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차종은 93년식 마쯔다 유노스 로드스터 1.6입니다.
처음에는 발전기 이상인줄 알았는데, 미캐닉왈 '에어컨 가스가 양이 문제가 있는것같다. 전기장치 사용때의
부조는 이정도면 정상인듯 보인다'라고 해서 여름에 에어컨 냉매를 재주입해보기로 했습니다. (제차의 냉매
는 지금은 사용되지않는 R12, 즉 프레온가스-_-입니다.)
그런데 어제도 그렇고 오늘아침 출근하는데 상당히 심해졌습니다.
히터를 2단이상 틀면 RPM이 거의 끝까지 내려왔다가 올라가고, 헤드라이트를 점등/소등할때마다 엔진회전
수가 춤을 춥니다.
클러치를 밟고 기어를 넣고있으면 RPM이 약 500정도까지 내려간 상태로 유지가됩니다.
더욱 황당한건 에어컨 켜면 시동이 꺼지는군요-_-;; 거의 1/2확률로 꺼져버립니다...
일단은 저녁때 발전기를 교체해보기로했습니다. 그런데 미캐닉은 발전기 문제는 아닌것같다고 하고, 그걸로
안잡히면 더이상 그 정비소에서의 정비는 불가능한듯 보입니다.
스캔을 해보면 확실하겠지만, 로드스터를 스캔할수있는 장비가 국내에 전혀 없다고 하더군요...
발전기가 아니라면, AFS가 맛이가도 이럴수있을까요?
ㅠㅠ
처음에는 발전기 이상인줄 알았는데, 미캐닉왈 '에어컨 가스가 양이 문제가 있는것같다. 전기장치 사용때의
부조는 이정도면 정상인듯 보인다'라고 해서 여름에 에어컨 냉매를 재주입해보기로 했습니다. (제차의 냉매
는 지금은 사용되지않는 R12, 즉 프레온가스-_-입니다.)
그런데 어제도 그렇고 오늘아침 출근하는데 상당히 심해졌습니다.
히터를 2단이상 틀면 RPM이 거의 끝까지 내려왔다가 올라가고, 헤드라이트를 점등/소등할때마다 엔진회전
수가 춤을 춥니다.
클러치를 밟고 기어를 넣고있으면 RPM이 약 500정도까지 내려간 상태로 유지가됩니다.
더욱 황당한건 에어컨 켜면 시동이 꺼지는군요-_-;; 거의 1/2확률로 꺼져버립니다...
일단은 저녁때 발전기를 교체해보기로했습니다. 그런데 미캐닉은 발전기 문제는 아닌것같다고 하고, 그걸로
안잡히면 더이상 그 정비소에서의 정비는 불가능한듯 보입니다.
스캔을 해보면 확실하겠지만, 로드스터를 스캔할수있는 장비가 국내에 전혀 없다고 하더군요...
발전기가 아니라면, AFS가 맛이가도 이럴수있을까요?
ㅠㅠ
2009.02.23 13:53:02 (*.131.231.68)

LAUNCH 431 에 있나 찾아 봐야겠습니다. ㅎㅎ 범용장비라서요
헌데 제가봐도 제네레이터 문제는 아닌듯 합니다. 알피엠 보정이 잘 안돼는것
같은데 일단 온라인상이라서 ㅎㅎ 그리고 유노스 로드스터 엔진룸 사진을
하나 올려주시겠습니까? 보면 답이 나올듯 한데요 ^^;;
헌데 제가봐도 제네레이터 문제는 아닌듯 합니다. 알피엠 보정이 잘 안돼는것
같은데 일단 온라인상이라서 ㅎㅎ 그리고 유노스 로드스터 엔진룸 사진을
하나 올려주시겠습니까? 보면 답이 나올듯 한데요 ^^;;
2009.02.23 18:30:39 (*.241.151.50)

97년식 1.8 미아타를 자주 타고 관리했던 경험으로는 (와이프 첫차였습니다만 사귈때라 자주 탔었죠.) 배터리가 트렁크에 있는게, 접지 문제를 더 심각하게 한게 아닐까 싶습니다. 배터리도 AGM 타입 소형이라 용량도 크지 않고 상당히 힘들어 했던 기억이 납니다. ^^
2009.02.23 23:43:40 (*.212.97.239)
에어컨 켜면 시동꺼지고, 그럼 ISC가 가장 유력한데요.....
^^ 제 세피아가 입양되었을때 증상이... 원보님께서 말씀하신 증상이었답니다. 에어컨 켜면 시동꺼지는..ㅡㅡ^
ISC청소하니까... 괜찮아지더군요... 한번 분해해서 스로틀바디 세정제로 싹싹 잘 닦아보세요.. ISC안에 핀같은거 있어서 그녀석이 흡입량을 조절하던데..(마그네틱으로요..) 그부분을 집중으로 해서 해보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모든 DIY는 교체나 어려운것부터 하기보단.. 쉬운것부터 차근차근하시는게.. 편할수 있습니다..^^
^^ 제 세피아가 입양되었을때 증상이... 원보님께서 말씀하신 증상이었답니다. 에어컨 켜면 시동꺼지는..ㅡㅡ^
ISC청소하니까... 괜찮아지더군요... 한번 분해해서 스로틀바디 세정제로 싹싹 잘 닦아보세요.. ISC안에 핀같은거 있어서 그녀석이 흡입량을 조절하던데..(마그네틱으로요..) 그부분을 집중으로 해서 해보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모든 DIY는 교체나 어려운것부터 하기보단.. 쉬운것부터 차근차근하시는게.. 편할수 있습니다..^^
2009.02.23 23:46:00 (*.212.97.239)
일단 배기음때문에 안들릴수 있는데.... 공회전시중에 에어컨을 켜시고 스로틀 바디부근에서 딸깍 소리가 나는지 들어보세요..... 두분이서 함께 하시면 더 확실하구요.... 딸깍 소리는 ISC 작동소리입니다.. 에어컨의 경우 부하가 가장크게 작용해서 소리가 잘 납니다.....
2009.02.24 23:53:59 (*.22.116.168)
배터리접지..
또는 마티즈가 비슷한 증상으로..연료펌프불량이었습니다.^^;;
연료쪽만 생각했지..전지쪽과는 무관이라 생각했는데..별희안한 경우도 있긴있습니다.
제가 아직 지식이 짧아서리..참고만하세요.
또는 마티즈가 비슷한 증상으로..연료펌프불량이었습니다.^^;;
연료쪽만 생각했지..전지쪽과는 무관이라 생각했는데..별희안한 경우도 있긴있습니다.
제가 아직 지식이 짧아서리..참고만하세요.
제 생각에도 발전기와는 무관할 것 같아 보입니다. 디지털 멀티미터를 엔진하고 차대 사이에 대고 전기부하 걸 때 전위차가 얼마나 생기는지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듯 합니다. 접지선 연결이 시원찮으면 그럴 때 전위치가 꽤 걸립니다. 산소센서는 1V 이내, 기타 센서류는 5V 이내에서 동작하므로, 접지가 튀면 센서값도 튑니다.
그리고 93년도 엔진의 진단기능에 요즘 OBD-II 같은 걸 기대할 수 없으니만큼, 스캔을 한다고 해도 에러코드가 떠 있지 않은 이상에는 뭐 특별하게 나오는 건 없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