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군생활중인 이민재라고합니다
부대에서 정비학 공부하다가 막히는부분은아니고 책이 좀옜날책이라 현재도 이런 식으로 사용하는지
궁금한게 몇개있어서 질문올립니다 .
최신책인데도 불구하고 만든 날짜는 90년대 후반이네요 그래서 한번 최신 정비학도 이런가 하고 궁금해서올립니다.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그럼 이제 질문들어갑니다.
(혹여 이런질문을 올릴만한 자동차 정비학 사이트를 아시는분은 좀 알려주시길 ^^..)
1.엔진형식에서 4행정이 벨브기구가 복잡하여 충격이나 기계적소음이 크다 라고하는데 현재도 그러한지
궁금합니다. 오히려 제 느낌은 2행정이 충격이나 기계적소음이더크다고 느꼈는데.. 맞는지요?
2. 2행정이 연료소비율이 높고 배기행정이 불안정 저속이 어렵고 역화현상이생기며 평균유효 알벽및 효율을 높이기 어렵다고 나와있는데 현재도 그러한지 궁금합니다.
제가 타본 2행정바이크는 연료소비율이 꽤좋았는데..무게대비 때문에 연비가 좋은건지..궁금합니다
3.4기통의 폭발순서가 1-3-4-2 6기통은 1-5-3-6-2-4 순인데 폭발간 의충격완화를 위해 이렇게 해놓은건지
아니면 캠의 형태 때문에 이렇게 돼있는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현재도 주로쓰이는순서가 이순서인지도 궁금하네요
4.밸브배치에서 I헤드형이 가장많이쓰이고 그외에 L.F.T형 헤드가 있다고들었는데 L.F.T 는 현재 쓰이는
차가 거의없다고 나와있습니다. 혹시라도 쓰는차가있다면 어떤종류인지가 궁금하네요
5.실린더블록이 주철 ,알류미늄 합금이 주로쓰인다고 써있는데 최신의 차를 보면 '알루미늄블록'을 이용하여
경량화를 이끌어냈다 라는 말이 종종보이는데요
현재도 알루미늄으로 블록을 만들면 '우리는 알루미늄으로 했기에 가볍고 출력도높다!' 라고 하는 판인데
90년대의 책이 주로 알루미늄 합금과 주철을 쓴다고한 이유가궁금합니다.
분명 지금도 알루미늄블록을쓴 차가 얼마없는거보면 그때당시에는 더 레어했을탠데.. 책표기상의오류인지..
아니면 최신의 알루미늄블록과 알루미늄 합금은 다른종류인지.. 그리고 여기보면 알루미늄합금은
여러가지 단점이있다고 나와있는데 대부분 보강이됀건가요??
책에나와있는단점은 내구성의 단점이 나와있습니다.
6.연소실의 종류에 반구형 쐐기형등 다양한 연소실이있다고나왔는데 연소실을 주로쓴다고들었습니다
현재 양산차중에 반구형이아닌 차가있는지궁금합니다
7.주로쓰는 피스톤이 궁금합니다 책에는 스플리트피스톤이나 인바아 스트러트 피스톤 솔리드 피스톤
오오토더어믹 등이 나오는데 주로 뭘쓰는지요 ? 그리고 인비아나 오오토더어믹도 쓰이는지궁금합니다.
8.캠축설치위치에 따른분류시 DHC엔진 (over head camshaft engine) 이라고 나오는데
이게 OHC엔진 아닌지요.. 제 생각엔 잘못표기가됀게 아닌가싶은데.. 궁금합니다.
이상 8가지 질문으로 끝입니다 ^^
자동차쪽공부를 한기간이 짧아서 이질문이 난이도가있는질문인지
그냥 웃음이나오는질문인지는 솔직히 잘 가늠이 안됍니다.
그리고 테드에서 풀어줄수있는지도 궁금하기도 한데.. 몇몇 공학에관련됀 글에도 많은 토론이 이루어지는걸보고
혹해서 한번 올려봅니다.
아니면 이런질문을 풀어줄수있는 사이트라도 궁금하네요 ^^..
혼자공부를 하다보니 생기는 질문들 한번올려봤습니다
여기까지 봐주셔서 감사드려요~!
좀 늦었지만 새해복많이받으시길 ^^
부대에서 정비학 공부하다가 막히는부분은아니고 책이 좀옜날책이라 현재도 이런 식으로 사용하는지
궁금한게 몇개있어서 질문올립니다 .
