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권영주님의 동영상에서 의문이 생겼습니다
Shift up 동작은
1) 엑셀레이터 페달에서 발을 뗀다
2) 엔진에서 바퀴로 힘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클러치를 밟지 않고 기어를 중립으로 뺄 수 있다(이 부분은 제가 이해를 잘 못 한 듯 합니다)
3) 적정 RPM으로 만든 다음 다음 단으로 기어를 넣으면 쑥 들어간다.
이렇게 기억이 됩니다만
1. 물려있던 기어를 뺄 때
: 엔진(아마도 rpm 게이지의 바늘)이 공회전 회전수 닿을 때 라고 하셨는데, 대개 휘발유 승용의 공회전은 700~800rpm 아니겠습니까. 그렇다면
"http://www.spinwheel.co.kr/turbo/mspeed.php#" (특정사이트 홍보는 아니고, 차량 속도 기어비 계산을 할 수 있는 tool이 이 사이트에 있습니다)
에서 보시듯, 제가 아반떼 1.5 수동으로 1단 2500rpm에 도달하였을 때 18km/h 인데
idle에 도달하였을 때 까지 기어를 빼지 않고 기다린다면 1단에서의 idle은 8km/h가 됩니다. 속력이 급격히 줄어들지요. 이 때 빼면 다음 단으로 올릴 수 없는 상황이 되고 맙니다.
권영주님 동영상에서는 엑셀레이터 페달에서 발을 떼자 마자 0단(중립)으로 빼는 조작을 하시는 것으로 보여지는데, 맞나요?
2. Shift up 동작을 할 때
: 다시 아반떼 1.5 차량으로 가겠습니다.
: 1단 3000 rpm에서 21km/h 입니다.
: 바로 엑셀레이터에서 발을 떼고 0단으로 가겠습니다
: 그 다음엔 rpm이 빨리 떨어지겠죠? 속력도 마찰로 인하여 줄어들 것입니다.
: 2단에서는 약 1700rpm에서 시속 21km가 될 것입니다. 그러나 속력이 약간 줄었다고 가정하여 19km/h라고 가정하면 1500rpm입니다.
: 이 때 클러치를 밟지 않고 2단으로 기어봉을 가져가면 '쏙'하고 들어간다... 가 맞나요?
3. Shift down 동작을 할 때
: 3단 5000rpm일 경우 91km/h가 됩니다.
: 2단을 넣고 싶다는 마음이 생긴 운전자가 일단 엑셀레이터에서 발을 떼고 기어를 0으로 뺍니다.
: 속력은 천천히 줄고 rpm은 좀 더 빨리 떨어지겠죠. 대략 60km/h라고 가정하겠습니다. 여전히 0단입니다
: 표를 보면 4800rpm이 되었을 때 시속 60km가 됩니다.
: 이 때는 엑셀레이터 페달을 4800rpm까지 밟은 다음 2단에 넣으면 '쏙'들어간다. 가 맞나요?
Shift up 동작은
1) 엑셀레이터 페달에서 발을 뗀다
2) 엔진에서 바퀴로 힘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클러치를 밟지 않고 기어를 중립으로 뺄 수 있다(이 부분은 제가 이해를 잘 못 한 듯 합니다)
3) 적정 RPM으로 만든 다음 다음 단으로 기어를 넣으면 쑥 들어간다.
이렇게 기억이 됩니다만
1. 물려있던 기어를 뺄 때
: 엔진(아마도 rpm 게이지의 바늘)이 공회전 회전수 닿을 때 라고 하셨는데, 대개 휘발유 승용의 공회전은 700~800rpm 아니겠습니까. 그렇다면
"http://www.spinwheel.co.kr/turbo/mspeed.php#" (특정사이트 홍보는 아니고, 차량 속도 기어비 계산을 할 수 있는 tool이 이 사이트에 있습니다)
에서 보시듯, 제가 아반떼 1.5 수동으로 1단 2500rpm에 도달하였을 때 18km/h 인데
idle에 도달하였을 때 까지 기어를 빼지 않고 기다린다면 1단에서의 idle은 8km/h가 됩니다. 속력이 급격히 줄어들지요. 이 때 빼면 다음 단으로 올릴 수 없는 상황이 되고 맙니다.
