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현재 애마 세대를 키우고 있습니다.
그중 두대는 서스의 압력 조절이 가능한 종류이고요...
이번에 새로이 영입한 또 다른 한분은 조정이 불가한 태생이 좀 딱딱한 상태입니다.
항상 차량을 운행하면서 느끼고, 또 생각해보는 부분이...
노면의 상태와 운전 스타일, 그리고 차량 상태(특히 하체)의 상관 관계입니다.
예전에 마스터님이 언급하신 것처럼
도로상의 맨홀 뚜껑하나 마저도 피해다닐려고 이리저리 휙휙~
저 또한 차량을 무지하게 아끼고 조심히 운전하는 편입니다.
그러다 보니, 정말 제대로 차의 성능이나 한계치를 경험해보기는
하늘에 별따기가 되더군요...(항상 조심조심...-,.-+)
어제는 맘먹구 도로법규상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정도내에서...
( 타 운전자분들에게 절대 위협이 되는 행동을 하지 않는 정도에서..^^;)
함 밣아 보았습니다...
역시나 제 애마 상태가 심히 걱정되는군요...
특히 여기 회원님들도 다니실지 모르겠지만...
태제고개 넘어오는 길( 광주에서 분당방면으로~)
사거리 지나서 우측으로 굽어진 코너에서 2~3차선 사이의
커다란 맨홀 뚜껑 블랙홀~~~크윽~~~좌절입니다.
우당탕~휘청~쿵쿵~!
휠발란스, 얼라이먼트, 로워, 어퍼 등 걱정되더군요~
여러 회원님들~ 제가 좀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나요?
머~요즘 차량들 다들 튼튼하게 만들어서 문제가 없을 수도 있지만
일단 국내 공도상에 차를 좀 스포츠 드라이빙 답게 몰아 붙이기가
넘 겁나네요~(어디까지나 차를 지나치게 아끼는 소심한 오너입장에서 입니다~^^;)
다른 분들은 어떻게 운전하시는지...
어느 정도는 괜찮을지 항상 궁금합니다~!
좋은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PS: 항상 리프트 띄워서 하체 점검 철저히 하지만서두요..ㅎㅎ
글구, 그런 의미에서 WRC 뛰는 무서운 머쉰들은 서스 셋팅이 어케 되나요? 완전 궁금...*,.*
그중 두대는 서스의 압력 조절이 가능한 종류이고요...
이번에 새로이 영입한 또 다른 한분은 조정이 불가한 태생이 좀 딱딱한 상태입니다.
항상 차량을 운행하면서 느끼고, 또 생각해보는 부분이...
노면의 상태와 운전 스타일, 그리고 차량 상태(특히 하체)의 상관 관계입니다.
예전에 마스터님이 언급하신 것처럼
도로상의 맨홀 뚜껑하나 마저도 피해다닐려고 이리저리 휙휙~
저 또한 차량을 무지하게 아끼고 조심히 운전하는 편입니다.
그러다 보니, 정말 제대로 차의 성능이나 한계치를 경험해보기는
하늘에 별따기가 되더군요...(항상 조심조심...-,.-+)
어제는 맘먹구 도로법규상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정도내에서...
( 타 운전자분들에게 절대 위협이 되는 행동을 하지 않는 정도에서..^^;)
함 밣아 보았습니다...
역시나 제 애마 상태가 심히 걱정되는군요...
특히 여기 회원님들도 다니실지 모르겠지만...
태제고개 넘어오는 길( 광주에서 분당방면으로~)
사거리 지나서 우측으로 굽어진 코너에서 2~3차선 사이의
커다란 맨홀 뚜껑 블랙홀~~~크윽~~~좌절입니다.
우당탕~휘청~쿵쿵~!
휠발란스, 얼라이먼트, 로워, 어퍼 등 걱정되더군요~
여러 회원님들~ 제가 좀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나요?
머~요즘 차량들 다들 튼튼하게 만들어서 문제가 없을 수도 있지만
일단 국내 공도상에 차를 좀 스포츠 드라이빙 답게 몰아 붙이기가
넘 겁나네요~(어디까지나 차를 지나치게 아끼는 소심한 오너입장에서 입니다~^^;)
다른 분들은 어떻게 운전하시는지...
어느 정도는 괜찮을지 항상 궁금합니다~!
좋은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PS: 항상 리프트 띄워서 하체 점검 철저히 하지만서두요..ㅎㅎ
글구, 그런 의미에서 WRC 뛰는 무서운 머쉰들은 서스 셋팅이 어케 되나요? 완전 궁금...*,.*
2009.03.02 13:33:10 (*.135.197.103)
네~감사합니다~!^^
저두 그렇게는 생각하는데...매번...걱정은되서리...^^;
항상 이번차는 평생 데리고 있는다~ 이런 생각에
이런 결벽증도 생겼나 봅니다...(얼마 못가서 떠나보내면서요..ㅎㅎ)
저두 그렇게는 생각하는데...매번...걱정은되서리...^^;
항상 이번차는 평생 데리고 있는다~ 이런 생각에
이런 결벽증도 생겼나 봅니다...(얼마 못가서 떠나보내면서요..ㅎㅎ)
2009.03.02 13:50:45 (*.138.162.178)
태재고개 그위치에 그정도로는 전혀 문제 없습니다.
그 맨홀이 오른쪽 코너에서 왼쪽 바퀴가 밟기에 보기보다 더 크게 느껴질 뿐이죠...
그 맨홀이 오른쪽 코너에서 왼쪽 바퀴가 밟기에 보기보다 더 크게 느껴질 뿐이죠...
2009.03.02 14:09:39 (*.16.138.254)