최신책인데도 불구하고 만든 날짜는 90년대 후반이네요 그래서 한번 최신 정비학도 이런가 하고 궁금해서올립니다.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그럼 이제 질문들어갑니다.
(혹여 이런질문을 올릴만한 자동차 정비학 사이트를 아시는분은 좀 알려주시길 ^^..)
1.엔진형식에서 4행정이 벨브기구가 복잡하여 충격이나 기계적소음이 크다 라고하는데 현재도 그러한지
궁금합니다. 오히려 제 느낌은 2행정이 충격이나 기계적소음이더크다고 느꼈는데.. 맞는지요?
2. 2행정이 연료소비율이 높고 배기행정이 불안정 저속이 어렵고 역화현상이생기며 평균유효 알벽및 효율을 높이기 어렵다고 나와있는데 현재도 그러한지 궁금합니다.
제가 타본 2행정바이크는 연료소비율이 꽤좋았는데..무게대비 때문에 연비가 좋은건지..궁금합니다
3.4기통의 폭발순서가 1-3-4-2 6기통은 1-5-3-6-2-4 순인데 폭발간 의충격완화를 위해 이렇게 해놓은건지
아니면 캠의 형태 때문에 이렇게 돼있는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현재도 주로쓰이는순서가 이순서인지도 궁금하네요
4.밸브배치에서 I헤드형이 가장많이쓰이고 그외에 L.F.T형 헤드가 있다고들었는데 L.F.T 는 현재 쓰이는
차가 거의없다고 나와있습니다. 혹시라도 쓰는차가있다면 어떤종류인지가 궁금하네요
5.실린더블록이 주철 ,알류미늄 합금이 주로쓰인다고 써있는데 최신의 차를 보면 '알루미늄블록'을 이용하여
경량화를 이끌어냈다 라는 말이 종종보이는데요
현재도 알루미늄으로 블록을 만들면 '우리는 알루미늄으로 했기에 가볍고 출력도높다!' 라고 하는 판인데
90년대의 책이 주로 알루미늄 합금과 주철을 쓴다고한 이유가궁금합니다.
분명 지금도 알루미늄블록을쓴 차가 얼마없는거보면 그때당시에는 더 레어했을탠데.. 책표기상의오류인지..
아니면 최신의 알루미늄블록과 알루미늄 합금은 다른종류인지.. 그리고 여기보면 알루미늄합금은
여러가지 단점이있다고 나와있는데 대부분 보강이됀건가요??
책에나와있는단점은 내구성의 단점이 나와있습니다.
6.연소실의 종류에 반구형 쐐기형등 다양한 연소실이있다고나왔는데 연소실을 주로쓴다고들었습니다
현재 양산차중에 반구형이아닌 차가있는지궁금합니다
7.주로쓰는 피스톤이 궁금합니다 책에는 스플리트피스톤이나 인바아 스트러트 피스톤 솔리드 피스톤
오오토더어믹 등이 나오는데 주로 뭘쓰는지요 ? 그리고 인비아나 오오토더어믹도 쓰이는지궁금합니다.
8.캠축설치위치에 따른분류시 DHC엔진 (over head camshaft engine) 이라고 나오는데
이게 OHC엔진 아닌지요.. 제 생각엔 잘못표기가됀게 아닌가싶은데.. 궁금합니다.
이상 8가지 질문으로 끝입니다 ^^
자동차쪽공부를 한기간이 짧아서 이질문이 난이도가있는질문인지
그냥 웃음이나오는질문인지는 솔직히 잘 가늠이 안됍니다.
그리고 테드에서 풀어줄수있는지도 궁금하기도 한데.. 몇몇 공학에관련됀 글에도 많은 토론이 이루어지는걸보고
혹해서 한번 올려봅니다.
아니면 이런질문을 풀어줄수있는 사이트라도 궁금하네요 ^^..
혼자공부를 하다보니 생기는 질문들 한번올려봤습니다
여기까지 봐주셔서 감사드려요~!
좀 늦었지만 새해복많이받으시길 ^^
2009.01.05 03:36:27 (*.71.144.46)

1.최신예 엔진들은 정말 놀랍도록조용합니다. 짧은예로10년전나온 도요타엔진은 체인 구동방식인데도 너무나도조용합니다
2.역시 최신예 바이크엔진들은 많이개선된부분도있찌만.역시4행정에비교해 2행정이 떨어집니다. 행정이"곡예"에가깝다고들 표현합니다 ?맞는표현이지만너무나도자연스런 곡예라..책에서 보는 엉터리엔진이아닙니다(아름다운 곡예? ㅎㅎ) 저는 처--음 2행정이란 것을 책으로보았을때 오해한부분이라...사족을붇여봅니다.
