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이번에 로터가 변형이 되어서 연마후에 다시 변형된듯하여 교체하려고 합니다만
평소 로터관리에 전혀 무지하여 질문드립니다
1,어떤분이 로터도 소모품이라 패드두세번에 한번은 교체해야한다고 하더군요
사용하는 패턴에따라 스포츠드라이빙 같이 강한 답력의 브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부드러운 브레이킹만 사용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통상 어떤때 교체하는지요?
키로수인가요? 패드교체수도 인덱스가 될까요?
2,써킷주행시 써킷주행 한두번에도 패드를 교체하게 되는지요?
겪어보신분들 의견좀 부탁드립니다
평소 로터관리에 전혀 무지하여 질문드립니다
1,어떤분이 로터도 소모품이라 패드두세번에 한번은 교체해야한다고 하더군요
사용하는 패턴에따라 스포츠드라이빙 같이 강한 답력의 브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부드러운 브레이킹만 사용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통상 어떤때 교체하는지요?
키로수인가요? 패드교체수도 인덱스가 될까요?
2,써킷주행시 써킷주행 한두번에도 패드를 교체하게 되는지요?
겪어보신분들 의견좀 부탁드립니다
2008.01.30 20:07:39 (*.133.99.152)

1. 로터는 닳아서 두깨가 얇아졌을 경우, 통상 2mm 이상 두께가 얇아졌을 경우 교환해야 합니다. 물론 디스크가 휘어서 교환하는 경우도 있는데 그렇지만 않다면 반드시 패드 두세번 교환한다고 갈 필요는 없죠.
2. 제 경우 서킷 주행 한 두번 해서는 전혀 이상없었습니다. 쏘나타2로 용인 에버랜드 스포츠주행(30분동안 풀타임으로 돌았습니다) 두세번에 문막 발보린모터파크에서도 30분씩 돌고 평소에 몰고 다녀도 4만키로동안 교환하지 않았습니다. 투스카니 역시 태백 서킷도 여러번 탔는데 그정도로 특별한 이상은 느끼지 못했습니다. 아무튼 패드가 경화나 변질되지 않는 이상 마모한계까지 타는 것이 교환주기가 되겠죠.
2. 제 경우 서킷 주행 한 두번 해서는 전혀 이상없었습니다. 쏘나타2로 용인 에버랜드 스포츠주행(30분동안 풀타임으로 돌았습니다) 두세번에 문막 발보린모터파크에서도 30분씩 돌고 평소에 몰고 다녀도 4만키로동안 교환하지 않았습니다. 투스카니 역시 태백 서킷도 여러번 탔는데 그정도로 특별한 이상은 느끼지 못했습니다. 아무튼 패드가 경화나 변질되지 않는 이상 마모한계까지 타는 것이 교환주기가 되겠죠.
2008.01.30 20:15:34 (*.34.101.144)
1. 마찰방식이니 당연히 소모품이죠^^ 디스크 교체하면 브레이킹 답력이 굉장히 달라집니다. 완전 새차같은 느낌?;
2. 사람에 따라 다르지않을까요? 전 스피드페스티벌 뛸때도 마모인디케이터가 로터 긁어서 '극극'대는 소리나올때까지 사용했습니다. 그러한 선수들 꽤 많았습니다.
보통 3~4경기는 가더군요.......
대신 열변형이 생기다보니 서킷주행하고나서 한동안은 브레이크 답력이상현상에 시달려야했습니다; 좀 사용하면 표면이 연마되서 괜찮아지죠......
2. 사람에 따라 다르지않을까요? 전 스피드페스티벌 뛸때도 마모인디케이터가 로터 긁어서 '극극'대는 소리나올때까지 사용했습니다. 그러한 선수들 꽤 많았습니다.
보통 3~4경기는 가더군요.......
대신 열변형이 생기다보니 서킷주행하고나서 한동안은 브레이크 답력이상현상에 시달려야했습니다; 좀 사용하면 표면이 연마되서 괜찮아지죠......
2008.01.30 23:44:59 (*.11.15.144)

경험담들 고맙습니다 많은 참고 될것입니다
제경우 작년에 여러번 안산을 들어가고 태백도 다녀오고도 전혀 문제 없었으나
이번에 새패드교체후 용인 한타임과 안산 하루 서너타임 만에 브레이크 경고등이 들어오고
브레이킹시 드드드득하며 흔들리는듯한 로터변형소견이 나타나서
판단이 잘서지 않았읍니다
한두번의 빡센 주행에도 패드가 얼마든지 못쓰게 될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겠군요
제경우 작년에 여러번 안산을 들어가고 태백도 다녀오고도 전혀 문제 없었으나
이번에 새패드교체후 용인 한타임과 안산 하루 서너타임 만에 브레이크 경고등이 들어오고
브레이킹시 드드드득하며 흔들리는듯한 로터변형소견이 나타나서
판단이 잘서지 않았읍니다
한두번의 빡센 주행에도 패드가 얼마든지 못쓰게 될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겠군요
2008.01.31 00:09:10 (*.229.116.62)

