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파사트 tdi 프리미엄 입니다.
작년에 독일차만의 단단함을 함 느껴보고자 빌스타인 b12튜닝킷을 장착했다가 2달여만에 순정으로 돌아간적이 있습니다.
파사트용 b12킷은 제가 찾아본바로는 빌스타인 스프린터와 h&r 스프링의 조합이었습니다.
뒷자석에 아이들이 주로 타는데 길이 패인곳에서 너무 충격이 크게 느껴져..
(사는 동네의 도로가 전국최악수준입니다ㅠㅠ)
결국 포기를 했었습니다.
중고 판매시에 사시는 분의 사정으로 파사트용 중고h&r 스프링+알파 로 교환을 했고, 빨간색 h&r스프링은 잘 모셔두고 있었습니다.
오늘 우연히 모셔뒀던 스프링을 자세히 들여다봤는데요,
리어쪽 스프링이 보통 승차감을 주기위해 스프링간격이 좁은쪽과 넓은쪽으로 나눠져있잖습니까?
상 하는 보통 스프링에 인쇄된 로고를 기준으로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제차의 경우는 리어스프링이 위쪽이 촘촘하고 아래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는 구조로 확인했습니다.
아래 올린 사진을 보시면
리어에서 한쪽은 제대로 장착이 된거같은데 한쪽은 스프링이 거꾸로 장착이 된걸로 보입니다.
장착점에서 찍어준 사진인데 .. 알고보니 좀 황당한 느낌이 듭니다.
앞쪽은 사진으로는 잘 확인이 안되는데 앞쪽도 거꾸로 끼웠던게 아닐까 의심스럽기도 합니다..ㅠㅠ
이렇게 한쪽만 스프링이 바뀐경우 원래 승차감과 많은 차이가 날까요?
(또 스프링이 이렇게 촘촘한 부분이 차종마다 아래 위가 바꿔져있는건 어째서일까요? 이건 그냥 궁금해서 공부차원에서 여쭤봅니다^^)



작년에 독일차만의 단단함을 함 느껴보고자 빌스타인 b12튜닝킷을 장착했다가 2달여만에 순정으로 돌아간적이 있습니다.
파사트용 b12킷은 제가 찾아본바로는 빌스타인 스프린터와 h&r 스프링의 조합이었습니다.
뒷자석에 아이들이 주로 타는데 길이 패인곳에서 너무 충격이 크게 느껴져..
(사는 동네의 도로가 전국최악수준입니다ㅠㅠ)
결국 포기를 했었습니다.
중고 판매시에 사시는 분의 사정으로 파사트용 중고h&r 스프링+알파 로 교환을 했고, 빨간색 h&r스프링은 잘 모셔두고 있었습니다.
오늘 우연히 모셔뒀던 스프링을 자세히 들여다봤는데요,
리어쪽 스프링이 보통 승차감을 주기위해 스프링간격이 좁은쪽과 넓은쪽으로 나눠져있잖습니까?
상 하는 보통 스프링에 인쇄된 로고를 기준으로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제차의 경우는 리어스프링이 위쪽이 촘촘하고 아래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는 구조로 확인했습니다.
아래 올린 사진을 보시면
리어에서 한쪽은 제대로 장착이 된거같은데 한쪽은 스프링이 거꾸로 장착이 된걸로 보입니다.
장착점에서 찍어준 사진인데 .. 알고보니 좀 황당한 느낌이 듭니다.
앞쪽은 사진으로는 잘 확인이 안되는데 앞쪽도 거꾸로 끼웠던게 아닐까 의심스럽기도 합니다..ㅠㅠ
이렇게 한쪽만 스프링이 바뀐경우 원래 승차감과 많은 차이가 날까요?
(또 스프링이 이렇게 촘촘한 부분이 차종마다 아래 위가 바꿔져있는건 어째서일까요? 이건 그냥 궁금해서 공부차원에서 여쭤봅니다^^)