권영주님 동영상에서는 엑셀레이터 페달에서 발을 떼자 마자 0단(중립)으로 빼는 조작을 하시는 것으로 보여지는데, 맞나요?
2. Shift up 동작을 할 때
: 다시 아반떼 1.5 차량으로 가겠습니다.
: 1단 3000 rpm에서 21km/h 입니다.
: 바로 엑셀레이터에서 발을 떼고 0단으로 가겠습니다
: 그 다음엔 rpm이 빨리 떨어지겠죠? 속력도 마찰로 인하여 줄어들 것입니다.
: 2단에서는 약 1700rpm에서 시속 21km가 될 것입니다. 그러나 속력이 약간 줄었다고 가정하여 19km/h라고 가정하면 1500rpm입니다.
: 이 때 클러치를 밟지 않고 2단으로 기어봉을 가져가면 '쏙'하고 들어간다... 가 맞나요?
3. Shift down 동작을 할 때
: 3단 5000rpm일 경우 91km/h가 됩니다.
: 2단을 넣고 싶다는 마음이 생긴 운전자가 일단 엑셀레이터에서 발을 떼고 기어를 0으로 뺍니다.
: 속력은 천천히 줄고 rpm은 좀 더 빨리 떨어지겠죠. 대략 60km/h라고 가정하겠습니다. 여전히 0단입니다
: 표를 보면 4800rpm이 되었을 때 시속 60km가 됩니다.
: 이 때는 엑셀레이터 페달을 4800rpm까지 밟은 다음 2단에 넣으면 '쏙'들어간다. 가 맞나요?
2007.10.20 17:34:57 (*.214.84.253)

익숙해지면 기어를 빼는게 더 쉽겠지만, 처음에 감 잡기전에는 기어를 넣는 것보다 오히려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이 빼는 타이밍을 어려워 하시더군요.
한 남자가 회전문을 밀고 들어갑니다. 갑자기 차에두고 온 서류가 생각나 밀던 손을 거두고 뒤로 돌아섭니다. 회전문을 반대로 밀고 나갑니다.
기어를 빼는 순간은 바로 손을 거두고 뒤로 돌아서는 순간입니다. 다시 말해 엑셀에서 발을 떼자 마자 기어를 뺀다라기 보다, 엑셀을 떼는 바로 그 순간, 즉 손을 거두어 토크가 끊기는 그 찰나에 기어를 빼는 것입니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다면 가속중에는 무게중심이 뒤로 갔다가, 엑셀을 때면 앞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무게 중심이 뒤에서 앞으로 이동하는 순간 즉, 앞 뒤 무게배분이 같아져 어느 한쪽으로 토크가 걸리지 않는 순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기어에서의 힘의 방향전환과 차체의 중심이동은 드라이버가 느끼는데는 시간차가 있을 수 있지만, 같이 가는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차량의 기어는 진행중에는 회전문처럼 반대로 돌릴 수 없습니다만, 가속과 감속에 따라 끊임없이 진행방향 / 역방향으로 토크가 이동하는 원리를 이용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한 남자가 회전문을 밀고 들어갑니다. 갑자기 차에두고 온 서류가 생각나 밀던 손을 거두고 뒤로 돌아섭니다. 회전문을 반대로 밀고 나갑니다.
