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올 가을이 지날때쯤 타이어 교환시기가 올것 같습니다
현재 타이어는 트레이드웨어 200 v패턴의 중급 썸머 타이어 입니다
제 차량에 비해 타이어 그립이 모자른듯 싶습니다
하여 하이그립을 생각하고 있는데요 겨울철 마른노면에서의
하이그립 타이어 성능을 알고 싶습니다 당연히 눈길에는 운행을 안한다는 가정하에 말씀 드립니다
도움이 될만한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온도가 낮으면 썸머 타야가 딱딱해지는 느낌이라
올씨즌이 더 낫게 느껴습니다.
서머 하이그립타이어와 윈터타이어를 비교해도 마른노면이라면 서머타이어가 훨씬 좋습니다.

저도 어디서 봤는데, 트랙의 경우 영상 5도 정도가 써머 타이어 사용시 기록이 제일 좋다는군요. 몇랩 돌고 나면 타이어가 달궈져서 접지력도 좋고, 차가운 노면 때문에 타이어 냉각에 도움이 된다네요.

Engineering Explained에서 이 테스트 결과를 본 적이 있는 것 같은데 겨울철 마른 노면에서 썸머 타이어가 윈터 타이어보다 제동력이 더 좋았던것 같습니다. 저도 작년 겨울에 마른 노면에서 잠시 Bridgestone Potenza RE050A랑 Continental CSC3 낑기고 다녔는데 만족했습니다. 그런데 타이어가 잘 달궈져야 하는 것 같습니다.
매번 질문글을 스무고개로 올리셔서 오늘은 지금쓰시는 타이어가 대체 뭘까하고 열심히 찾다가 그냥 포기했네요...차종 맞추는거보다 더 어려웠습니다
운용결과 눈만 안온다면 완전히 외기온 영하10도정도되면서 노면도 엄청 차가운게 아니면 섬머타이어가 오히려 열 오르면 접지력이 더 낫다는게 맞는것같습니다.
다만 저는 눈이올때 끌고나갔다가 온갖고생을 다 해버린 바람에 겨울에는 절대로 썸머를 기피하게 됐지만요...
하지만 윈터를 쓴다는거는 '만약에 차끌고나갔다가 눈을 만났을때 어떤경우에도 이동해야 할경우' 를 위해서 쓰는거니까요.... 하다못해 전륜차면 4계절타이어만 되도 어찌어찌 갈수는 있으니...
저는 전륜 썸머로 빠져서 결국 차를 버리고 전철을 탔던 경험이 있는바람에....
오히려 어정쩡한 노면에서 윈터타이어가 오히려 종합적인 마른노면 접지력은 더 별로였습니다.(아이셉트 에보1인데 마른노면에서 엄청나게 밀립니다...)

제가 경험해본 4계절 : 미쉐린 프라이머시 HP , 금호 솔루스... PS4 ,
이고 대부분 스포츠 타이어를 쓰긴했지만.
그래도 겨울엔 윈터입니다.
마른 노면이라도, 서울엔 항상 염화 칼륨이 많이 뿌려져있고, 지방한적한 곳은 블랙아이스들이
항상 존재하는지라. 4계절 보다는 윈터 입니다.
잘 마른 노면에서는 브레이킹이 썸머가 나을지는 몰라도, 전반적으로 보면 윈터가 훨씬 심리적안정감에
윈터가 영하에서는 접지력이 훨씬 낫습니다.
그리고. 윈터...가 웃기는게 , 여름에 껴도 .. 지우개마냥 지워질것 같지만. 안그렇습니다. -_-

블랙아이스가 무섭긴 합니다만
그건 사계절 타이어도 다르진 않겟고..
생각보다 겨울 잘 지냇네요
전륜차라 유레한것도 있겟지만 일단
눈 쌓이면 애초에 서행하니깐요
올 해에는 기변하게 되면서
차에 달려있던 cp671타이어가
엄청 질겨도 닳지도 않네요
이거 아까워서 버리진 못하고 이대로
겨울 한번 이 타이어로 맞이 할듯 싶네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