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흔히 말하는 그레이 임포터라는 게 우라나라 말고 외국에도 존재하는지 궁금합니다
물론 페라리 같은 종류의 슈퍼카를 직수입하는 업체는 당연히 있겠지만
자국에서 BMW나 벤츠같은 차량의 정식딜러가 있는데도 직수입딜러가 있는지 궁금하네요
우리나라야 아직 정식딜러에서 가격을 높게 매긴다고 하지만
비교적 적당한 가격(?)으로 파는 나라에도 직수입딜러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물론 없겠지만
단.. 일본은 제외합니다.. ㅎㅎ
그런데 일본에선 어떻게 그레이 임포터의 세력이 그렇게 강한지도 궁금증이.....
그리고 아직도 잘 이해가 안되는게 한 가지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엔 자동차 대리점에선 직영점 말고 자영점에선 어느정도 D/C가 되기는 하죠... 직영점도 되나요?
물론 영업사원 수당 깎아간다는 소리도 있기는 하지만....
하지만 미국은 대리점에서 소비자 권장가 보다도 낮은 가격으로 살 수가 있는데 이 원리가 도대체 뭔가요?
예를 들자면 미국도 BMW USA 가 있을거고... 각 대리점들은 본사를 통해 차량을 공급 받을텐데...
소비자 권장가 보다도 낮은 가격에 구입을 할 수 있는 이유는 우리나라 대리점과 같은 이치 인가요?
그렇다고 보기엔 가격차가 좀 커보여서 말이죠.... 물론 1인당 GNP 차이가 난다고는 하지만....
그리고 딜러 재량(?)이 뭔가 더 많아 보입니다......
p.s 요즘 들어서 무역실무를 시작으로 더 세분화 되게 강의가 진행되다 보니 궁금증이 더 폭발합니다..ㅎ
물론 페라리 같은 종류의 슈퍼카를 직수입하는 업체는 당연히 있겠지만
자국에서 BMW나 벤츠같은 차량의 정식딜러가 있는데도 직수입딜러가 있는지 궁금하네요
우리나라야 아직 정식딜러에서 가격을 높게 매긴다고 하지만
비교적 적당한 가격(?)으로 파는 나라에도 직수입딜러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물론 없겠지만
단.. 일본은 제외합니다.. ㅎㅎ
그런데 일본에선 어떻게 그레이 임포터의 세력이 그렇게 강한지도 궁금증이.....
그리고 아직도 잘 이해가 안되는게 한 가지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엔 자동차 대리점에선 직영점 말고 자영점에선 어느정도 D/C가 되기는 하죠... 직영점도 되나요?
물론 영업사원 수당 깎아간다는 소리도 있기는 하지만....
하지만 미국은 대리점에서 소비자 권장가 보다도 낮은 가격으로 살 수가 있는데 이 원리가 도대체 뭔가요?
예를 들자면 미국도 BMW USA 가 있을거고... 각 대리점들은 본사를 통해 차량을 공급 받을텐데...
소비자 권장가 보다도 낮은 가격에 구입을 할 수 있는 이유는 우리나라 대리점과 같은 이치 인가요?
그렇다고 보기엔 가격차가 좀 커보여서 말이죠.... 물론 1인당 GNP 차이가 난다고는 하지만....
그리고 딜러 재량(?)이 뭔가 더 많아 보입니다......
p.s 요즘 들어서 무역실무를 시작으로 더 세분화 되게 강의가 진행되다 보니 궁금증이 더 폭발합니다..ㅎ
2009.06.15 00:05:17 (*.60.60.23)

1. 미국에서는 90년대 초반까지 이러한 패러랠 임포트 (그레이 임포트가 아닙니다.) 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상당한 양의 BMW/MB 등이 유로 스팩이라는 이름으로 수입되어 판매 되었죠. 이후 EPA 와 NHTSA 에서 각종 규제를 강화 하면서, 정상적으로 페러렐 임포트를 해서는 미국에서 차량 등록을 할 수 없는 정도가 되었습니다. 가장 최근에는 2003~2005년에 스마트를 유럽에서 수입해서 판매하던 회사가 있었는데, 테일라이트와 계기판을 비롯해서 차량의 약 20%를 교체하는 대 작업을 거쳐야만 판매가 가능 했습니다. 즉, 지금도 수입은 할 수 있지만, 각종 규제에 맞춰 차량을 변경하고 책임(Liability) 을 지다 보면 수지가 맞지 않아서입니다.
2. 딜러의 수익 구조에 대한 부분은 간단하게 덧글로 설명 드리기가 힘듭니다. 일반적인 장려금 (예를 들어서 10대 이상 팔면 추가로 대당 얼마 나오는 금액)을 비롯해서, 딜러가 차량 1대를 팔았을때 버는 수익은 단순히 판매가-공급가의 공식으로 성립되지 않습니다. 간단하게 계산을 해도, 차량 판매가-딜러 마진-홀드백-지역별 인센티브-차종별 인센티브-홍보 보조-리베이트-PDI 비용-차량 수정 보조-차량 딜리버리 비용-유류 보조 등 지금 머릿속에만 들어오는게 한 20여가지 됩니다. 즉, 우리나라에서 영업 사원 수당 이외에 판매 촉진 장려금 그리고 공채와 등록 대행등에서 곁다리로 벌어 들이는 비용처럼 보이지 않는 수익이 많다는 거죠.
2009.06.15 00:22:57 (*.60.60.23)

3. 우핸들 차량을 쓰는 곳 중에서, 영국과 뉴질랜드가 이러한 직수입(?)이 많은 나라입니다. 얼마전 통계를 보니 뉴질랜드 판매 차량의 약 70%가 이러한 직수입 차량이라고 하네요. 직수입 물량이 많은 나라로 치면 러시아와 남아프리카가 있습니다. 러시아는 아시다 시피, 각종 무적(?)이 난무 하는 나라고, 남 아프리카도, 심지어 BMW/MB 등이 그곳에서 조립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백인들이 유럽에서 직접 차량을 가져와서 타는 (심지어 번호판도 교체 없이) 경우가 많습니다.
2009.06.15 20:25:02 (*.22.45.72)

저희 동네에도 몇군데 있기야 합니다만 거의 대부분이 희소차량을 위주로 합니다
베이론이라던지 클래식카들이라던지...
(북미입니다)
베이론이라던지 클래식카들이라던지...
(북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