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짧게 미국에 나와 있습니다. 환율이 1500원을 넘나드는 요 몇일의 분위기와 참 맞지 않는 질문처럼 보이지만..
미국에서 이삿짐으로 차량 반입시 부과 되는 관세등(34.24%)의 과세기준가격이 우리나라 관세청의 홈페이지에 의하면..
-자동차가격에 관한 책자(Blue Book)에 게재된 신품 자동차 거래가격(List Price)에서 사용기간에 따른 가치감소분을 감가상각(평균 년11∼12%)한 후 운임 및 보험료를 가산하여 계산합니다.
- 중고자동차를 구입한 경우 전소유주의 자동차등록증등 최초 운행시점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 하면 최초 등록시점부터 감가상각하나, 최초 등록증을 제시하지 아니하면 제작년도의 말일을 사용가치 감소분 계산시점으로 적용하며, 최초등록일에 관한 입증자료를 제시한 경우에는 최초등록일과 제작년도 말일중 이사자에게 유리한 것을 적용하게 됩니다.
라고 나와 있습니다. 결국 등록일 기준으로 보유 기간에 따를 잔존가치를 따져 관세등을 메긴다는 건데 어디에선가 이 잔존가치보다 실제 본인이 구입한 가치(중고차의 경우)가 더 낮은 경우(KBB시세보다 실제 중고차 구입가격이 낮은 경우)에는 이 가격을 증빙할 서류가 있다면 이 가치를 기준으로 과세한다는 얘기를 들은것 같은데 이 부분이 사실인지 궁금합니다. 만약 중고거래가격 기준으로 과세가 된다면 어떤 서류가 필요한지도 궁금하구요..
미국의 경우 중고차 거래시 따로 계약서를 쓰기보단 '핑크슬립'이라 불리우는 '타이틀' 서류를 주고 받으며 거기에 양도가액을 써서 양도를 하는 경우가 많은것 같아서요.. 직거래의 경우 그 가액을 많이 낮춰적어 현지에서도 등록세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만약 이 핑크슬립 사본으로 우리나라 관세등 부과시 인정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미국에서 이삿짐으로 차량 반입시 부과 되는 관세등(34.24%)의 과세기준가격이 우리나라 관세청의 홈페이지에 의하면..
-자동차가격에 관한 책자(Blue Book)에 게재된 신품 자동차 거래가격(List Price)에서 사용기간에 따른 가치감소분을 감가상각(평균 년11∼12%)한 후 운임 및 보험료를 가산하여 계산합니다.
- 중고자동차를 구입한 경우 전소유주의 자동차등록증등 최초 운행시점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 하면 최초 등록시점부터 감가상각하나, 최초 등록증을 제시하지 아니하면 제작년도의 말일을 사용가치 감소분 계산시점으로 적용하며, 최초등록일에 관한 입증자료를 제시한 경우에는 최초등록일과 제작년도 말일중 이사자에게 유리한 것을 적용하게 됩니다.
라고 나와 있습니다. 결국 등록일 기준으로 보유 기간에 따를 잔존가치를 따져 관세등을 메긴다는 건데 어디에선가 이 잔존가치보다 실제 본인이 구입한 가치(중고차의 경우)가 더 낮은 경우(KBB시세보다 실제 중고차 구입가격이 낮은 경우)에는 이 가격을 증빙할 서류가 있다면 이 가치를 기준으로 과세한다는 얘기를 들은것 같은데 이 부분이 사실인지 궁금합니다. 만약 중고거래가격 기준으로 과세가 된다면 어떤 서류가 필요한지도 궁금하구요..
미국의 경우 중고차 거래시 따로 계약서를 쓰기보단 '핑크슬립'이라 불리우는 '타이틀' 서류를 주고 받으며 거기에 양도가액을 써서 양도를 하는 경우가 많은것 같아서요.. 직거래의 경우 그 가액을 많이 낮춰적어 현지에서도 등록세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만약 이 핑크슬립 사본으로 우리나라 관세등 부과시 인정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2009.02.23 18:58:37 (*.106.74.238)
중고차는 모르겠지만 새차의 경우 kbb기준이 아무런 옵션이 없는 그냥 깡통차 기준이라서 싸게 측정이 되더군요. 저또한 혹시나 모를까 최초 차량 구입했을시 계약서를 들고 세관에 갔지만 kbb기준가가 더 싸서 그걸로 측정했습니다. 세관 아저씨 말씀이, 증명할 수 있는 자료만 있고 kbb기준 가격보다 싸게 구입했다면 그 가격으로 세금이 책정이 된다 하셨습니다. 2주전 인천세관에서 있었던 내용입니다.