저같은 경우, 그나마 부드럽다고 알려진 아이바크 컵킷을 장착하고 있지만 시내 도로를 주행할 때에는 신경 많이 쓰면서 운전합니다. 국도도 마찬가지고요. (전 도로상태 좋은 국도나 고속도로에서만 스포츠 드라이빙을 즐긴답니다.)
스포츠 서스펜션을 장착한 다른 운전자 분들도 요리조리 피해다니는건 마찬가지일 거라고 생각해요, 그러니 소심하거나 결벽증으라고 생각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ㅎㅎ
전 요즘 차안에서 댐퍼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테인 SS 코일오버나 EDC(자동 댐퍼 조절 장치)가 달린 차량이 부럽긴 합니다. 동승자가 있을경우나 시내에선 소프트하게, 스포츠 드라이빙 할땐 하드하게 조절했으면 하거든요. 즐건 드라이빙 하세요 ~
스포츠 서스펜션을 장착한 다른 운전자 분들도 요리조리 피해다니는건 마찬가지일 거라고 생각해요, 그러니 소심하거나 결벽증으라고 생각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ㅎㅎ
전 요즘 차안에서 댐퍼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테인 SS 코일오버나 EDC(자동 댐퍼 조절 장치)가 달린 차량이 부럽긴 합니다. 동승자가 있을경우나 시내에선 소프트하게, 스포츠 드라이빙 할땐 하드하게 조절했으면 하거든요. 즐건 드라이빙 하세요 ~
2009.03.02 14:21:48 (*.32.126.154)

쿵쾅 거리는 하드한 스프링을 쓰다가 순정으로 돌아오고 나서 느낀점은... 노면이 좋은곳의 주행속도는 현저히 줄었지만... 노면이 안좋은 90%의 도로에선 주행속도가 훨씬 빨라졌다는것..;;;
예전엔 정말 바닥만 보고 다니느라 스트레스였는데.... 이제는 자세와 롤링은 조금 포기해도 스트레스가 없으니 운전이 더 쉬워진 기분이여요 -ㅇ-;;;
예전엔 정말 바닥만 보고 다니느라 스트레스였는데.... 이제는 자세와 롤링은 조금 포기해도 스트레스가 없으니 운전이 더 쉬워진 기분이여요 -ㅇ-;;;
2009.03.02 15:28:33 (*.117.121.44)
전 서스펜션 튜닝하고도 별로 신경쓰지않고 다녔습니다. 과속방지턱이야 속도 안줄이면 일단 몸이 불편하니까 천천히 올라탔지만 맨홀뚜껑이나 울퉁불퉁한 바닥은 '오 랠리하는 기분인데?'라면서 그냥 '규정속도'로 달렸죠...
경기뛰면서 용인서킷 연석도 마구 올라타는등 혹사를 했지만 하체부품에서 손상을 입은 부분은 전혀 없었습니다.
경기뛰면서 용인서킷 연석도 마구 올라타는등 혹사를 했지만 하체부품에서 손상을 입은 부분은 전혀 없었습니다.
2009.03.02 16:34:47 (*.55.118.100)