3. 폭발순서는 먼저 표를만들어보는것, 실제 엔진을 보는것등 이 이해가 빠르실것 같습니다. 지금도 크게틀리진않치만.여러가지엔진형식에따라 다른점화순서의 엔진도 양산되고있고..에코노믹(엔진운전?운영?)운전에따라.다른 점화순서를가진엔진들도 여러메이커에서 양산되고 있습니다(검색사이트에서-하이브리드쪽 최신기술등을 찾아보심면.이해및 도움이되지싶습니다)
4.이것도 안쓰고 있는것을 찾아보기힘들정도로 다양하게 적용되고있습니다(특히-바이크엔진) 한가지 기술이아닌장단점합친 퓨전?기술등으로
5.제가아는범위로는 알루미늄합금 블럭은 비교적 오래전부터 양산차에 적용되었고, 성능(내구성등..)이점점 좋아지고있습니다..현제여러메이커에서 사용하며 레어하지않습니다만... 과급등으로 파워를 올리는등에는 강성, 피막내구성? 부족합을 경험했습니다.보통 천기누설까진아니지만 디젤엔진등의 라이너를 삽입하는 방법, 반지?를 껴넣어주시는?방법도 사용합니다. 한가지더 극한?으로출력을 끌어올리는목적으로 주철블락의강성을높이는데는 엔진블락의워터라인을 베이클라이트등의 합성수지로 일부 (거의전부매웁니다)매워버린고강성을높인후 라이너컨디션을찾는등의방법도 사용합니다.헤드를적극적으로 냉각시키고 오일쿨러도 큰것으로..물론 블럭태생이 좋은 혈통도 중요합니다만..피스톤의재질,형상 크렝크저널등의 냉각에 신경을 많이쓰지않으면 않되는등 간단한 방법은 아닙니다.일부 에프터마켓튜닝파트메이커에서..컴플리트로 팔기도 합니다(대표적예가 닛산 RB엔진용 HKS의 2.8하이데키엔진.음..평이안좋은OS기연의3.0,등등이있습니다)이것은 그냥 공부하시기 지루하실까하여 제미로말씀드립니다.
6.제짧은 경험으로 순수 반구형을 찾아보기가 가장 힘들지 싶습니다.미제 스몰블럭이나 빅벨브sohc엔진등에서 본것으로기억이 가물가물..역시 여러가지 퓨전? 방식이많이적용되고있고 펜트루프가 많이쓰이지 않나싶습니다.하이브리드 ,직접분사 등으로 연소실은 정말 다양해진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7. 인비아나 오오토더어믹 의형상의피스톤을 제가 잘모르겠습니다. 역시 피스톤도 다양한 형상이사용되어지고있습니다.(짧은 경험으로는 켐그라운드에 솔리드타입이 국산차에자주보이는 것같습니다.인바스트럿 같은 보강제들어간피스턴은 예전..현데 sohc 2.4 엔진에 적용된적이있었습니다)
8.은..아마도 말씀하신대로 표기가..잘못된것으로 생각됩니다.
제-짧은 상식선에서 말씀드렸습니다만..저도 더 좋은 답변들 해주셔서 공부하시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작게?화이팅 해봅니다.
2.역시 최신예 바이크엔진들은 많이개선된부분도있찌만.역시4행정에비교해 2행정이 떨어집니다. 행정이"곡예"에가깝다고들 표현합니다 ?맞는표현이지만너무나도자연스런 곡예라..책에서 보는 엉터리엔진이아닙니다(아름다운 곡예? ㅎㅎ) 저는 처--음 2행정이란 것을 책으로보았을때 오해한부분이라...사족을붇여봅니다.
