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최근에 마이바흐 62s 를 자세히 관찰할 기회가 있었는데요
보다 보니 전륜에 캘리퍼가 두개나 붙어 있더군요
후륜에 캘리퍼가 두개 인것은 봤는데 전륜에 두개는 처음 보는거 같습니다
그 크기도 거대 했습니다 ㅡㅡ; 왜 전륜에 캘리퍼를 두개나 두었나 궁금합니다...
보다 보니 전륜에 캘리퍼가 두개나 붙어 있더군요
후륜에 캘리퍼가 두개 인것은 봤는데 전륜에 두개는 처음 보는거 같습니다
그 크기도 거대 했습니다 ㅡㅡ; 왜 전륜에 캘리퍼를 두개나 두었나 궁금합니다...
2008.02.06 12:44:31 (*.178.193.68)
차 무게가 3톤에 육박합니다. 무게가 무거운만큼 제동력을 분배해서 제동을 걸어야겠지요.
근데 4P 두개네요. 제 생각으로는 8P나 12P 한개가 낫지 싶은데 일부러 4P두개로 짤라논걸
보면 그게 더 효율적이어서 그런게 아닌가 싶습니다. 아니면 의외로 단순하게 8P캘리퍼
(예전 E55에서 쓰던)로는 부족하고 따로 12P(아직 벤츠에서 안쓰죠?)를 새로 달기는
그렇고 해서 4P두개를 낀게 아닌가 하네요.
근데 4P 두개네요. 제 생각으로는 8P나 12P 한개가 낫지 싶은데 일부러 4P두개로 짤라논걸
보면 그게 더 효율적이어서 그런게 아닌가 싶습니다. 아니면 의외로 단순하게 8P캘리퍼
(예전 E55에서 쓰던)로는 부족하고 따로 12P(아직 벤츠에서 안쓰죠?)를 새로 달기는
그렇고 해서 4P두개를 낀게 아닌가 하네요.
2. 무게에 따른 브레이크 내구성 증대 -> 분배
3. 브레이크 패드 수명 연장 -> 비용 절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