라기보단 시퀀셜방식의 변속기로 알고있습니다.
버젼에따라 다르지만... 게트락제 미션이나 미제 엘리슨제 미션이 들어가는것으로 알고있구요...
버스 가끔 탈 때마다 변속기 소리를 신경 써서 듣는데, 아무리 들어봐도 토크 컨버터를 이용한 동력 전달 방식은 아닌 것처럼 들리더군요.
직결되는 소리와 느낌이고... 어떻게 들으면 영낙없는 도그 미션 소리가...
일단 검색한 바로는 토크컨버터를 채용하는게 맞는거 같긴 합니다 ㅎㅎ다만 대형용 ZF미션이 수동기반 자동변속기라는 소리도 있을걸로 봐선...미션자체는 수동로직인거 같기도 하네요...일반 오토처럼 유성기어가 아니라요. 또 큰토크를 버티기에는 헬리컬기어보단 도그기어(평기어)가 더 나으니 실제로 도그미션을 쓰는게 아닐까요??ㅎㅎ보통 1-2-3단에서 기어소리가 심하고 4단부턴 우는소리가 않나니 1-2-3단까진 평기어 4-5단은 헬리컬 쓰는거 같네요...현대가 이런 느낌이고...대우버스는 전체적 기어에서 우는소리가;;
버스 수동도 1단은 기어우는소리가 심하거든요. 수동1단에 도그기어가 들어가는듯...하네요 ㅎㅎ

거의항상 가혹모드 주행을 하니 튼튼하게 설계하지요
그러나 승용차처럼 다들 고질병은 갖고있구요
일반 승용차량들도 악셀 오프하고 속도 감속할때 속도영역에 맞춰 기어가 내려갑니다
다만 락업이 풀린채로 아이들링 rpm 근처에서 변속이 이루어지니 크게 느끼기가 힘들구요
감속시 기어변속후 rpm이 맞춰지는건 밋션 제어로직을 어떻게 짜느냐 차이입니다
제 생각은 대형차들의 경우 감속시 브레이크에 걸리는 부하가 엄청난 편이라 그 부하를 최대한 감소시키기 위해 적극적인 시프트다운을 하도록 설계하지 않았을까 하네요
그리고 락업클러치가 작동하는 부분도 여러가지 조건을 충족할때 붙습니다
예를들면 스로틀 개도량. 기어단수. 현재속도 등을 기준값으로 잡아서 작동하구요
요즘은 dct개발과 더불어 오토밋션의 락업클러치 동작구간을 2단까지 내리려고 애쓰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대부분의 토크컨버터방식 오토밋션 들은 3단부터 락업이 들어가구요
변속중에는 기어가 바뀌어야 하므로 락업이 풀리는게 정상입니다
락업클러치가 붙는다는게 수동밋션 클러치랑 거의 같은개념이라고 보면 되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