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극한을 추구하는 F1이 왜 마그네슘 소재를 주조로 만드는지 처음엔 이해가 안가더군요.
그래서 생각해봤는데, 단조하고 주조하고 강성에서 차이가 난다면
소수점의 극한을 추구하는 레이싱에서 주조는 미친거 아니면 쓰지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여기서 고수님들 생각은 어떤지 모르겠네요.
마그네슘 소재자체는 가볍지만 알루미늄보다 부식에 약하고 깨지기 쉽기 때문에
F1에 공급되는 마그네슘은 단조로 대부분 제작을 하지만
F1 고강성 주조휠은 일반 주조휠과는 다른 공법으로 할거라고 생각이 드는군요.
그 비밀은 저도 모르겠습니다. 물론 일급비밀이겠죠-_-;
혹시 고강성 주조휠을 제작하는 방법을 아시는분 계신가요?
실제로 F1 고강성 주조휠 제조공법으로 만든 오즈 제레라휠 강성이 상당히 좋다고 하네요.
일체식에 제레라 오너분이 하시는말씀이 요철이나 맨홀 잘못밟으면,
로워암 망가지고 링크 다 휘어도 휠은 멀쩡하다는...OTL
그래서 생각해봤는데, 단조하고 주조하고 강성에서 차이가 난다면
소수점의 극한을 추구하는 레이싱에서 주조는 미친거 아니면 쓰지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여기서 고수님들 생각은 어떤지 모르겠네요.
마그네슘 소재자체는 가볍지만 알루미늄보다 부식에 약하고 깨지기 쉽기 때문에
F1에 공급되는 마그네슘은 단조로 대부분 제작을 하지만
F1 고강성 주조휠은 일반 주조휠과는 다른 공법으로 할거라고 생각이 드는군요.
그 비밀은 저도 모르겠습니다. 물론 일급비밀이겠죠-_-;
혹시 고강성 주조휠을 제작하는 방법을 아시는분 계신가요?
실제로 F1 고강성 주조휠 제조공법으로 만든 오즈 제레라휠 강성이 상당히 좋다고 하네요.
일체식에 제레라 오너분이 하시는말씀이 요철이나 맨홀 잘못밟으면,
로워암 망가지고 링크 다 휘어도 휠은 멀쩡하다는...OTL
2008.01.26 14:56:34 (*.193.141.132)

안녕하세요 이대현님^^
단조휠과 제레라 비교하면 주조휠은 한계가 있을까요?
F1 공법으로 만들었다고해서 비교대상은 아니겠군요.
마케팅 차원으로 봐야될지 실제적으로 어떤지는 잘 모르겠거든요.
단조휠과 제레라 비교하면 주조휠은 한계가 있을까요?
F1 공법으로 만들었다고해서 비교대상은 아니겠군요.
마케팅 차원으로 봐야될지 실제적으로 어떤지는 잘 모르겠거든요.
2008.01.26 19:06:15 (*.155.206.183)

단조나 주조의 강성이 무조껀 한쪽이 강하다고 말하긴 좀...^^
휠에 따라서 디자인에 따라서 메이커에 따라서 달라질수 있기에...
저도 울트라 레제라는 2번이나 깨먹었는데용 ㅋㅋㅋ
휠에 따라서 디자인에 따라서 메이커에 따라서 달라질수 있기에...
저도 울트라 레제라는 2번이나 깨먹었는데용 ㅋㅋㅋ
2008.01.26 19:20:28 (*.193.141.132)

사실 그 소문듣고 무지막지한 휠이라고 생각했는데
레제라휠도 결국은 깨진다고 하시니까
강성에 대한 환상이 좀 사라지네요
테드회원님들 댓글 감사합니다^-^
레제라휠도 결국은 깨진다고 하시니까
강성에 대한 환상이 좀 사라지네요
테드회원님들 댓글 감사합니다^-^
2008.01.26 21:10:59 (*.62.84.78)

레이싱 휠이 마그네슘으로 바낀건 제가 알기론 진동 흡수력이 놉고 놉은 열전도율과 열변형치수가 적어서인걸로 아는데요...예전 f1 레이스중 휠이 날아가는 경우가 많이 있었는데 알미늄 휠같은경우 진동이 생겨나게 돼면 휠볼트의 치수변화로 인해서 볼트가 안풀리거나 꼽을떄 빡아가 나거나 하는데.. 그로인한 문제점을 재료로 원천적인문제를 해결한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말주변이 없어 혼란스럽겠네요 ...;; 김재우님 말씀대로 휠의형상과 휠의 무개배분이 어떻해 돼어있느냐에 따라 강성은 좌지우지 돼고 주행조건도 좌지우지 돼지요 엔케이휠 같은 경우 보통 단조휠보다 (8천톤프레스) 놉은 만톤이 넘는 프레스로 가공돼지요핵탄두 조립하는 프레스지요... 그장비를 이용한 마케팅에 소비자가 현혹돼어지는것인거같네요
2008.01.26 21:51:32 (*.229.116.62)

유성빈님 의견에 신뢰감이 가네요. 포뮬라원에선 열변형 억제와 무게가 관건일듯 싶습니다. F1 머쉰 타이어는 편평비가 높고, 수시 교환으로 강성메릿을 생각보다 필요치 않을듯 싶습니다.
2008.01.26 22:33:11 (*.193.141.132)

F1에서 마그네슘을 쓰는 이유를 몰랐는데, 유성빈님께서 설명해 주셔서 이해가 되었네요^-^ 일단 단조 주조 따지기 보다는 사용용도를 정하고, 메이커를 선택하고 주행에 맞는 디자인을 골라야겠네요
2008.01.27 22:01:32 (*.118.219.181)

요즘 사용되는 F1 마그네슘휠은 다 단조제법입니다. BBS,OZ,ENKEI 가 스폰서쉽을 가지고 제공하고 있지요. 예전엔 마그네슘을 단조로 제조할 기술이 없었기에 주조마그네슘휠을 사용한거 뿐이지요. OZ 의 울트라레제라휠은 F1 에 납품하는 OZ 스폰의 마그네슘단조휠과 제조법도 제조공장도 틀립니다. F1을 이용한 마케팅일 뿐이지요. ENKEI 의 경우도 양산모델들은 대부분 주조휠입니다. 가압주조방식을 이용해 단조 공법보다 저렴한 방법으로 필요한 강성을 얻는 휠을 만듭니다만, 단조보다는 아무래도 떨어지겠지요. 그리고..만톤 프레스제조는 레가마스터휠로 알고 있습니다만.. 프레스압력도 중요하지만, 실제로 휠제조에 쓰이는 프레스인가와 그 제조과정이 더 중요합니다. 단조공법도 고유기술에 따라 각 제조공장마다 조금씩 틀리기 때문이지요..
소문이 아닐까 한데요...
에프원 타이어 2kg의 비밀...대단하지 않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