메탈성분이 많은 패드의 경우, 로터가 이내 변형되더군요.
스포츠급 패드에는 쉽사리 변형이 오지않습니다. 브레이크 필링에 민감하시면 변형에 의한 저더 정도에 따라 심해지면 교환하시면 될듯 하고, 저더가 없어도 마모도가 깊어지면 '배지운님 기준참고' 적당한 시기에 교환하는게 좋을듯 합니다.
같은 패드,로터를 썼을때 안산트랙은 상대적으로 로터공격성이 높더군요.
스포츠급 패드에는 쉽사리 변형이 오지않습니다. 브레이크 필링에 민감하시면 변형에 의한 저더 정도에 따라 심해지면 교환하시면 될듯 하고, 저더가 없어도 마모도가 깊어지면 '배지운님 기준참고' 적당한 시기에 교환하는게 좋을듯 합니다.
같은 패드,로터를 썼을때 안산트랙은 상대적으로 로터공격성이 높더군요.
2008.01.31 01:14:46 (*.34.71.62)

순정 디스크 로터와 튜닝용으로 나오는 경량 디스크 로터의 내구성 차이는 얼마나 있을까요?? HD 브레이크 업글을 고려 중인데.. 약 1.4kg의 무게와 30만원을 맞바꿔야 하는 상황이라서 어떤 옵션이 나을지 궁금합니다.^^
2008.01.31 04:47:07 (*.235.32.54)
음... 제 경우는 아니고
얼마전 트랙 같이 가셨던 김돈영님이 빌리신 350z 렌트카의 경우
하루 풀 타임 뛰고 나니 패드 인디케이터에서 쇠긁는 소리가 벅벅 나더군요....
제 경우는 평균적으로 패드 두번 갈 때 로터 한번 갈아주자는 주의입니다...
이번에 앞쪽 로터와 패드는 다 갈아줘야 하겠더군요....
얼마전 트랙 같이 가셨던 김돈영님이 빌리신 350z 렌트카의 경우
하루 풀 타임 뛰고 나니 패드 인디케이터에서 쇠긁는 소리가 벅벅 나더군요....
제 경우는 평균적으로 패드 두번 갈 때 로터 한번 갈아주자는 주의입니다...
이번에 앞쪽 로터와 패드는 다 갈아줘야 하겠더군요....
2008.02.01 00:01:43 (*.212.116.77)
브레이크 로터의 권장교환주기는 10만Km입니다...(메뉴얼에 그렇게 있네요.)
하지만 국산차량의 경우 열변형으로 인해서 그전에 교환을 하는경우가 많이 있지요..
고로 디스크로터의 교환은 그냥 신경끄고 살다가 고속에서 브레이킹시 핸들이 두두둑 떤다면 교체하시면 되겠습니다...(두두둑 떨어도 교체하기 싫다라고 생각하시면 고속에서 브레이크를 살짝 연마한다고 생각하시고 길~게 잡아주시면서 좀더 다니시면 다시 많이 괜찮아 진답니다... 제가 사실은 기존에 두두둑 떤다고 버리려고 빼내신 로터를 제차에 끼우고 길들여서 엄청 오래탔습니다... 얼마전에 빼냈네요..빼내고 보니 신품과 별로 차이가 없어서.. 그것을 다른분에게 넘겨서 더 타신다는거....고로 잘 사용한다면 10만Km 까지 타신다고 생각하시면되겠습니다..)
하지만 국산차량의 경우 열변형으로 인해서 그전에 교환을 하는경우가 많이 있지요..
고로 디스크로터의 교환은 그냥 신경끄고 살다가 고속에서 브레이킹시 핸들이 두두둑 떤다면 교체하시면 되겠습니다...(두두둑 떨어도 교체하기 싫다라고 생각하시면 고속에서 브레이크를 살짝 연마한다고 생각하시고 길~게 잡아주시면서 좀더 다니시면 다시 많이 괜찮아 진답니다... 제가 사실은 기존에 두두둑 떤다고 버리려고 빼내신 로터를 제차에 끼우고 길들여서 엄청 오래탔습니다... 얼마전에 빼냈네요..빼내고 보니 신품과 별로 차이가 없어서.. 그것을 다른분에게 넘겨서 더 타신다는거....고로 잘 사용한다면 10만Km 까지 타신다고 생각하시면되겠습니다..)
강한 답력보다 패드의 재질에 더 큰 영향을 받는 듯 합니다.
통상은 로터의 파임 정도에 따라 교체를 결정하는 편입니다.
로터의 파임이 깊어질수록 브레이크 초기답력이 늦어지며 브레이킹이 깊어지게 됩니다.
2. 써킷 주행은 과도한 풀브레이킹의 연속이기에 어떤 패드를 쓰느냐에 따라 달라 집니다만 저처럼 스피드페스티발을 뛰는 선수들중에는 상위권 선수는 패드는 1회용입니다.
과도한 브레이킹은 패드의 경화를 초래하며 재질의 변질까지 발생시키기도 합니다.
저는 무엇보다 습관대로 운전하는 것이 불편해졌다면 교체주기로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