저도 그길로 항상 출퇴근하고 있지요. 맨홀 두개가 동시에 붙어 있는....ㅋ 저도 꼭 피해갑니다만..
더 하드한 상황에서 주행에서도 하체 셋팅 왠만함 변하지 않습니다.
자주 리프트 올려서 확인하고 볼트류 조여주는건 정신건강에는 좋을지 모르지만 시간과 금전상 효율적이지 않다고 봅니다. 경기차가 아닌 이상 너무 자주 확인하는건 비추라 봅니다.
더 하드한 상황에서 주행에서도 하체 셋팅 왠만함 변하지 않습니다.
자주 리프트 올려서 확인하고 볼트류 조여주는건 정신건강에는 좋을지 모르지만 시간과 금전상 효율적이지 않다고 봅니다. 경기차가 아닌 이상 너무 자주 확인하는건 비추라 봅니다.
2009.03.02 17:41:14 (*.109.10.33)
저도 광주에 살고 분당을 왔다갔다 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그 길을 무쟈게 많이 다닙니다...
저는 주로 합류되는 지점이기도 하고 말씀하신 그 복병(?)들로 인해 1차선을 주로 탑니다....
최대한 피해다니려구 노력하지요... 물론 차도 여기 계신 분들처럼 좋은건 아니지만... 적당히 다닙니다...^^
2009.03.02 20:05:34 (*.132.60.48)

일체형 끼우고 기준이 생겼는데 담뱃불을 붙일수 있을정도의 통통거리는 노면은 달려도 좋은 도로이고
담뱃불을 붙일수 없는정도로 통통 거리는곳은 좀 천천히 다니는정도 입니다....
일부러 맨홀뚜껑을 피해다닌적은 별로 없는듯....피할수 있으면 피하는데 대게 그냥 갑니다...
담뱃불을 붙일수 없는정도로 통통 거리는곳은 좀 천천히 다니는정도 입니다....
일부러 맨홀뚜껑을 피해다닌적은 별로 없는듯....피할수 있으면 피하는데 대게 그냥 갑니다...
2009.03.02 23:51:35 (*.140.145.201)

전 마구 차를 거의 점프시키다시피 쿵쾅거리며 다녔습니다.
투스카니에 이런 저런 일체형과 단조휠을 끼운채로 말이죠..
(물론 휠이 잘 버텨주니까 가능한걸수도 있습니다만)
그래도 전혀 문제 없었습니다.
심한 범프를 쿵 찍고넘어가도 괜찮더군요(...험하긴 하네요 제가)
그냥 마음 비우고 막 굴리셔도 웬만해선 버틸겁니다 ^^
..하지만 보통은 약한 휠의 경우 휠이 망가지더군요..
투스카니에 이런 저런 일체형과 단조휠을 끼운채로 말이죠..
(물론 휠이 잘 버텨주니까 가능한걸수도 있습니다만)
그래도 전혀 문제 없었습니다.
심한 범프를 쿵 찍고넘어가도 괜찮더군요(...험하긴 하네요 제가)
그냥 마음 비우고 막 굴리셔도 웬만해선 버틸겁니다 ^^
..하지만 보통은 약한 휠의 경우 휠이 망가지더군요..
2009.03.03 11:42:49 (*.135.197.103)
여러 회원님들 말씀 감사합니다~!
저두 맘편히 좀 다녀야 겠네요~
근디 또 이너무 잡소리 땜시..ㅋㅋㅋ
다들 안전 운전하세요~^^
저두 맘편히 좀 다녀야 겠네요~
근디 또 이너무 잡소리 땜시..ㅋㅋㅋ
다들 안전 운전하세요~^^
2009.03.05 00:31:20 (*.144.52.80)

당장 눈에 보이는 피해는 없어도 바디에 조금씩 데미지가 쌓여 가고, 운이 없으면 타이어나 휠이 파손되는 경우도 있으니 피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피해 가는 편이고, 피하기가 어려울 때에는 가능하면 올라타는 쪽의 하중은 최소화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조작합니다.
과도한 걱정은 정신건강에 해로우실듯...
정기적으로 얼라이 잘 잡아주시고 하면 아무 문제 없을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