3. 폭발순서는 먼저 표를만들어보는것, 실제 엔진을 보는것등 이 이해가 빠르실것 같습니다. 지금도 크게틀리진않치만.여러가지엔진형식에따라 다른점화순서의 엔진도 양산되고있고..에코노믹(엔진운전?운영?)운전에따라.다른 점화순서를가진엔진들도 여러메이커에서 양산되고 있습니다(검색사이트에서-하이브리드쪽 최신기술등을 찾아보심면.이해및 도움이되지싶습니다)
4.이것도 안쓰고 있는것을 찾아보기힘들정도로 다양하게 적용되고있습니다(특히-바이크엔진) 한가지 기술이아닌장단점합친 퓨전?기술등으로
5.제가아는범위로는 알루미늄합금 블럭은 비교적 오래전부터 양산차에 적용되었고, 성능(내구성등..)이점점 좋아지고있습니다..현제여러메이커에서 사용하며 레어하지않습니다만... 과급등으로 파워를 올리는등에는 강성, 피막내구성? 부족합을 경험했습니다.보통 천기누설까진아니지만 디젤엔진등의 라이너를 삽입하는 방법, 반지?를 껴넣어주시는?방법도 사용합니다. 한가지더 극한?으로출력을 끌어올리는목적으로 주철블락의강성을높이는데는 엔진블락의워터라인을 베이클라이트등의 합성수지로 일부 (거의전부매웁니다)매워버린고강성을높인후 라이너컨디션을찾는등의방법도 사용합니다.헤드를적극적으로 냉각시키고 오일쿨러도 큰것으로..물론 블럭태생이 좋은 혈통도 중요합니다만..피스톤의재질,형상 크렝크저널등의 냉각에 신경을 많이쓰지않으면 않되는등 간단한 방법은 아닙니다.일부 에프터마켓튜닝파트메이커에서..컴플리트로 팔기도 합니다(대표적예가 닛산 RB엔진용 HKS의 2.8하이데키엔진.음..평이안좋은OS기연의3.0,등등이있습니다)이것은 그냥 공부하시기 지루하실까하여 제미로말씀드립니다.
6.제짧은 경험으로 순수 반구형을 찾아보기가 가장 힘들지 싶습니다.미제 스몰블럭이나 빅벨브sohc엔진등에서 본것으로기억이 가물가물..역시 여러가지 퓨전? 방식이많이적용되고있고 펜트루프가 많이쓰이지 않나싶습니다.하이브리드 ,직접분사 등으로 연소실은 정말 다양해진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7. 인비아나 오오토더어믹 의형상의피스톤을 제가 잘모르겠습니다. 역시 피스톤도 다양한 형상이사용되어지고있습니다.(짧은 경험으로는 켐그라운드에 솔리드타입이 국산차에자주보이는 것같습니다.인바스트럿 같은 보강제들어간피스턴은 예전..현데 sohc 2.4 엔진에 적용된적이있었습니다)
8.은..아마도 말씀하신대로 표기가..잘못된것으로 생각됩니다.
제-짧은 상식선에서 말씀드렸습니다만..저도 더 좋은 답변들 해주셔서 공부하시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작게?화이팅 해봅니다.
2009.01.05 15:30:17 (*.200.171.200)

1.엔진형식에서 4행정이 벨브기구가 복잡하여 충격이나 기계적소음이 크다 라고하는데 현재도 그러한지
궁금합니다. 오히려 제 느낌은 2행정이 충격이나 기계적소음이더크다고 느꼈는데.. 맞는지요?
==> 이젠 별로 의미가 없는 내용입니다... 기술적으로 극복한 방식인데요...저자의 공부한 시기가 아무래도 60년대 사람인것 같네요
2. 2행정이 연료소비율이 높고 배기행정이 불안정 저속이 어렵고 역화현상이생기며 평균유효 알벽및 효율을 높이기 어렵다고 나와있는데 현재도 그러한지 궁금합니다.
==> 2사이클 가솔린 엔진의 무게당/리터당 출력비율이 제일 높지만 리터이상급 가솔린엔진은 레이싱바이크용 엔진을 제외하고 이젠 없구요, 차량엔진용은 계속 연구개발만하고 배기가스와 연비문제로 더이상은 개발은 중지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3.4기통의 폭발순서가 1-3-4-2 6기통은 1-5-3-6-2-4 순인데 폭발간 의충격완화를 위해 이렇게 해놓은건지
아니면 캠의 형태 때문에 이렇게 돼있는건지 궁금합니다.
==> 이번에 야마하에서 2009년식 R1 적용된 90도크랭크의 부등간격 점화방식 엔진이 요즘 이슈입니다....
쉽게 180도 위상 점화(4기통 기준)와 60도 위상 점화(6기통 기준)차이 입니다... 쉽게 폭발간격의 차이입니다...
