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9
핫클립 보면서 코너구간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용어를 잘모르겠어요 ㅠ.ㅠ
휠스핀 나면서 돌아나가는것을 무슨기술이라고 하나요? 정확한 용어가? 힐엔토? 와인딩?
1. 전륜과 후륜차 둘다 그기술이 가능한지요.
2. 원심력이 생길텐데요.. 앞바퀴의 방향은 회전방향과 반대인가요?
3. 속력을 내다가 핸들꺽고 브레이크를 밟는기술인가요?
동영상 보다가 궁금해서 올려봅니다..
날더운데 수고하시구용..^^
휠스핀 나면서 돌아나가는것을 무슨기술이라고 하나요? 정확한 용어가? 힐엔토? 와인딩?
1. 전륜과 후륜차 둘다 그기술이 가능한지요.
2. 원심력이 생길텐데요.. 앞바퀴의 방향은 회전방향과 반대인가요?
3. 속력을 내다가 핸들꺽고 브레이크를 밟는기술인가요?
동영상 보다가 궁금해서 올려봅니다..
날더운데 수고하시구용..^^
2006.08.17 17:06:40 (*.77.30.97)

조현민님께서 잘 설명해주셨습니다.
후륜이 훨씬 쉽게 할 수 있고, 전륜은 계속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어렵습니다.
카운터 스티어링은 뒤가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스티어링을 꺽는 것을 말합니다.
처음에 뒤를 날릴 때는 사이드 브레이크를 사용한 것입니다. 풋 브레이크를 사용해서는 연출하기가 어렵습니다.
후륜이 훨씬 쉽게 할 수 있고, 전륜은 계속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어렵습니다.
카운터 스티어링은 뒤가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스티어링을 꺽는 것을 말합니다.
처음에 뒤를 날릴 때는 사이드 브레이크를 사용한 것입니다. 풋 브레이크를 사용해서는 연출하기가 어렵습니다.
2006.08.17 17:45:25 (*.151.191.38)
답글 감사합니다.. 궁금증이 해소되었습니다..
수동차에서만 가능한가요? 일반공도에서 저렇게 타면 위험하겠죠? ^^
한번쯤 해보고 싶은 기술이네요. 어느정도의 내공이 싸여야 가능할까요..?
그럼 하체가 탄탄한 차가 아니면 다소 위험하겠네요..
1 궁금한거 하나만 더요.. 카운터스티어에서 그럼 방향은 반대로 어느정도 꺽어야 하나요?
이것도 속도와 여러가지 반응을 봐야 하는거겠죠?
2. 차의 출력을 높이면 최고속의 차이가 어느정도 생기나요?
또한 그럼 차의 출력을 높이는 방법은?
없나요?
궁금한 사항이 넘많네요..^^
수동차에서만 가능한가요? 일반공도에서 저렇게 타면 위험하겠죠? ^^
한번쯤 해보고 싶은 기술이네요. 어느정도의 내공이 싸여야 가능할까요..?
그럼 하체가 탄탄한 차가 아니면 다소 위험하겠네요..
1 궁금한거 하나만 더요.. 카운터스티어에서 그럼 방향은 반대로 어느정도 꺽어야 하나요?
이것도 속도와 여러가지 반응을 봐야 하는거겠죠?
2. 차의 출력을 높이면 최고속의 차이가 어느정도 생기나요?
또한 그럼 차의 출력을 높이는 방법은?
없나요?
궁금한 사항이 넘많네요..^^
2006.08.17 17:50:27 (*.151.191.38)
시간이 된다면 여기 횐님들 벙개나가서 많이 보고 배우고 싶네요..
벙개 있음 한번 나가겠습니당...^^
반갑게 맞아주삼... 워낙소심해서리.. ^^
아침저녁으로 날이 선선하고 춥기도 하네요 횐님들 건강 신경쓰세요..
벙개 있음 한번 나가겠습니당...^^
반갑게 맞아주삼... 워낙소심해서리.. ^^
아침저녁으로 날이 선선하고 춥기도 하네요 횐님들 건강 신경쓰세요..
2006.08.18 13:24:09 (*.223.79.141)

수동이고 오토고 튜닝카고 순정이고 간에 모든차가 다 되긴 합니다. 뒤가 날라갈때 카운터 스티어링을 얼마나 얼마동안 해주어야 하고 언제 풀어주어야 하는지는 100%그때그때 다르답니다.
2006.08.18 22:17:13 (*.236.41.54)
네 개인차 가 있다는 말씀이시죠..? ^^
근데 뒤를 날리는 운전기술은 지금까지 운전하면서 한번도 해본적이 없어서요..
신기하고 해보고도 싶지만 .... 무섭다는... ^^
근데 뒤를 날리는 운전기술은 지금까지 운전하면서 한번도 해본적이 없어서요..
신기하고 해보고도 싶지만 .... 무섭다는... ^^
2006.08.19 05:31:45 (*.215.1.110)

근데 뒤를 날릴 필요가 없어요 -ㅇ-;; 랠리 같은 극단적 코너링을 생각하시는게 아니라면 안날리고 빠른운전이 훨씬 더 높은 수준의 운전입니다.
2006.08.20 11:54:12 (*.237.219.204)

관성 드리프트처럼 좌우로 연속해서 칠 때는 스티어링을 꺽는 것이 아니라 스티어링을 놓으면 저절로 카운터 방향으로 돌아갑니다. 원하는 위치에서 스티어링을 잡아 멈추게 하고, 방향은 액셀링으로 조절합니다. 카운터의 양은 그때그때 다르며, 차의 뒷부분이 어느정도의 각도로 날라가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당연히 드리프트는 차를 빨리 가게하는데는 도움이 안됩니다만 익혀두면 한계그립주행을 하는 상황에서 차의 움직임에 빠르게 대처하는 능력이 길러집니다.
일반인들은 오버스티어 상황을 두려워하기 때문에 그립주행의 한계에 접근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드리프트나 오버스티어에 익숙한 사람은 뒤가 나르는 순간에도 가속패달과 스티어링 조작을 침착하게 해낼 수 있기 때문에 위기대처능력에서 차이가 납니다.
당연히 드리프트는 차를 빨리 가게하는데는 도움이 안됩니다만 익혀두면 한계그립주행을 하는 상황에서 차의 움직임에 빠르게 대처하는 능력이 길러집니다.
일반인들은 오버스티어 상황을 두려워하기 때문에 그립주행의 한계에 접근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드리프트나 오버스티어에 익숙한 사람은 뒤가 나르는 순간에도 가속패달과 스티어링 조작을 침착하게 해낼 수 있기 때문에 위기대처능력에서 차이가 납니다.
2006.08.20 12:12:54 (*.236.41.54)
네 그렇군요...
공부가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한번해봐야 겠네요.. 동규님이 말씀하신데로 한번 해볼께요..^^
공부가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한번해봐야 겠네요.. 동규님이 말씀하신데로 한번 해볼께요..^^
1. 전륜과 후륜차 4륜구동차 다 가능하지만 후륜차가 유리합니다.
2. 카운터스티어라고 해서 잘 보시면 앞바퀴 방향은 회전방향과 반대입니다.
3. 그렇게 간단히 설명할순 없지요. 속도를 내다가 핸들꺾고 브레이크를 밟아도 되기는 되지만, 다른 여러가지 바쁜 일들이 일어나구요. 브레이크를 안밟아도 되고, 브레이크가 아닌 악셀을 밟아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