2009.02.24 02:43:18 (*.49.183.98)

다행히(?) 최근 KBB 의 시세가 심각하게 많이 떨어졌지요.
2달마다 바뀌던 것도 일주일단위로 시세가 책정되어지구요.
2005 Nissan 350Z Coupe 60,000mi / Retail: $16,835 / Wholesale: $13,550
2004 Honda S2000 60,000mi / Retail: $17,880 / Wholesale: $14,475
2달마다 바뀌던 것도 일주일단위로 시세가 책정되어지구요.
2005 Nissan 350Z Coupe 60,000mi / Retail: $16,835 / Wholesale: $13,550
2004 Honda S2000 60,000mi / Retail: $17,880 / Wholesale: $14,475
2009.02.24 03:57:06 (*.195.213.21)
여러 답변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지금 환율에 돈을 남긴다는 의미의 반입은 아니고 맘에 드는 차를 타다 가져가서 탄다는 정도의 의미로 보면 좋을것같습니다.
중고차의 경우 KBB 기준으로 과세된다는 의미가 KBB에 나온 신차 기본가액에서 감가율을 때린다는 의미인지.. 아니면 KBB에 2주마다 바뀌는 중고차 가격을 기준으로 과세한다는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중고차의 경우 KBB 기준으로 과세된다는 의미가 KBB에 나온 신차 기본가액에서 감가율을 때린다는 의미인지.. 아니면 KBB에 2주마다 바뀌는 중고차 가격을 기준으로 과세한다는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2009.02.25 14:22:27 (*.255.7.179)

흠. 그나저나 S2000 가격은 아직도.. 비놀리아 군요.. 떱.. 2004년 60000마일 탄게 아직 저 정도 가격이라니..
2009.02.25 21:13:22 (*.201.46.15)
안녕하세요 뭐 하나 물어볼께요..제 안사람이 2달후에 한국으로 돌아옵니다.그런데 타던 차를 가져올려고 하는데 운송비용이 500만원정도 든다고 하던데 보통 그 정도 하는건가요?(아마 환율때문에 그런것 같습니다만..) 제 안사람이 여자라서 그런 부분에 대해서 잘 모르더군요..현재 텍사스에 거주하고 있고 차는 에쿠스 엔진달린 그랜저(아제라)XG350입니다.
2009.02.25 21:15:41 (*.201.46.15)
지금 환율로 생각하면 가격만 제대로 받으면 차라리 그기에서 팔고 오는게 더 나을것 같기도 한데 2달후에는 환율이 좀 더 떨어지겠죠.. 만약 미국에서 중고차를 판매하면 보통 얼마정도 시간이 걸릴까요..어떻게 파는게 좋은지도 혹시 아시는 부분 있으시면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2009.03.01 18:23:32 (*.101.122.147)
운송비용 자체는 위에 신수철님 말씀 수준으로 알고 있습니다. XG라면(3.5라고 중고가격이 더 높지는 않기에..) 연식이 되다보니 한국에서도 가격이 쎄지 않아 팔고 오시는 것이 당연히 낳겠지만.. 현지 매각시 차종의 인기도와 미국 경기 고려시 달러화 기준으로 예상보다도 많이 낮은 가격으로 받게 되실 듯 합니다. 워낙 환율이 높아 매각 후 원화 환전 귀국이라면 메리트는 있겠지만요..
차량 매각은 직거래인 경우 현지 한인 싸이트인 "미씨유에스에이" 나 현지 직거래 싸이트인 "craiglist"를 많이 이용하는 듯 합니다.
차량 매각은 직거래인 경우 현지 한인 싸이트인 "미씨유에스에이" 나 현지 직거래 싸이트인 "craiglist"를 많이 이용하는 듯 합니다.
타이틀에 기재된 가격이 블루북 기재금액에 비추어 나름 합리적이라면 인정받을 여지는 있습니다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인정을 못받는 경우도 있는 것 같습니다. 그 경우, 주장하는 가격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복잡한 행정 절차를 각오하셔야 하지 싶네요. (솔직히 이런 환율로는 운송비 포함해서 과세되는 관세를 생각하면 들고오긴 좀 어려울 것 같습니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