4.밸브배치에서 I헤드형이 가장많이쓰이고 그외에 L.F.T형 헤드가 있다고들었는데 L.F.T 는 현재 쓰이는
차가 거의없다고 나와있습니다. 혹시라도 쓰는차가있다면 어떤종류인지가 궁금하네요
==> 거의 의미가 없을것 같은데요... 옛날 기술입니다.... 별로 요즘에 나오는 책에서는 기술하지도 않는 부분인데요
5.실린더블록이 주철 ,알류미늄 합금이 주로쓰인다고 써있는데 최신의 차를 보면 '알루미늄블록'을 이용하여
경량화를 이끌어냈다 라는 말이 종종보이는데요
현재도 알루미늄으로 블록을 만들면 '우리는 알루미늄으로 했기에 가볍고 출력도높다!' 라고 하는 판인데
90년대의 책이 주로 알루미늄 합금과 주철을 쓴다고한 이유가궁금합니다.
분명 지금도 알루미늄블록을쓴 차가 얼마없는거보면 그때당시에는 더 레어했을탠데.. 책표기상의오류인지..
아니면 최신의 알루미늄블록과 알루미늄 합금은 다른종류인지.. 그리고 여기보면 알루미늄합금은
여러가지 단점이있다고 나와있는데 대부분 보강이됀건가요??
==> 음... 주철블록과 알로이블록의 차이라면 아무래도 30%정도 무게 절감과 냉각시스템의 고효율이라고 할까요
6. 연소실의 종류에 반구형 쐐기형등 다양한 연소실이있다고나왔는데 반구형 연소실을 주로쓴다고들었습니다
현재 양산차중에 반구형이아닌 차가있는지궁금합니다
==> 반구형 연소실이 S / V 값이 제일 좋아서 적용하는 비율이 높을것 입니다. 펜트루프(쐐기형)타입은 압축효율면에서나 중고회전시 효율이 좋아서 적용하고 스쿼시 에이리어나 텀블유도 등의 연소공학에 따른 개발업체의 의지에 따른 다구형, 3,4,5밸브타입등 적용하는것이니 꼭 정석이 없는것 같네요...
7.주로쓰는 피스톤이 궁금합니다 책에는 스플리트피스톤이나 인바아 스트러트 피스톤 솔리드 피스톤
오오토더어믹 등이 나오는데 주로 뭘쓰는지요 ? 그리고 인비아나 오오토더어믹도 쓰이는지궁금합니다.
==> 쉽게 피스톤 형상에 따른 종류별로 나누겠습니다. (제 자료에서 좀 가져왔습니다.)
8.캠축설치위치에 따른분류시 DHC엔진 (over head camshaft engine) 이라고 나오는데
이게 OHC엔진 아닌지요.. 제 생각엔 잘못표기가됀게 아닌가싶은데.. 궁금합니다.
==>그러네요
궁금합니다. 오히려 제 느낌은 2행정이 충격이나 기계적소음이더크다고 느꼈는데.. 맞는지요?
==> 이젠 별로 의미가 없는 내용입니다... 기술적으로 극복한 방식인데요...저자의 공부한 시기가 아무래도 60년대 사람인것 같네요
2. 2행정이 연료소비율이 높고 배기행정이 불안정 저속이 어렵고 역화현상이생기며 평균유효 알벽및 효율을 높이기 어렵다고 나와있는데 현재도 그러한지 궁금합니다.
==> 2사이클 가솔린 엔진의 무게당/리터당 출력비율이 제일 높지만 리터이상급 가솔린엔진은 레이싱바이크용 엔진을 제외하고 이젠 없구요, 차량엔진용은 계속 연구개발만하고 배기가스와 연비문제로 더이상은 개발은 중지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3.4기통의 폭발순서가 1-3-4-2 6기통은 1-5-3-6-2-4 순인데 폭발간 의충격완화를 위해 이렇게 해놓은건지
아니면 캠의 형태 때문에 이렇게 돼있는건지 궁금합니다.
==> 이번에 야마하에서 2009년식 R1 적용된 90도크랭크의 부등간격 점화방식 엔진이 요즘 이슈입니다....
쉽게 180도 위상 점화(4기통 기준)와 60도 위상 점화(6기통 기준)차이 입니다... 쉽게 폭발간격의 차이입니다...
