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흔히 " 현기차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초반에 움찔움찔 하지만
막상 풀 브레이킹 시에는 밀린다. 반면 외산차들은 리니어한 반응을 보인다." 라는 말씀들을 하시는데요
플로팅타입의 캘리퍼를 쓰는 브레이크 시스템에 한정해서, 이 브레이킹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요소가 어떤 것이있나요? 혹시 캘리퍼가 아니라 마스터 실린더 쪽에서 뭔가를 다르게 세팅하나요?
또 비슷한 질문으로, 1P 캘리퍼(직경:57.2mm)를 XG2피스톤(직경42.9mm*2ea) 캘리퍼를 적용했을 때 피스톤 유효면적이 커져 페달이 푹~ 들어갈 것 같지만 막상 적용해보면 브레이킹 초반에 제동력이 몰리는 이유도 궁금합니다.
hydraulic system으로 구성된 브레이크 시스템은 말그대로 한정된 공간(브레이크 호스)에 들어있는 액체를 발로 밀어 반대편으로 힘이 전달되게 하는건데, 단순 맨발이 브레이크를 액체로 미는것은 물리적으로 힘이 못받쳐주니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부스터가 존재하죠. 캘리퍼 피스톤이 1P에서 2P, 그리고 4P로 간다고 브레이크 성능이 무한적으로 좋아지는건 아니구요, 커지는 힘의 전달 방식만큼 미는 힘도 좋아져야 하기에 부스터/실린더가 업그레이드 되는게 맞습니다.
페달을 밟았는데 밀리는 느낌이 있다면 여러 요소가 적용될수 있지만 제 생각에는, 브레이크 페드의 제질 문제 (처음은 잘 잡히나 열받으면서 마찰력을 잃는다는 가정), 브레이크 부스터/실린더의 결함 내지 턱없이 모자란 힘의 전달 일듯 하네요.
페달을 밟았는데 밀린다고 하는 사람들 중에 충분히 밟고 불평하는 사람 한번도 못 봤습니다. 브레이크가 밀린다는건, 페달 스트록이 부족해서 바닥까지 다 밟았는데 제동이 안되는 경우입니다. 진짜 밀려 본 사람은 밀렸다고 얘기 하기 전에 이미 브레이크 새로 맞추고 있습니다........ 온 몸에 털이 서다 못해 빠질 지경이거든요.

제가 글쓰기 능력이 부족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좀더 설명을 드리자면
'현기차는 외산차와는 달리 초반에 잘잡히고 후반에 밀린다' 는 말에서 현기차,외산차의 세팅의 차이를 논하는 것 같은데, 그런 느낌을 내게 하는 '세팅법'이 있느냐?하는 것입니다.
가장 접근하기 쉬운 방법으로는 진공 부스터의 힘과 마스터:캘리퍼 피스톤 직경 비율이 있겠네요.
---------------------------------------------------------------------------------------------------------------------------------
초반에 "보다 민감"한건 후반에 밀리는거랑 동일하지 않습니다. 현기차 ABS 안 걸리고 차바닥까지 풀 브레이킹 할 수 있으면...... 제가 틀렸다는 걸 인정하겠습니다 ㄷㄷㄷ
그리고, 빡세게 안(못) 달리는 사람들은 브레이킹 커브가 자기 입맛에 안 맞으면 심하게 신경을 쓰는데요..
페달을 0-1-2-3-4-5-6-7-8-9-10 밟을 때 브레이크가
현기차 0-3-4-5-5-6-7-8-9-10-10
제차 0-.5-1-2-3-4-5-7-8-9-10
이런식으로 가는데..
운전자가 본인의 한계로 인해 제동력 5정도를 "풀 브레이킹" 이라고 인지하고 있다거나
타이어 그립이 3이던가 -_-;
운동 에너지는 속도에 비례하지 않고 속도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210으로 달릴 때는 70킬로보다 3배가 아니라 9배 세게 밟아야 차가 서는데, 언제나 남을 해할 수 있는 코끼리 무게의 쇳덩이를 지구상의 그 어느 동물보다 빠르게 운행하면서, 기본적인 물리 지식도 없이 다니거나.. 그러면 "현기차 브레이크는 밀린다" 라고 자신 있게 말 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어차피 대중이 말하는 "본인"의 생각이라는 것은 다 어디서 듣고 온 남의 생각이라.... 근거 없는 (또는 논리적 오류가 있는) 헛소리도 빨리 퍼집니다 ㅋㅋ
제 요지는, 브레이킹의 리니어리티 셋팅 중요한 요소인거 맞는데, 그거랑 현기차 밀리는거랑은 별 상관이 없다는 겁니다 왜냐면 현기차 브레이크 (제동 성능으론) 하나도 안 밀리거든요. 페달 더 밟으면 되는데. 제가 개인적으로 (익숙하지 않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혐오 하는 셋팅이긴 하지만 현대 차만 그런것도 아닙니다. 도요타 캠리, 크라이슬러 200, 혼다 씨빅 다 제가 싫어하는 현기같은 브레이크였지만 씨빅 Si 브레이크 밀린다는 사람은 한번도 못 봤습니다.
그리고 일단 "현기차 vs 외산차" 로 구분 하는 사람들과 자동차 얘기를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현대가 세계 1위 자동차 기업이라 현대 against the world도 아니고 말이죠...
전 지금까지 순정 브레이크 (또는 중고차에 달려 있던 사제 브레이크) 가 특별히 불편하지 않고, 차 살 때 시승시 체그해보기 때매 굳이 초반에 민감한 브레이크를 리니어하게 개조 할 모티브가 없었습니다만, 정말 알고 싶으시다면 브레이크 민감하기로 유명한 차들의 부스터 직경, 브레이크 많이 쓰는 상태의 엔진상태에서 진공, 마스터실린더 구조 및 직경 보면 뭔가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패드, 로터, 타이어, 전후륜 서스펜션, 전후좌우 무게배분, 차량 총 중량
정도이지 않을까 합니다. ㅎㅎ;;
깊게 밟고 싶으신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