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얼마전 접촉사고로 뒷휀다 부위 파손이 있었습니다.
차량은 레인지로버 스포츠 차량이고 알루미늄 바디입니다.
랜드로버 A/S센터에 입고해 작업내용을 문의해 보니
측면유리탈거 후, 뒤 휀다 절단해서 작업한다고 얘기하더군요.
A/S센터에서는 절단 후 교체가 여러가지로 장점이 많다고 설명하는데,
제 상식선에서는 이해가 잘 안되는 부분들이 있어서요.
찢어짐이 있을 정도로 파손정도가 심하기는 합니다만 판금도 가능한 수준입니다.
(업체 문의결과 판금 가능하다고 얘기들었습니다.)
다만 A/S센터에서는 파손정도에 따라 작업내용이 결정되는데, 판금불가. 절단 후 교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가급적이면 차대 절단을 안하고 싶습니다.
차대절단 후, 작업이 나을지...
다른업체에서 판금작업하는 게 나을지...
고수님들 의견 부탁드립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사진이 없어서 모르겠지만 차대까지 안 들어갈걸요.. 절단이라도 겉 판이 있고 힘 받는 뼈대 부분이 있는데 겉판은 용접할 때 단차만 깔끔하게 맞추면 아무도 모릅니다.
그리고 만약 힘을 받는 부분이라면 한번 구겨졌던 철판보다는 제조사에서 명기한 대로 구조물을 잘라내고, 스트레스 받지 않은 새 철판으로 교체하는게 옳은 방법이겠죠.

알루미늄이 찢어질정도라면 판금을 한다한들 아무의미가 없다고 알고 있습니다.
외판이라지만 철판으로서 의미가 없는 수준의 강도가 된다고 하더군요.
오래탈차라면 정석대로 수리하는걸 권하고싶습니다.
어차피 리벳으로 처리하니..
개인적인 태클은 아닙니다 ^^ ;;
사고차와 무사고차라는건 차에 대한 지식이 없는 대중의 인식이니 질문자께서 결정하실 때 강성과 추가사고시 안전까지 수리한 "사고차"냐, 겉보기에만 멀쩡하게 붙여놓은 "무사고차"냐 라는걸 염두에 두셨으면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저를 포함해) 이인주님께서도 절단을 권하시는거 같습니다. (아니면 수정해주세요 ^^)
제 차도 (오래 탈 계획. 고로 보이지 않는 부분도 중요하고 중고차 가격 신경 안 씀.) 와인딩을 과격하게 하다가 뒷자리에 밸러스트(ㅋㅋ)님들이 계신걸 깜박하고 휙 날아가서 가드레일에 뒤 휀더가 뒷바퀴 뒤로 쓸리면서 찌그러지고 테일램프가 파손되었는데요 (프레임 이상 무, 바퀴 안 건드림), 판금이 $1500 교체가 $3000이었는데 절단후 용접교체 했습니다.
패널이 알루미늄이고 '찢어짐이 있을 정도'라면 그 패널의 수명은 끝났다고 보고, 신품으로 교체하는걸 권합니다. 망치로 탕탕 두들겨서 펴거나 퍼티로 면을 잡을 수준이 아니라면, 작업성도 그렇고, 향후 내구성도 그렇고 신품 교체가 좋을것 같습니다. 퍼티 떡칠해서 잡은 면보다는 차라리 제대로 작업한 새패널이 좋지 않을까 합니다. 물론 중고 판매시에는 설명이 잘 되어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