4.밸브배치에서 I헤드형이 가장많이쓰이고 그외에 L.F.T형 헤드가 있다고들었는데 L.F.T 는 현재 쓰이는
차가 거의없다고 나와있습니다. 혹시라도 쓰는차가있다면 어떤종류인지가 궁금하네요
==> 거의 의미가 없을것 같은데요... 옛날 기술입니다.... 별로 요즘에 나오는 책에서는 기술하지도 않는 부분인데요
5.실린더블록이 주철 ,알류미늄 합금이 주로쓰인다고 써있는데 최신의 차를 보면 '알루미늄블록'을 이용하여
경량화를 이끌어냈다 라는 말이 종종보이는데요
현재도 알루미늄으로 블록을 만들면 '우리는 알루미늄으로 했기에 가볍고 출력도높다!' 라고 하는 판인데
90년대의 책이 주로 알루미늄 합금과 주철을 쓴다고한 이유가궁금합니다.
분명 지금도 알루미늄블록을쓴 차가 얼마없는거보면 그때당시에는 더 레어했을탠데.. 책표기상의오류인지..
아니면 최신의 알루미늄블록과 알루미늄 합금은 다른종류인지.. 그리고 여기보면 알루미늄합금은
여러가지 단점이있다고 나와있는데 대부분 보강이됀건가요??
==> 음... 주철블록과 알로이블록의 차이라면 아무래도 30%정도 무게 절감과 냉각시스템의 고효율이라고 할까요
6. 연소실의 종류에 반구형 쐐기형등 다양한 연소실이있다고나왔는데 반구형 연소실을 주로쓴다고들었습니다
현재 양산차중에 반구형이아닌 차가있는지궁금합니다
==> 반구형 연소실이 S / V 값이 제일 좋아서 적용하는 비율이 높을것 입니다. 펜트루프(쐐기형)타입은 압축효율면에서나 중고회전시 효율이 좋아서 적용하고 스쿼시 에이리어나 텀블유도 등의 연소공학에 따른 개발업체의 의지에 따른 다구형, 3,4,5밸브타입등 적용하는것이니 꼭 정석이 없는것 같네요...
7.주로쓰는 피스톤이 궁금합니다 책에는 스플리트피스톤이나 인바아 스트러트 피스톤 솔리드 피스톤
오오토더어믹 등이 나오는데 주로 뭘쓰는지요 ? 그리고 인비아나 오오토더어믹도 쓰이는지궁금합니다.
==> 쉽게 피스톤 형상에 따른 종류별로 나누겠습니다. (제 자료에서 좀 가져왔습니다.)
가. 테이퍼형 피스톤 : 열팽창을 고려하여 피스톤 헤부의 지름을 적게한 것
(터보엔진이나 고압축엔진에서 사용을 했는데 이젠 별로 사용하지 않네요)
나. 타원형 피스톤 : 보스방향의 지름을 적게하여 열팽창 고려 (알로이 블록 엔진에서 좀 적용합니다.)
다. 솔리트 피스톤 : 열에대한 보상장치 없고 통풍형 (일반적인 제품이지요 오일젯을 적용합니다.)
라. 스플리트 피스톤 : 가로홈과 세로홈을 두고 가로홈은 스커트 열 전달 억제 세로홈은 전달에 의한
팽창 억제(스플릿 스커트형)
마. 인바아 스트러트 피스톤 : 인바강을 넣고 일체 주조한 형식
(인바강 열팽창계수가 매우적은 재질입니다.)
바. 옵셋 피스톤 : 피스톤 핀을 중심으로 1.5mm 정도 옵셋
(봉고프론티어 디젤엔진에 적용을 해서 조금은 부드러운 엔진이 된적이 있지요..)
사. 슬리퍼 피스톤 : 측압을 받지 않는 스커트부를 잘라낸 형식
(튜닝용으로 많이 적용이 되지만 내구성과 녹킹시 실런더 소손의 문제점이 있으나
저마찰, 저중량으로 인한 성능은 충분하지요)
8.캠축설치위치에 따른분류시 DHC엔진 (over head camshaft engine) 이라고 나오는데
이게 OHC엔진 아닌지요.. 제 생각엔 잘못표기가됀게 아닌가싶은데.. 궁금합니다.
==>그러네요
2009.01.05 19:50:40 (*.64.142.163)

자세한 리플들 너무감사드립니다 ^^
책이 골X벨 사의 책인데.. 이게참; 이렇게 보고나니 이거보고 과연공부해야하나 란생각이드네요..
그렇다고 한국에 최신판이 있는것도 아니고 여러모로 참 애석하네요,, 리플들감사드려요 ^^
책이 골X벨 사의 책인데.. 이게참; 이렇게 보고나니 이거보고 과연공부해야하나 란생각이드네요..
그렇다고 한국에 최신판이 있는것도 아니고 여러모로 참 애석하네요,, 리플들감사드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