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수동차량 변속시에 RPM하강속도가 빠르면 스포츠주행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변속하거나 힐앤토 할 때 타이밍 맞추기도 한결 수월하구요..
그러면 RPM하강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뭐가 있을까요?
경험상으로는 흡/배기 작업후에 순정상태보다 RPM이 그나마 좀 빠르게 떨어지는 것을 느꼈습니다.
흡/배기 작업 외에 엔진이나 변속기 부품관련 경량화가 필요한지..전자제어쪽으로 손을 봐야 하는건지 궁금하네요.

isc밸브가 천천히 닫히는것이 결국 원천적인 원인입니다....
시리우스등 엔진들은 빠리빠리 했지만...요즘 isc밸브가 스로틀 오프시 천천히 닫히게 셋팅되어 있어서
부드러운 운전을 유도하기에 엔진반응이 더 떨어지는것 같더라구요...
물론 빨리 닫히게 만들수도 있겠지만...꿀꺽거림이 장난이 아니더군요.....
선동님말씀처럼 근본적으로는 isc 밸브를 얼마나 빨리 닫아 주느냐가 알피엠이 빨리 떨어지느냐
마느냐를 결정하는 근본적인 원인이죠..
경량부품들도 한몫하겠지만, isc가 늦게 닫히게 셋팅되어있다면 별 효과를 못보죠..
isc 밸브가 빨리 닫혀버린다면, 저알피엠에서 악셀오프시 울컥거림, 아이들링에서 엑셀툭툭쳐주면
시동이 그냥 꺼져버리는 경우도 있구요...캠이나,흡배기 튜닝후에 isc맵을 손보지 않은 차들중에
악셀지긋이 눌렀다 떼주면 알피엠이 아이들정상치보다 더밑으로 내려갔다가 올라온다던지,
꺼져버린다던지 하는 문제점이 있더라구요..
막연히 난 스포츠주행하고 기어빨리 바꿀꺼니 isc 를 빨리 닫을수있게
셋팅한다해도 알맞는 값이 있기 때문에 알피엠이 떨어지는 속도는 어느정도 정해져있다고봐야죠...

요즘 현행 승용차의 경우는 throttle by wire(전선에 의한 스로틀[전자식 스로틀]) 인경우 rpm 하강이 느립니다. 선동님 말씀처럼 ISC 만으로도 느리게 떨굴수있죠.
저는 그런 것이 없는고로 원래도 액셀 반응에따라 매우 정직한 반응이었습니다. 플라이휠과 front pulley 를 순정대비 1/8 무게로 줄여버렸더니 이젠 퀵 쉬프트가 아니면 일상주행시 rpm 하강 속도를 못맞춰서 울컥 거릴 정도입니다 ^^; 이젠 어느정도 적응을 해서 악셀링을 둔하게 띄는 방법등으로 적응했습니다. 크랭크 샤프트 자체의 무게도 한몫 할것 같습니다.
아반떼 HD 를 타신다면 근본적으로 ISC 나 TBW 의 셋팅을 ECU 에서 건드려주지않으면 효과가 별로 없을 것입니다.
회전관성이 큰 크랭크샤프트와 플라이휠이 엔진의 가감속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칩니다. 즉 플라이휠만 경량화시켜도
반응성은 상당히 빨라집니다.