기어를 빼는 순간은 바로 손을 거두고 뒤로 돌아서는 순간입니다. 다시 말해 엑셀에서 발을 떼자 마자 기어를 뺀다라기 보다, 엑셀을 떼는 바로 그 순간, 즉 손을 거두어 토크가 끊기는 그 찰나에 기어를 빼는 것입니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다면 가속중에는 무게중심이 뒤로 갔다가, 엑셀을 때면 앞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무게 중심이 뒤에서 앞으로 이동하는 순간 즉, 앞 뒤 무게배분이 같아져 어느 한쪽으로 토크가 걸리지 않는 순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기어에서의 힘의 방향전환과 차체의 중심이동은 드라이버가 느끼는데는 시간차가 있을 수 있지만, 같이 가는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차량의 기어는 진행중에는 회전문처럼 반대로 돌릴 수 없습니다만, 가속과 감속에 따라 끊임없이 진행방향 / 역방향으로 토크가 이동하는 원리를 이용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2007.10.20 17:59:48 (*.138.67.171)

기어를 빼실때엔, 악셀 오프와 동시에 가볍게 손목스냅으로 톡~ 치시면 아주쉽게 빠집니다. 다운쉬프트시에 정확하게 rpm 보상하시기 어려우시면, 한번의 악셀링( 조금 여유있게)
하신 후 (만일 4단에서 3단으로 변속 하실거라면) 3단쪽으로 살짝 손목의 힘만으로 밀어주시면 부드럽게 들어가는 시점이 있으실 겁니다.
주의하실점은 무리한 힘으로 기어를 강제로 밀어넣으시면, 옥수수알들의 마찰음? 을 청각적 촉감적으로 느끼시게 되오니 주의를 요합니다. ^^;
하신 후 (만일 4단에서 3단으로 변속 하실거라면) 3단쪽으로 살짝 손목의 힘만으로 밀어주시면 부드럽게 들어가는 시점이 있으실 겁니다.
주의하실점은 무리한 힘으로 기어를 강제로 밀어넣으시면, 옥수수알들의 마찰음? 을 청각적 촉감적으로 느끼시게 되오니 주의를 요합니다. ^^;
2007.10.21 16:23:51 (*.226.209.9)

속도가 줄어 기어를 뺄때는 주로 기어가 3단이나 4단에 들어가 있지 1단에 들어가 있는 경우는 드뭅니다. 시내에서 정차할 때의 상황에서는 말이지요.
기어를 빼고 회전수가 내려가기를 기다렸다가 잽싸게 다음기어로 밀어넣는 것만은 아닙니다.
회전수가 하강하는 스피드 때문에 맞는 회전수를 그냥 지나쳐버려 회전수가 하강할 때 원하는 회전수가 되었을 때 가속패달을 미세하게 밟아 하강을 정지시킨 후 기어를 넣어야 실수가 없고, 이 부분이 가장 어려운 부분이기도 합니다.
회전수의 차이는 100rpm미만에서 살짝 하강할 때 넣어야 저항없이 들어가고 그렇지 않은 경우 억지로 넣어야하기 때문에 변속기에 좋지 않습니다.
이 100rpm 미만의 차이를 유지하는 순간에 회전수의 하강속도가 거의 0으로 만들어 집어넣을 수 있어야 완벽하게 시프팅을 할 수 있는 것이지요
기어를 빼고 회전수가 내려가기를 기다렸다가 잽싸게 다음기어로 밀어넣는 것만은 아닙니다.
회전수가 하강하는 스피드 때문에 맞는 회전수를 그냥 지나쳐버려 회전수가 하강할 때 원하는 회전수가 되었을 때 가속패달을 미세하게 밟아 하강을 정지시킨 후 기어를 넣어야 실수가 없고, 이 부분이 가장 어려운 부분이기도 합니다.
회전수의 차이는 100rpm미만에서 살짝 하강할 때 넣어야 저항없이 들어가고 그렇지 않은 경우 억지로 넣어야하기 때문에 변속기에 좋지 않습니다.
이 100rpm 미만의 차이를 유지하는 순간에 회전수의 하강속도가 거의 0으로 만들어 집어넣을 수 있어야 완벽하게 시프팅을 할 수 있는 것이지요
2007.10.22 01:09:48 (*.62.4.159)

현재 차량의 속력에 맞는 rpm에서 +100rpm 정도라면 바늘 하나 정도의 오차로군요. 오른손은 거들기만 할 뿐 실제로는 '발'기술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저도 연습삼아 몇번 해봤는데 쉬프트다운은 영 않되더군요^^ 성공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