2009.06.18 22:23:29 (*.143.36.89)
잡소리 등으로 따로 놀지는 않나요?..
촘촘한쪽은 차고를 유지하기 위한 공간이구요, 실제 스프링 역할은 그 나머지 구간이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위,아래의차이는 없겠지만, 차체와 스프링 사이에 이가 제대로 맞지 않아서 유격이 있다면 문제가 될 것 같네요..
촘촘한쪽은 차고를 유지하기 위한 공간이구요, 실제 스프링 역할은 그 나머지 구간이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위,아래의차이는 없겠지만, 차체와 스프링 사이에 이가 제대로 맞지 않아서 유격이 있다면 문제가 될 것 같네요..
2009.06.20 23:20:37 (*.41.34.1)
스프링 간격이 촘촘한 부분은 스프링이 어느정도 압축되면 서로 맞닿아서 스프링으로서의 구실을 하지 않습니다.
스프링의 윗부분은 차체에 고정되어 압축 인장시 움직이지 않고 있고 밑으로 내려갈수록 움직이는 범위가 커지는데 역활을 하지않는 부분이 아랫쪽에서 있다면 현가하 질량이 커져 승차감에 손해가 있을수 있습니다.
스프링이 맞닿아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스프링 간격이 촘촘한 부분의 질량이 더 크므로 아래로가면 승차감에서 손해입니다.
스프링의 윗부분은 차체에 고정되어 압축 인장시 움직이지 않고 있고 밑으로 내려갈수록 움직이는 범위가 커지는데 역활을 하지않는 부분이 아랫쪽에서 있다면 현가하 질량이 커져 승차감에 손해가 있을수 있습니다.
스프링이 맞닿아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스프링 간격이 촘촘한 부분의 질량이 더 크므로 아래로가면 승차감에서 손해입니다.
2009.06.21 09:27:49 (*.127.196.73)
스프링 상질량 / 스프링 하질량 으로 나누기 때문에...
스프링의 무게 배분이... 승차감에 영향을 주는 정도가 어느정도 되려는지... 확답을 드리기가 어렵네요
튜닝용 스프링의 전체무게가 전체적인 차량의 무게증가 감소에 영향이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이석호님 혹시 위아래 꺼꾸로 끼워본뒤 승차감이 변했던 경험이 있으신지요
스프링의 무게 배분이... 승차감에 영향을 주는 정도가 어느정도 되려는지... 확답을 드리기가 어렵네요
튜닝용 스프링의 전체무게가 전체적인 차량의 무게증가 감소에 영향이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이석호님 혹시 위아래 꺼꾸로 끼워본뒤 승차감이 변했던 경험이 있으신지요
2009.06.22 17:10:14 (*.44.120.21)

네..조금 이해가 갈듯 합니다^^ 스프링전문 수입업체에 물어보니 상하가 바뀌는건 고정부위만 맞으면 큰 상관은 없는데 좌우가 짝짝이로 들어가면 차체거동이 이상할수도 있다고..피하라고 하네요. 승차감 부분은 큰 영향은 없을거라고 합니다. 빌스타인 튜닝킷의 너무 단단한 뒷자석 승차감이 혹 짝짝이 스프링이 원인이 아니었을까..하는 바램?은 사라졌구요..ㅎㅎ 댐퍼를 교체할때가 되어 사제 댐퍼를 고를때도 모노튜브는 안해야할거 같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2009.06.23 09:40:53 (*.132.65.25)

저도 저런식으로 잘못 작업이 되어서 저 상태로 타본적이 있는데요, 솔직히 잘 모르겠더라구요. 다만 기분상 너무 찜찜해서 재작업을 요구했었죠.
마찬가지로 넓게 감은쪽이 강성이 약하고 좁게감은쪽이 강성이 강합니다
위아래 표시를 해둔것은 아마도 스프링이 압축될때 간섭때문이거나 위아래의 컵 혹은 범프스톱퍼 사이즈의 차이 때문인것으로 생각되는데요
어차피 압축될때는 강성이 약한쪽이 먼저 압축되고 강한쪽은 나중에 압축되기 때문에 사이즈나 간섭의 영향이 없다면 큰차이는 없을것이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